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지적 태도

검색결과 811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학부모의 장애아에 대한 태도가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Disabled Children on Integrated Childcare Attitudes in Regular Parent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41-144
    • /
    • 2012
  • 본 연구는 일반학부모의 장애아에 대한 태도가 통합보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2012년 3월 2일부터 10일까지 J지역 소재 통합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는 일반 자녀를 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에 대한 태도가 통합보육 일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지적, 감정적 요소가 일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에 대한 태도가 통합보육 유아활동 및 교사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지적, 행동적 요소가 유아활동 및 교사관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에 대한 태도가 통합보육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가 행동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반학부모의 장애아에 대한 태도에 따라 통합보육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학부모의 장애아에 대한 인지적, 감정적 요소에서 차이를 보여 이들 요인의 인식 개선시 통합보육태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통합보육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모두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이질적인 상대의 존재를 받아들이고, 존중하며 함께 배우려는 학부모의 인식전환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cientific Attitudes and Cognitive Self-esteem)

  • 김희정;김세루;윤수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87
    • /
    • 2011
  •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개 반 각 20명씩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주 5회씩 6주간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에서는 '솔직성', '객관성', '비판성', '판단유보', '끈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인지적 자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물을 탐색하고, 비교, 예측, 조작, 실험하고, 유아-유아, 유아-교사, 유아-자료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과학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인지적 자아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의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교육이 아니라 유아들에게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활동이 제공되어야함을 시사함과 동시에 이러한 과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직접비교 광고, 간접비교 광고와 일반광고의 비교- (Relative Influence of Ad Attitude and Brand Cognition On the Brand Attitude - Focused On Direct Comparative, Indirect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 -)

  • 김성재;유명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41-34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직접비교 광고와 간접비교 광고 그리고 일반광고와 비교하여 브랜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적(광고 태도), 인지적(브랜드 인지)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직접비교 광고에서는 브랜드 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광고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비교 광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브랜드 인지가 광고 태도에 비해 브랜드 태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비교 광고에 비해 그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반면 일반광고에서는 광고 태도의 영향력이 브랜드 인지에 비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직접비교 광고뿐만 아니리 간접비교 광고에서도 소비자들이 인지적 노력을 통해 태도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동안 국내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꺼려왔던 직접비교 광고가 간접비교 광고에 비해 오히려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cusing Attitud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of Trauma-Exposed Adolescent Athletes)

  • 김상태;장홍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79-487
    • /
    • 2019
  • 이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 지역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 운동선수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 결과,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적재평가요인과 알아차리기, 수용, 받아들이기, 되새겨보기 및 긍정적 초점변경요인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기전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해 포괄적으로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포커싱적 태도 수준을 제고하고 인지적 정서를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심리적 훈련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2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참가태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anatour International Travel Show 2012 Visitors' Participation Attitude on the Satisfaction)

  • 이강욱;지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89-498
    • /
    • 2012
  • 본 연구는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 요인이 심리적 만족과 방문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하나투어 여행박람회 방문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3부의 유효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인지적 태도 요인은 심리적 만족과 방문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정서적 태도 요인은 심리적 만족과 방문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행박람회 방문객의 만족에는 참가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우선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문객의 만족도가 긍정적 행동의도에 옮겨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차별화된 아이템과 콘텐츠가 개발된 여행박람회가 기획되어야 하겠다.

인지초점과 감정초점이 DMB 휴대폰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gnitive Focus and Affective Focus on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in DMB Cellular Phone Purchasing)

  • 손준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95-20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DMB 휴대폰 마케팅에서 인지정보와 감정정보의 초점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험설계에 따라 인지초점집단, 감정초점집단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여, 무조작집단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인지초점집단은 인지적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감정초점집단은 감정적 태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구매의도에서는 감정초점집단의 구매의도가 가장 높았고, 인지초점집단의 구매의도가 중간수준, 무조작집단의 구매의도가 가장 낮았다. 일정 기간후의 기억에서는 인지초점집단은 인지정보를 많이 기억하였고 감정초점집단은 감정정보를 많이 기억했으나, 유의적 차이는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제시된 제품정보의 초점에 따라 소비자들은 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으며, 감정정보의 영향이 인지정보보다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초점효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화되지만 지속적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커피전문점의 광고실행 유형이 고객의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Custo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mation Process by Advertising Execution Types - A Korean Coffee Shop Case)

  • 정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866-876
    • /
    • 2013
  • 관광 서비스 업체들은 광고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하여 고객들의 태도를 자사 상품에 호의적으로 변화 또는 유지 시키려 노력한다. 그리고 효과적인 설득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광고실행 방법에 변화를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감성적 광고실행과 인지적 광고실행 유형이 고객들의 광고태도, 상표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광고실행의 유형에 따라 영향력의 정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감성적 광고실행 방법을 적용한 광고의 경우 광고태도는 상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구매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인지적 광고실행의 방법의 광고의 경우는 광고태도가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크지 않으나 두 변수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연구 - Perry의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를 기반으로 -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ventory based on Perry Scheme and Langer's Mindfulness)

  • 이규희;이지현;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75-7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차원의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행동 의도, 정서적 차원의 감정으로 개념화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인지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마인드풀니스의 하부구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 이론을 고찰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검사도구는 수학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암기하는 수학 교수학습 상황을 진단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분석적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based on Level of Product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y)

  • 장활식;조평총;박광오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47
    • /
    • 2010
  •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기업들은 세계적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니기 위해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상품판매, 서비스 제공, 고객과 소통하고자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TAM 모형을 통한 상호관계나 선행관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좀 더 확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정보와 서비스 제공수준은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연구가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른 소비자 태도 차이를 조망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에 연구가 미약하였던 상품정보제공수준 및 서비스제공수준과 기존에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와 구전의도간의 상호인과관계를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 태도 차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따라 소비자들이 인지된 가치,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변수들간에 상호인과관계와 선행관계가 존재하였다. 상품정보제공수준과 서비스 제공수준은 인지된 가치와 인지된 위험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인지된 가치는 인지된 위험, 구매의도, 구전효과에, 인지된 위험은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 나윤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6
  • 사회적기업의 브랜드를 추구하는 패션 소비층은 개인적인 가치 기준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고 자신만의 감도를 찾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패션 사회적 브랜드는 새로운 각도에서 소비자들을 이해하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세부적 요인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며,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패션사회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진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bigcirc}{\bigcirc}$ 패션 사회적 브랜드 상품구매경험자를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감성적 유대는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감성적 유대,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