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on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건설대기업의 조직문화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혜진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 Received : 2023.05.15
  • Accepted : 2023.06.26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on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targeting the headquarters and field workers of domestics. Applied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and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01, and statistical analysis used the SPSS 20.0 program for the input data process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group of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members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rational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consensus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but hierarchical culture was not significant. Second, development culture, consensus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er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but rational culture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Fourth, organizational trust has been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commitment. This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iming flexibility & change value rather than stability & control value for organizational memb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국내 소재 건설대기업 본사 및 현장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건설대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의 표집법을 적용하여 표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최종 설문수는 201부이며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설대기업 구성원이 인지한 조직문화의 하위요인 중 합리문화, 개발문화, 합의문화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계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문화, 합의문화, 위계문화는 조직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리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신뢰는 조직문화와 정서적 몰입 간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구성원에게 안정성과 통제보다는 유연성과 변화를 향상시키는 조직문화가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혜영(2020). 경남소방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뢰 매개효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경상북도.
  2. 조용식(2017). 연예매니지먼트기업의조직문화가 소속 아티스트의 조직신뢰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서울.
  3. 유철수(2003). 경호 조직문화가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스포츠대학원대학교, 서울.
  4. 박지은(2010). 신뢰와 조직문화인식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울산.
  5. 박창순(2021). 소방공무원의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6. 한정석(2010).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7. 노기자(2011).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인천.
  8. 김미예(2010).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서울.
  9. 이경화(2013). 카지노기업의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서울.
  10. 왕매령(2013).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도.
  11. 김상민(2012).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서울.
  12. 김우영(2022).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황 동향과 대응 방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3. 이건희(2018).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인적자원,창의적 성과, 재무성과 및 기술혁신의 관계.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14. 김수진(2022). 직원 이직률이 조직성과 및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 수준 분석을 활용한 조직신뢰 풍토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15. 김병오(2017). CEO 리더십 유형과 직무역량이 조직문화를 매개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성지현(2010). 카지노 영업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딜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문화를 매개변수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윤종우(2011).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팀/직무/개인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왕아문(2017). 조직 공정성과 조직신뢰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Quinn, R., & McGrath, M. (1985). The Transformation of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Frost. P.. Moore, L., Louis, M., Lundberg, C., & Martin,J.(eds.). Organizational Culture. Sage Publications. 315-334.
  20.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Psychology, 63(1), 1-18.
  21. Mowday, R. T.,L. W. Porter, and R.M. Steers. 1982.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NY: Academic Press.
  22. Cook, J. D., & Wall, T. D. (1980). New Work Attitude Measure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3, 39-52.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0.tb00005.x
  23. Mowday, R. T., Porter, L. W., and Steers, R. M.(1982), Employee-organizational Linkges: The psychologu og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24. Parker, R. & Bradley, L.(2000).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 evidence from six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cetor Management, 132(2).
  25. Quinn, R. E., & Kimberly, J. R.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In Kimberly, J. R. & Quinn, R. E. (Eds.).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295-313. homewood. I11: Richard D. Irwin.
  26. Quinn, R. E., & McGrath, M. (1985).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Frost, P., Moore, L., Louis, M., Lundberg, C., & Martin, J(Eds.). Organizational Culture. Newbury Park.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7. Whitener, E. Brodt, M. Korsgard, S. E. & Werner, J. M.(1998). Managers a initiators of trush: An exchange relationship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anagerial trust-worthy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513-530. https://doi.org/10.2307/259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