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전거 주차장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7초

자전거 주차장 규모산정 방법 및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Estimating Scale and Requirements of Bike Parking Lots)

  • 이호원;주두환;현철승;여운웅;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38-150
    • /
    • 2009
  •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10여 년 전에 자전거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1995년)이 선포 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각 지방 도시들은 자전거 도로를 구축하고 확장 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감소와 자동차 교통사고 감소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와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욕구가 시너지 효과를 얻으면서 자전거 도로의 연장은 급증하고 있고 자전거의 공급도 높은 증가세에 있다. 그러나 자전거 전용도로 및 자전거 주차장 시설 부족으로 등으로 잠재적 수요자들로 하여금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을 기피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주차장 설치기준은 노외, 노상 및 부설 주차장으로 구분하여, 자전거 수단분담률 15%를 목표로 설정하고 자전거 주차장 규모 산정을 하였다. 자전거 주차장 규모 산정결과, 자동차 주차장 면적의 약 5% 규모의 자전거 주차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전거 주차장은 노상, 노외뿐만 아니라 부설주차장에 설치를 의무화 하는 것이 자전거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주차장법 제19조(부설주차장의 설치)의 시설물을 기준으로 자전거 주차장 설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5%는 최소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별로 조례를 정해 지역 수요에 맞는 기준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휴리스틱 P-Median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전거주차장 최적입지선정 (Optimum Location Choice for Bike Parking Lots Using Heuristic P-Median Algorithm)

  • 박보라;이규진;최기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989-1998
    • /
    • 2013
  • 최근 '자전거이용 활성화'가 서서히 사회적으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자전거 중심의 교통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어 왔으나 그 효과는 부진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주차장 등의 시설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주차장입지선정을 공학적 분석을 통해서 구현하여 보자는데 있다. 즉, 자전거 주차장의 최적 개수 및 위치를 찾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인 바, 구축 모형은 Heuristic P-Media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예산제약의 유무에 따라 모형을 각각 제시하였다.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시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30개의 예비 주차장 (센트로이드-수요지)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자전거 주차장의 입지점은 예산제약이 있는 경우 9개, 예산제약이 없는 경우 20개로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입지점들은 실제 자전거 주차장의 이용률이 높은 곳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실제 공용자전거 등의 대상지, 또는 신규 예상입지선정에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간의 한계와 향후연구과제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아파트 자전거 주차장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자전거 주차장 설치 아파트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Bike Parking Lots in Apartments - For the Apartments with Bike Parking Lo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김윤학;박성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43-5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bike parking lots in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common respondents answered the use of a bike for leisure or health, relatively few respondents answered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going to school or work. It suggests that systematic plans to expand the range of using a bike should be made such as the conne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with a bike road. The common places to keep bikes were the entrance, the inside of the house, or stairs rather than bike parking lots because of safety problems such as theft or damage.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lear regulation guidances to complement the safety problems of bike parking lots such as CCTV installation in the parking lots or compulsory installation of night light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methods to improve a bike parking lot should consider safety solutions and the complement of locations or keeping types. To activate the use of a bike,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cilities to help residents' use of bike parking lots and expand their size in the future and examine the design of bike racks.

건축물의 용도별 자전거주차장 설치기준 및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stallation Regulation and Condition about a Bicycle Parking Facility of Buildings)

  • 이성옥;김수암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73-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rules and regulations about a bike parking facility, With the objective of expanding bike parking facilities for the comfort of bikers. In Korea, the requirements to establish the facility comply with several regulations like laws for the encouragement of bike usages,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encouragement of bike usages, regulations of Gyeonggi Regional Corporation rules and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requirements for the approval of green buildings. Such rules regulate the number of parking spo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nearby houses and the size of a parking facility. Amongst the foreign regulations about the facility is 'obligatory regul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bike parking facility' in Japan. In the United States, all states apply rules about the bike facility to determine the number of bike parking spot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ar parking spots. Comparing Korean rules regarding the bike parking facility with those of foreign governments will give a good insight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reg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age of bikes, 30 houses in Goyang city, 35 schools, 16 retails shops and 20 medical centers were researched. Thereafter, a correlation test between the size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bike parking spots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e test indicates that there is a lack of space for bike park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ke parking facility be installed with a convenient access to a buil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bike usages.

조경시공현장 -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 강문성
    • 조경수
    • /
    • 통권112호
    • /
    • pp.38-41
    • /
    • 2009
  • 인천경제자유구역 내의 중앙공원이 2009년 9월에 준공하여 일반시민들에게 개장되었다. 센트럴파크는 동고서저와 강으로 대변되는 한반도의 지형적 특색을 담고 있으며 동고서저는 구릉이 있는 산책로와 낮은 잔디밭으로, 강은 수로로, 다도해 남해는 인공 섬이 있는 수변 공간으로 연출돼 있으며 인공으로 조성된 수로에는 수상택시가 다니고 있다. 지하에는 2,700여대가 추자할 수 있는 주차장을 공원과 분리하여 조성하였고 수로주변에는 보행자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이 조정되고 추후 공원 내 박물관 및 생태관이 조성될 예정이다. 센트럴 파크는 인천광역시 송도동 24-5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411,319m^2$, 사업기간은 2007. 2. 1 ~ 2009. 7. 31, 사업비는 1,900억원(공원 1,200억원, 주차장 700억원)정도이며 주요시설로는 해수 수로, 수상택시 및 무빙스테이지, 지하주차장, 조각원, 정형식 정원, 초지원, 보트하우스, 비지터센터 등이 있다.

  • PDF

서울시 자전거 보관소의 개선방안 -서울시 지하철 연계 환승 보관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bicycle storage improvement in Seoul -Focusing on the bicycle storage in Seoul subway transit links-)

  • 박연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05-411
    • /
    • 2016
  • 서울시는 대체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분담률을 높이기 위해 매년 자전거 이용시설정비 및 관리계획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지만 지난 10년간의 자전거 분담률은 거의 제자리에 머물렀고 이용객들은 여전히 관련 시설물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점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과의 연계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활용도를 떨어트리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자전거 분담률이 높은 선진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고 환승 이용객 수가 많은 서울시 지하철역인 신도림역의 사례와 비교하여 적용 가능한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독일, 네덜란드의 사례에서는 지하철 환승객에게 자전거와 대중교통의 연계를 돕고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자전거 주차 시스템을 살펴보았고, 일본의 사례에서는 지하 매립형 타워 형태의 자전거 주차장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 많은 자전거 수용이 가능하며 보안의 측면이나 접근성 또한 우수한 새로운 보관소의 형태를 살펴보았다. 서울시의 자전거 분담률을 높이기 위해서 시설의 양적 증가보다는 현재 시설물의 사용성 문제를 파악하고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하여 주차시설에 대한 서비스와 형태적인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단입도 골재에 따른 투수콘크리트의 투수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ermeable Concrete Performance by aggregate)

  • 윤상혁;송태협;이세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873-876
    • /
    • 2008
  • 본 연구는 근래에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재료인 시멘트를 활용한 도시의 포장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 대부분의 포장재료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불수투수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따른 문제점과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1970년 이후 선진 외국에서는 투수성 아스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보도, 주차장, 광장 및 자전거로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투수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의 사용재료를 이용하여 투수성이 우수한 복합재료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순서, 방법 및 배합 조건에 의한 변수가 많은 재료이며, 이에 대한 배합설계 방법의 연구가 중요하다. 투수콘크리트의 제조는 콘크리트 내부에 연속공극율의 확보, 균일한 구조에 의한 강도가 중요하며, 이에 투수콘크리트 공극형태의 변화에 따라 투수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속공극과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단입도 골재를 이용하여 투수콘크리트의 투수성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HP를 이용한 철도역세권개발사업의 역사편의시설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mary Factors of Station Build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Railroad Station Area Development Using AHP)

  • 고영선;정재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0-738
    • /
    • 2010
  • 철도역세권개발사업은 사업운영자나 시행자, 민간사업자 등 주관적 이해관계에 따라 시설의 중요도가 다양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고객만족도 측면에서 철도이용자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다. 철도역사 내부시설은 호텔, 백화점, 업무시설, 위락, 편의시설 등을 유치하여 이용자 생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내외 연결통로, 철도, 지하철, 버스, 택시, 자전거 등을 연결한 종합 환승터미널, 보행자 동선 등 이용자의 편리성 시설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세권 개발사업의 역사이용시설 편리성면에서 중요인자를 AHP기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철도 이용자와 철도공사 직원의 비교 분석결과를 보면 가장 상위중 요인자인 역사이용시설 중 직원이나, 시설이용자 모두 동일하게 여객시설, 승강시설을 중요순위로 선택하였다, 세 번째 중요수위는 직원은 이동시설을, 고객들은 위생시설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중요인자 결과를 살펴보면 직원, 고객 모두 여객시설 중 승강장, 대합실에서는 휴게시설, 승강시설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이동시설에서도 에스컬레이터, 안내시설에서는 점자블록, 부대시설에서는 주차장을 중요하게 선택하였다.

  • PDF

알갱이 형태의 유색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ored Asphalt Hot Mixtures through the Usage of Grain-typed Color Additive)

  • 이상염;안용주;문성호;김영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7-122
    • /
    • 2011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은 많은 곳에서 쓰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심지 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그리고 자전거 도로에 이용되고 있다. 사용재료의 성질을 보면 비교적 온도에 민감한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유연한 성질을 보여주고 있고 겨울철에는 강성의 성질을 보여주고 있다. 포장관리의 측면에서는 손상된 부분에 대해서는 비교적 쉽게 보수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의 색깔은 검정과 회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아스팔트 포장은 다양한 칼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크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칼라포장을 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시멘트 형태의 칼라도료를 아스팔트 포장에 칠하는 방법으로 도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위를 요하는 시공이 요구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칼라 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시공을 들 수 있다. 본 방법은 원하는 아스팔트 층에 대해 전체적으로 색을 입히는 방법으로 장점으로는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혼합물 배합설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주로 빨간색 그리고 갈색으로만 색깔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첨가제를 이용하여 영구변형, 수분민감도 및 피로균열에 대한 공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