• 제목/요약/키워드: 직업능력개발성과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에듀테크 기반 평생직업능력개발 선도사업 모델 수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tech-base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 임경화;신정민;김주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25-437
    • /
    • 2022
  • 2020년 이후 COVID-19에 따른 학습방법의 변화는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의 성장세로 이어지면서 에듀테크 시장의 두드러진 성장과 가속화 현상과 함께 직업능력개발과 에듀테크의 결합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크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향후 평생직업능력개발 분야에서의 활용과 기대를 수렴하여 에듀테크를 포괄적으로 재정의(working definition)하였다. 재정의의 이면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증강현실(VR/AR),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첨단기술이 더욱 확장된 디지털화된 직업훈련 시대를 앞당기는 혁신기술로 역할이 강화될 것이라는 전제가 함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화된 학습경험 맞춤형 학습의 평생직업능력개발 체계를 지향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에듀테크의 정의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에듀테크 기술동향을 분석하면서 직업훈련에 전파, 공유하기 위한 목적에서 실제 테크놀로지가 교육 및 직업훈련에 접목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전문가 서면 인터뷰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직업훈련의 관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아 에듀테크 기반 평생직업능력개발 선도사업 모델을 제안한다.

직업능력개발기관의 원가관리를 위한 통합모형 (Integrated Model of Cost Management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s)

  • 강본준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06-114
    • /
    • 2010
  • 직업능력개발기관은 기관의 성격, 교육훈련과정 및 교육훈련방법 등이 다양해서 그 동안 효율적인 원가관리모형을 사용한 원가계산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새로운 원가관리기법인 개별원가계산, 활동원가계산 및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여 직업능력개발기관의 통합된 원가관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가능모형과 이상적인 모형의 두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합모형에는 원가 계산방법뿐만 아니라 원가항목과 간접원가 배부기준 그리고 공헌이익에 의한 원가분석방법이 포함되어 있어서, 직업능력개발기관이 현장에서 원가정보를 쉽게 산출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시된 원가관리 통합모형이 성과관리와 연계되어 있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료를 조금 더 세분화하고 일관되게 모형을 적용하면 보다 분석가치가 있는 원가정보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표준원가를 활용한 원가계산방법으로 발전해 나감으로써 성과평가와 연계되는 고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IPP 모형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양성과정)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Diagnosis and Improvements Plan Study of CIPP Model-based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Training Course))

  • 배광민;우혜정;최명란;윤관식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95-121
    • /
    • 2017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수료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고용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국내 유일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를 담당하고, 노동시장에 양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H대학교의 교육성과는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IPP모형에 기초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실태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교직훈련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3부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대한 세부현황 파악과 심층 분석을 위해 8인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자원 등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도출되었다. 반면 학습자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교육목표와 훈련요구 항목에서 긍정의견이 도출되었으나 학습자들의 교육목표 성취여부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온라인콘텐츠 교육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과정요인에서는 수업관련 부분, 학습자 출결관리, 기관지원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종합평가에 대해 부정의견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기간 부족에 따른 학습자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인에서는 교육과정의 현업적용가능성에서 산업직종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훈련교사들에게 교육학 및 직업훈련 운영과 관련된 학습이 편성된 자격연수에 긍정적인 의견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도에서 교육수준 대비 학습시간과 학습 집중도문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등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평일과정 연수일정의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정 개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거주 교육이수자들의 자격연수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연수 합격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지원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격연수 수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의류제조 직업능력개발교육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가 교육 및 취업서비스만족도와 직업능력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rner's Motivation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ocational Education of Clothing Manufacturing)

  • 전현미;정재철;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5-91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earning motivation affects satisfaction with training and employment services and its performance for participants in government-supported job skill development program of the clothing industry so 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that fosters professionals and relieves the labor shortage in the clothing industry. 18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WIN 21.0. Most trainees were low-income citizens in their 40s and 50s. They were divided into highly educated or low-educa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when the trainees were motivated by the goals of getting a certificate or a job, employment service satisfaction levels were influenced meaningfully. Secondly,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s and occupational ability development also scored high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instructors' competency. Instructors must be required to have onsite experience so that they can provide authentic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work fiel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compulsory training session for the trainers along with an incentive program so that they can catch up with up-to-date technology and trend. Third, the research shows that supporting business startup and job placement is important. Follow-up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provided in cooper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of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s. Either outsourcing or placement of professional advisors is also needed.

  • PDF

직업기초능력 평가시스템의 기술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지표 설계 연구 (A Design Study of Standard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an NCS Core Vocational Competence System)

  • 김승희;장영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11-117
    • /
    • 2017
  • 본 논문은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하고 산업현장과 교육, 훈련, 자격제도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부합되어 취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재교육과 사회적비용등의 근본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프라로 한국형 NCS직업기초능력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 부가적으로 시스템의 기술성능 표준지표를 개발하여 한국형 NCS직업기초능력시스템의 해외진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NCS직업기초능력시스템은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등의 멀티디바이스에 적절한 반응형으로 개발되어지며 글로벌 보급을 위하여 연계대상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패킷포맷, 암호화, Class Component, 동시접속 수, 감독관-수검자 응답속도, 서버-관리자 응답속도, 응시답안 자동복구 속도, 실시간 답안전송 속도의 국제적 표준에 부합되는 10개 성능평가 지표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 정현석;이철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21-433
    • /
    • 202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성과와 관련된 역량을 교육, 개발하여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직업훈련교사의 역량 및 교육훈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및 역량사전을 활용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역량요구분석, 역량별 교육프로그램체계, 역량프로파일과 역량별 훈련모듈을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련교사의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기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직업능력개발 ODA사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Determinants of ODA i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이상철;강봉준;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99-50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ODA로 수행한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도상국에서 수행한 설문결과를 가지고 FsQCA를 적용하여 사업의 중장기목표 달성정도를 나타내는 효과성과 단기목표 달성정도를 나타내는 영향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의 효과성이 높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해법이 존재하는데, 적합성, 지속가능성 및 영향력이 높거나 또는 적합성, 영향력 및 효율성이 높은 경우에 달성된다. 둘째, 사업의 영향력이 높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해법이 존재하는데, 적합성, 지속가능성 및 효과성이 높거나 또는 적합성, 효과성 및 효율성이 높은 경우에 달성된다. 셋째, 효과성의 두 해법과 영향력의 두 해법은 등결과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효과성 분석에서는 적합성과 영향력이 핵심요소이며, 영향력 분석에서는 적합성과 효과성이 핵심요소로 나타났고,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은 상호 대체가능한 주변요소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는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셋 이상의 원인변수가 결합해서 영향을 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원인변수 단독보다는 원인변수의 집합을 고려해서 사업을 수행해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DEA를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분석 : 충남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Efficiency Analysis of Public Services Regard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DEA : Focusing on Chungnam Province's Case)

  • 안경애;강봉준;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지역단위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인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충청남도에서 2014년에 수행된 27개 사업을 대상으로 DEA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고, 2013년에 수행된 18개 사업의 효율성과 비교분석했으며, 비효율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3개의 DMU에 대해서 비효율정도를 살펴봤다. DEA 모형은 CCR모형, BCC모형 및 SE(CCR/BCC)에 의한 규모효율성에 대해서 살펴봤다. 분석결과 2014년은 2013년보다 총사업비와 사업개수가 증가하였지만, 비효율적인 사업이 증가하여 전체 효율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사업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와 직접경비를 사업별로 적절히 배분함으로써 전체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사업비가 큰 대형사업의 경우에는 사업규모를 줄이는 것이 전체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효율성 제고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했으며, 이에 기반하여 성과관리 연구의 영역을 다양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분야로 확대할 수 있었다.

직업능력개발계좌제훈련의 발전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Training Account System in Korea)

  • 유길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9-104
    • /
    • 2010
  • 직업능력개발계좌제는 정부의 가장 핵심적인 실업자훈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이론적인 틀을 활용하여 현행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계좌제훈련은 훈련상담과 고용서비스와의 연계 미흡 등으로 인하여 지원대상과 산업계 훈련수요와의 연계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기관 및 훈련생에 대한 관리체계가 미흡하고, 훈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도 미비하며, 훈련기관이 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한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계좌발급 이전에 고용서비스 제공과 훈련상담을 내실화하여 계좌발급 대상을 산업수요 및 훈련 필요성과 연계하여 훈련 필요가 있는 실업자를 대상으로 발급하고, 훈련기관 및 훈련생에 대한 관리 감독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훈련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계좌제훈련에 참여하는 민간위탁훈련시장을 양질의 훈련기관을 중심으로 구조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병원행정직종사자의 포괄적 전문직업성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ools for Hospital Administration staffs)

  • 박기혁;정용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0-350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에 적합한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인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 종합병원 및 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개인의 심리적·태도적 속성과 관련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 측정내용의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이 확보된 5개 성분은 전체 신뢰도가 94.4%로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로 매우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각 성분은 측정내용의 공통성과 명확한 의미전달이 될 수 있도록 직무수행 자신감, 보수 적절성, 직무 자부심, 업무목표 달성 능력, 업무수행 자율성으로 정의하였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전문직업성은 전통적 전문직업성 보다 넓은 개념으로 자격 및 면허 여부와 관계없이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 등에 대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는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을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