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보육교사 이직의도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 Yongae Kim ;
  • Kyungeun Jahng
  • 김용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24.05.05
  • Accepted : 2024.07.15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a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5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45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work-life bal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work-family bala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childcare cente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whil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examining ways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by addressing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미, 김경철 (2023). Q 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2), 125-153. https://doi.org/10.22155/JFECE.30.2.125.153
  2. 강우란, 배노조, 정지영 (2006). 경영의 새 화두: 일과 생활의 균형. 삼성경영연구소 CEO Information, 558, 1-21.
  3. 구민주, 신여울, 박다은 (2018).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마인드셋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5), 81-92. https://doi.org/10.5723/kjcs.2018.39.5.8
  4. 구은미, 박성혜 (2013). 보육교사의 건강과 기관의 조직 건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33-53.
  5. 김명순, 김수정, 강형옥, 정아람 (2018). 보육교사가 인식한 직무만족도, 전문성과 어린이집 조직분위기 및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연구, 38(1), 391-415.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1.016
  6. 김보경, 이경님 (2021).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경력몰입 및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 719-735.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0.719
  7. 김선아, 김민영, 김민정, 박성민 (2013).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7(1), 201-237.
  8. 김성숙, 조동혁 (2022). 유아교육기관의 조직건강성이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9(6), 170-194.
  9. 김소현, 윤주연, 장경은 (2023).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아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3(1), 347-371. https://doi.org/10.18023/kjece.2023.43.1.014
  10. 김용애 (2023).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일과 삶의 균형 및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웅기, 박정열 (2023). 스마트워크 환경구축 및 복잡성,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경영층의 리더십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24(7), 191-213.
  12. 김의종, 허창구 (2020).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이 가정, 조직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3(3), 267-296. https://doi.org/10.24230/kjiop.v33i3.267-296
  13. 김정림, 조혜진 (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14. 김정순, 박진성 (2022. 04). 보육교사의 여가 만족과 회복 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년 춘계정기학술대회, 163-165.
  15. 김정운, 박정열 (2008). '일과 삶의 균형 (Work-Life Balance)'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https://doi.org/10.22879/slos.2008.5.3.53
  16. 김정희, 신시연 (2015).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45-62.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45
  17. 김주엽, 박종찬, 김찬중 (2009). 일과 생활의 균형,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3(4), 121-153.
  18. 김지은, 신동주 (202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일과 삶의 균형, 역할수행능력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23(4), 17-31. https://doi.org/10.21213/kjcec.2023.23.4.17
  19. 남순현, 김미혜 (2014). 베이비부머의 여가중심 라이프스타일, 은퇴준비 및 부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4(1), 183-203.
  20. 민경선 (2018). 워라밸 세대의 제안과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https://doi.org/10.21097/ksw.2018.08.13.3.377
  21. 박성준, 김환휘, 김주일 (2020). 보육교사의 양육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4(4), 161-182. https://doi.org/10.22590/ecee.2020.24.4.161
  22. 박용진 (2009).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 조직건강 간의 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방은영, 강미경 (2023).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영아 교사의 직무만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7(5), 859-869.
  24.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서에스더, 김효진 (2022).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일과 삶의 균형이 직업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21(2), 73-96. https://doi.org/10.21183/kjcm.2022.06.21.2.73
  26.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손대호, 서현아 (2021). 유아교사 조직문화 및 조직건강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재미 지각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1), 1301-1316.
  28. 안나래, 김희수, 안선희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3(5), 87-102.
  29. 양미선, 이윤진, 김동훈, 조숙인, 김근진, 구자연, 오미애, 김문정 (2021). 2021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보고.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www.mohw.go.kr에서 2024년 3월 11일 인출
  30.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 (2018). 유아교사론4판. 정민사.
  31. 오교선, 공인숙 (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https://doi.org/10.14968/jkcce.2016.12.187
  32. 윤경미, 전병주 (2015).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25-3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5
  33. 윤종건 (1989). 학교조직건강 진단 도구의 개발. 교육논총, 4(1), 71-97.
  34. 윤혜미, 노필순 (2013).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35. 이다은, 안선희 (2022).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업무 과부하, 급여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 3년 이하 민간어린이집 교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 621-637. https://doi.org/10.22251/jlcci.2022.22.24.621
  36. 이명한, 김보현, 구광현 (2021).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 보육헌신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4), 119-142.
  37. 이명희, 홍순옥 (2020).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 건강과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 균형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903-924.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8.903
  38. 이미영, 이홍직, 안수경, 윤수인, 최순례, 윤승태 (2019). 임금노동자의 일과 여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63-96.
  39. 이소담, 이승연 (2018). 보육교사의 일-삶 균형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경향 및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185-213. https://doi.org/10.21183/kjcm.2018.03.17.1.185
  40. 이영주, 서현아 (2020). 유아 교사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 균형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0(4), 179-203.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4.008
  41. 이재도 (202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이종은, 김희태 (2021).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9(1), 169-187. https://doi.org/10.18230/tjye.2021.29.1.169
  43. 이주연, 지명원 (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91
  44. 이주영, 고재욱 (2015).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63-82.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63
  45. 임지영, 최양미 (2021).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이 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워라벨과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4), 183-204. https://doi.org/10.22155/JFECE.28.4.183.204
  46. 임한나, 최인숙, 김헤라, 채진영 (2019). 근무기관의 조직건강성이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4), 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4.001
  47. 장원호, 박성빈 (2019).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교육연구논총, 40(2), 111-133. https://doi.org/10.18612/cnujes.2019.40.2.111
  48. 정예지, 윤정구, 김세은 (2016).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이 직무성과와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 만족과 생활 만족 간 긍정적 교호작용효과 (Positive Reciprocal Effect)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5(5), 1471-1499. https://doi.org/10.17287/kmr.2016.45.5.1471
  49. 정현선, 양현철, 박동건 (2013). 직장 유연성이 신입사원급 직장인들의 이직의도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성장 균형, 조직지원인식의 매개 효과 및 셀프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6(1), 149-176. https://doi.org/10.24230/ksiop.26.1.201302.149
  50. 조남예, 문재우 (201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67-89.
  51. 지은경, 정희정 (2018).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1(3), 131-155. https://doi.org/10.20325/KCA.2018.11.3.131
  52. 최미란, 이세은, 이선임, 장경은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35-59.
  53. 최은미, 최성주 (2020). 일-가정양립제도 및 조직변화가 개인의 일과 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 시간과 장소의 유연성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4), 1-27.
  54. 표갑수, 황영자 (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55. 한태희 (2019). 보육교사의 보상체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6. Aboobaker, N., & Edward, M. (2020). Collectiv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on turnover intention: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Global Business Review, 21(5), 1218-1231. https://doi.org/10.1177/0972150919857015
  57. Allen, N. J., & Meyer, J.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58. Bakker, A. B., Van Veldhoven, M., & Xanthopoulou, D. (2010). Beyond the demand-control model: Thriving on high job demands and resources.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9(1), 3-16. https://doi.org/10.1027/1866-5888/a000006
  59. Baral, R., & Bhargava, S. (2010). Work-family enrichment as a mediator between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for work-life balance and job outcom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5(3), 274-300. https://doi.org/10.1108/02683941011023749
  60. Crouter, A. C. (1984).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Human Relations, 37(6), 425-441. https://doi.org/10.1177/001872678403700601
  61. Greenhaus, J. H., Ziegert, J. C., & Allen, T. D. (2012). When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matters: Relations between multiple sources of support and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2), 266-275. https://doi.org/10.1016/j.jvb.2011.10.008
  62. Hanushek, E. A., Rivkin, S. G., & Schiman, J. C. (2016). Dynamic effects of teacher turnover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55, 132-148.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16.08.004
  63. Haser, S. G., & Nasser, I. (2003). Teacher job satisfaction in a year-round school. Educational Leadership, 60(8), 65-67.
  64. Hayes, A. F. (2013).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https://www.jstor.org/stable/24018134
  65. Jovanovic, J. (2013). Retaining early childcare educators. Gender, Work & Organization, 20(5), 528-544. https://doi.org/10.1111/j.1468-0432.2012.00602
  66.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67. Lin, J. H., Wong, J. Y., & Ho, C. H. (2015). The role of work-to-leisure conflict in promoting frontline employees' leisure satisfaction: Examining the 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27(7), 1539-1555. https://doi.org/10.1108/IJCHM-03-2014-0155
  68. McCormick, K. I., McMullen, M. B., & Lee, M. S. (2022).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well-being as a predictor of the risk of turnover in early head start & head start setting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33(4), 567-588. https://doi.org/10.1080/10409289.2021.1909915
  69. Sirgy, M. J., & Lee, D. J. (2018). Work-life balance: An integrative review.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3(1), 229-254. https://doi.org/10.1007/s11482-017-9509-8
  70. Spiers, A., & Walker, G. J. (2008). The effects of ethnicity and leisure satisfaction on happiness, peacefulness, and quality of life. Leisure Sciences, 31(1), 84-99. https://doi.org/10.1080/01490400802558277
  71. Totenhagen, C. J., Hawkins, S. A., Casper, D. M., Bosch, L. A., Hawkey, K. R., & Borden, L. M. (2016). Retai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orker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0(4), 585-599. https://doi.org/10.1080/02568543.2016.12146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