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Penetration and Job Stability: A Micro-Level Analysis for Korea

산업별 수입침투율이 일자리 안정성에 미친 영향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2.22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impact of increasing import penetration on the job stability of Korean work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ort penetration negatively affects job stability. If an industry's ratio of imports to total supply increases by 1 percentage point, the turnover probability of workers in that industry increases by 4.5 percentage points. Second, the effect of trade liberalization is not symmetric between imports and exports. Unlike the case of imports, an industry's ratio of exports to outp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ability. Third, the impact of import penetration is not uniform across different types of workers. The negative impact is greater for workers in small firms, less educated workers, and those not protected by labor unions.

본 논문은 비선형 해저드 모형을 이용해 산업별 수입침투율 상승이 개별 노동자의 일자리 중단 확률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입침투율 상승은 일자리 안정성에 상당히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산업 총공급 대비 수입 비중이 1%p 증가하면 해당 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이직 확률은 4.5%p 증가한다. 둘째, 무역자유화의 효과는 수입과 수출 간에 비대칭적이다. 수입침투율의 경우와 달리 수출의존도가 일자리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셋째, 수입침투율이 일자리 안정성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의 크기는 노동자 특성에 따라 다르다. 중소기업과 무노조 기업에 속한 노동자와 저학력 노동자가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