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효과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4초

COVID-19 상황에서 직무불안정성,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시설 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ports Facility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최승국;노용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3-20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ports facility workers in the COVID-19 situation,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thods: This study surveyed service workers working at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The multi-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l of the factors constituting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job, and perso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actors constituting job stress (job characteristic, roll-related, and human relationship factors), except for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 and rol-related factor. Job characteristic and roll-related factors constituting job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turnover intention of sports facility workers. Also,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 factors of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Although the COVID-19 created an environment with very high job instability, the negative impacts of job instability and job stress can be minimized through consideration and support for service workers of the organizatio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게임업계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Gaming Industry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

  • 이상형;정형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9
    • /
    • 2024
  • High turnover and short tenure in the gaming industry has been a problem since the 2000s. Although high turnover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working hours, it has a negative impact on labor stability, and the negative effects of turnover outweigh the positive effects for companies, so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n antecedent of turnov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the game industr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221 employees in the game industry showed that emotional engagement among th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s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goals such as game release and rewards to keep employees emotionally engaged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보육교사 이직의도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 김용애;장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66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a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5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45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work-life bal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work-family bala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whil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examining ways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by addressing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매실추출물이 활성산소종 소거효과와 B16F1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Scavenging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 Cells)

  • 박형준;김문무;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36-942
    • /
    • 2012
  • 매실나무(Carthamus tinctorius L.)는 한국, 일본과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약효가 있는 음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과일은 위염증 및 위궤양에 도움이 되는 생물학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피부미백과 관련된 효능에 대한 연구는 이직까지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피부미백에 대한 매실추출물의 효능이 조사되었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생존에 대한 결과로 매실추출물은 0.1%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 매실추출물의 환원력 뿐만 아니라 DPPH radical, hydrogen peroxide 및 superoxide에 대한 직접적인 소거효과가 in vitro에서 평가되었다. 그것은 이상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된 genomic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관찰 되었다. 뿐만 아니라 L-dopa에 의하여 유발되는 멜라닌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것은 또한 Western blot 분석에서 항산화와 괸련된 NRF-2, SOD-1 및 SOD-2 발현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매실추출물이 항산화에 의한 멜라닌생성의 억제를 통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Work-Life Balance(WLB)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 분석 (Meta-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WLB))

  • 김종윤;박선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14-22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Work-Life Balance(WLB)와 관련 다수의 실증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WLB와 그 관련변인 간의 관계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8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게재 논문을 연구 분석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으며, 총 27편의 국내 학술지의 126개 하위그룹의 통계치를 가지고 코딩을 진행하였고,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LB와 관련된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365로 작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둘째, WLB가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 구분의 효과크기는 직무몰입, 혁신, 성과,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WLB 연구의 종속변인이 개인 초점일 때보다는 조직 초점 변인일 경우 효과크기가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WLB 연구의 종속변인이 희생,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 같이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종속변인은 -0.254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직무만족, 정서몰입과 같이 정적인 영향의 종속변인은 0.576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WLB 하위요인 구분 간 효과크기는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순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노인에 대한 태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ath Awareness,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on Clinical Competency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박미라;여형남;제남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273-283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의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자료구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에 소재한 요양병원 간호사 166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은 죽음인식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r=.28, p<.001).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인식(β=.235, p=.002)이었고, 다음으로 기혼(β=-.214, p=.004), 희망일 휴무 '그렇다' (β=-.182, p=.013)이며, 설명력은 16.2%이었다(F=10.528, p<.001).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죽음인식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근무시 희망휴무가 가능하도록 배려하며, 기혼자의 근무를 장려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의 간호사 근무스케줄 배정 및 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민간경비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a job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training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 이세환;이승철;박준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19호
    • /
    • pp.139-163
    • /
    • 2009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훈련만족도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신임교육을 받은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교육훈련만족도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만족도와 사회적지지, 직무수행의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만족도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육과정, 교육행정, 교수강의 능력이 직무몰입에 정(+)영향이 나타났으며 직무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교육시설보다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행정, 강의능력이나 교육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지지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사회적지지가 직무수행에서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으로 교육훈련을 지지해 주었을 때 직무몰입과 이직의도가 상승한다는 것으로 사회적지지인 경비원의 교육기회제공과 교육비제공, 교육의 중요성 인식을 통하여 경비원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업무조건의 사회적환경이 되었을 때 직무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조절역할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한경혜;임왕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65-8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수도권 소재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263명의 사회복지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유효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인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및 업무량 모두 조직유효성 변수들인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이직의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조절역할에 대한 이론적 기제를 규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합리적 모바일 업무 지시 및 모바일 정보 공유가 구성원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 효능감의 조절 효과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asonable Mobile Task Instruction and Mobile Information Sharing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태식;김영무;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7-49
    • /
    • 2019
  • 최근 대부분 기업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또한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조직은 올바른 정보기술을 활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그들의 이직을 감소시키는 것은 모든 조직이 직면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를 줄일 수 있는 요소가 직무만족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직무만족의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소를 탐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요소로 합리한 모바일 업무지시와 모바일 정보공유에 초점을 두고 각각의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바일 업무지시와 모바일 정보공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증대 방안으로 구성원들의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에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직무만족을 높여주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산업별 수입침투율이 일자리 안정성에 미친 영향 (Import Penetration and Job Stability: A Micro-Level Analysis for Korea)

  • 황선웅;김재덕;김혁중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97-220
    • /
    • 2017
  • 본 논문은 비선형 해저드 모형을 이용해 산업별 수입침투율 상승이 개별 노동자의 일자리 중단 확률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입침투율 상승은 일자리 안정성에 상당히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산업 총공급 대비 수입 비중이 1%p 증가하면 해당 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이직 확률은 4.5%p 증가한다. 둘째, 무역자유화의 효과는 수입과 수출 간에 비대칭적이다. 수입침투율의 경우와 달리 수출의존도가 일자리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셋째, 수입침투율이 일자리 안정성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의 크기는 노동자 특성에 따라 다르다. 중소기업과 무노조 기업에 속한 노동자와 저학력 노동자가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