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Focused on examining mediator effect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기업가정신과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 Kwon, Hyeok-Ki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Dong-Eui University) ;
  • Son, Heon-Il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uku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4.05.22
  • Accepted : 2014.09.14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in small and middle enterprise.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ing to entrepreneurship,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verify them, using a sample of 280 employees working for 31 companies in Busan, Ulsan, and Pohang, this study analyses empirically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hip influence innovational orientation. Second, entrepreneurship influe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A mediator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al behavior orientation is a new empirical result coming out of this study. The study provides entrepreneurship and policy-HRM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t allow them to explore significant managerial insights so as to develop appropriate policy in small and middle enterprise.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서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 울산, 포항지역의 중소기업 31개사에 종사하는 종업원 2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를 설계하였고, 기업가 정신을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기업가 정신의 차원들이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은 정서적 몰입과 혁신행동지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위험감수성은 정서적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기업에 대한 정서적 몰입은 기업가 정신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실증분석결과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자는 종업원의 혁신행동지향성을 높여 기업의 변화와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표본의 한계와 설문지법을 통한 실증분석이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이 있음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샘플을 통한 일반화의 노력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한 보다 엄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