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ored Asphalt Hot Mixtures through the Usage of Grain-typed Color Additive

알갱이 형태의 유색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연구

  • 이상염 (서울시청 도시안전본부 도로관리과) ;
  • 안용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문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 김영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Received : 2011.10.25
  • Accepted : 2011.11.11
  • Published : 2011.12.15

Abstract

Asphalt concrete pavement can be widely seen on urban streets, highways, parking lots, and bike trails. Asphalt concrete pavement is relatively temperature sensitive materials due to the viscoelastic behavior, which can be defined as flexible performance in summer and rigid performance in winter. In terms of maintenance, it can be fixed quite easily if damaged. In addition, asphalt concrete pavement is generally found to be black and grey in color. However, several colors can be adopted to change the appearance of plain old boring, black and grey. Generally, there are two types of color systems in hot mix asphalt concrete materials. One system uses colored cementitious material that is applied to pavement surface through coating the surface of the asphalt pavement. The major disadvantage to this system requires a careful skill set to be used on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prevent taking off the cementitious material. The other coloring system colors the asphalt hot mixtures through using color additives. The main advantage to this system is that the asphalt pavement layer is colored using the same techniques that are already used in paving.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colors are limited to mainly reds and browns. In this study, a suggested color additive was evaluated, based on rutting, moisture sensitivity, and fatigue cracking performance.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은 많은 곳에서 쓰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심지 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그리고 자전거 도로에 이용되고 있다. 사용재료의 성질을 보면 비교적 온도에 민감한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유연한 성질을 보여주고 있고 겨울철에는 강성의 성질을 보여주고 있다. 포장관리의 측면에서는 손상된 부분에 대해서는 비교적 쉽게 보수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의 색깔은 검정과 회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아스팔트 포장은 다양한 칼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크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칼라포장을 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시멘트 형태의 칼라도료를 아스팔트 포장에 칠하는 방법으로 도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위를 요하는 시공이 요구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칼라 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시공을 들 수 있다. 본 방법은 원하는 아스팔트 층에 대해 전체적으로 색을 입히는 방법으로 장점으로는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혼합물 배합설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주로 빨간색 그리고 갈색으로만 색깔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첨가제를 이용하여 영구변형, 수분민감도 및 피로균열에 대한 공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성균, 김광우, 도영수, 정일권, 이성훈(1999). "차도용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기본 특성." 한국도로포장공학회 창립기념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89-96.
  2. 이석홍, 김완상, 이병건, 지완구, 최준호(2003). "칼라 아스팔트 혼합물의 저온균열에 의한 파손사례."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205-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