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Permeable Concrete Performance by aggregate

단입도 골재에 따른 투수콘크리트의 투수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윤상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구조.재료연구실) ;
  • 송태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구조.재료연구실) ;
  • 이세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구조.재료연구실)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Although Permeable concrete is resently used as a pavement at a parking lot, a public squre and a bicycle road, we use without enough examining. most the maintenance of quality for Permeable concrete is only dealt with strength and color tone. also, there is not yet enough fundamental data about dynamical properties for strength, rate of void and water permeability. even when it is applied to at the scene, it is been a matter.

본 연구는 근래에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재료인 시멘트를 활용한 도시의 포장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 대부분의 포장재료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불수투수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이에 따른 문제점과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1970년 이후 선진 외국에서는 투수성 아스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보도, 주차장, 광장 및 자전거로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투수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의 사용재료를 이용하여 투수성이 우수한 복합재료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조공정상의 순서, 방법 및 배합 조건에 의한 변수가 많은 재료이며, 이에 대한 배합설계 방법의 연구가 중요하다. 투수콘크리트의 제조는 콘크리트 내부에 연속공극율의 확보, 균일한 구조에 의한 강도가 중요하며, 이에 투수콘크리트 공극형태의 변화에 따라 투수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속공극과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단입도 골재를 이용하여 투수콘크리트의 투수성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