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적몰입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폰 특성 및 서비스 품질과 몰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Smartphon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and Commitment)

  • 조현숙;양승복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특성과 서비스 품질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편리성, 오락성, 편재성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특성과, 상호작용성, 개인화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이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은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편재성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는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과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 기능을 강조하면, 정서적으로 규범적으로 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미션 동의의 매개효과 (The Influency of Leadership on Care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Mission Congruency)

  • 심선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4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노인요양시설 최고관리자의 리더십과 조직미션의 동의정도가 정서적몰입, 규범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셨다. 분석결과 변혁적리더십, 조직미션의 동의 정도는 모두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규범적 몰입에 대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미션에 대한 동의정도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 PDF

해군장병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연구: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동료의 사회적 태만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by Korean Navy Personnel: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Social Loafing)

  • 이홍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81-9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해군함정에서 근무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장병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적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정서적몰입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동료의 사회적 태만은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정서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장병들은 동료의 사회적 태만을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문화와 정서적몰입 간에는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로서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균형된 조직문화의 향상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주요 영향요인을 강화하고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ay-care Teachers)

  • 심경희;부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40-54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의 중요성 및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경력몰입, 조직몰입은 모두 중간 점수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에 대해 약 20.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 자신의 정서 인식하기 순으로 경력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조직몰입에 대해 14.2%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고갈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원의 역할 (A Study on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Emotional Deple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The Role of Social Support)

  • 정해숙;김현;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63-47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고갈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400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표본 특성에는 SPSS 24를 사용, 확인적 요인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경로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에는 SmartPLS 3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직장 내 괴롭힘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정(+)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고갈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과 조직몰입 사이의 영향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부(-)의 방향으로 부분 매개하였고, 정서적 고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원의 조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직장 내 괴롭힘은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므로 괴롭힘을 예방하는 기업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조직 내 상사와의 의사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제도나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기업가정신과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Focused on examining mediator effect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권혁기;손헌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3호
    • /
    • pp.77-92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 울산, 포항지역의 중소기업 31개사에 종사하는 종업원 2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를 설계하였고, 기업가 정신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기업가 정신의 차원들이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은 정서적 몰입과 혁신행동지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위험감수성은 정서적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기업에 대한 정서적 몰입은 기업가 정신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실증분석결과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자는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을 높여 기업의 변화와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표본의 한계와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분석이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샘플을 통한 일반화의 노력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한 보다 엄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조직변화에 대한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f Examining the Antecedents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 Focusing On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 김영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63-17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변화시기에 구성원들의 조직변화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여러 변수중 상사와의 관계의 질과 조직내 신뢰가 조직변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몰입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보고 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Herscovitch & Meyer(2002) 의 조직변화의 두 가지 몰입인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을 전술된 상사와의 관계의 질과 조직내 신뢰에 대한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최근 심각한 조직변화를 겪었거나 겪고 있는 15개의 회사에서 생존한 303명의 현직자들의 응답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상사와 관계의 질(이후 LMX)과 조직변화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으나 LMX와 조직변화에 대한 규범적 몰입에는 부(-)의 영향으로 기각되었다. 그리고 조직내 신뢰와 조직변화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결과가 나와서 채택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건설대기업의 조직문화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on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 김혜진 ;황찬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83-99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소재 건설대기업 본사 및 현장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건설대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의 표집법을 적용하여 표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최종 설문수는 201부이며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설대기업 구성원이 인지한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합리문화, 개발문화, 합의문화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문화, 합의문화, 위계문화는 조직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리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신뢰는 조직문화와 정서적 몰입 간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구성원에게 안정성과 통제보다는 유연성과 변화를 향상시키는 조직문화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리더-부하간 교환관계(LMX)가 정서적 몰입과 근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 차동옥;김정식;곽신근;신유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53-36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부하간 교환관계(LMX)가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과 근속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들이 설정되어졌으며, 18개 회사 총 482명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부하간 교환관계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하여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과 근속적 몰입에 대하여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와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와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와 근속적 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직무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의 근무환경에서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erson-Job Fit on Organizational Devia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mbers' Work Settings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오창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101-1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정서몰입과 근속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직원 5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 정서몰입,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은 조직일탈행동에 부적영향을 직접 주며, 이들 중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직무부합이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직무만족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몰입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을 통해 조직일탈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