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효과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4초

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무착근도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Job Embeddedness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 김은희;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042-5052
    • /
    • 2014
  •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착근도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D시에 근무하는 200병상 이하의 3개의 병원 196명과 600병상 이상 2개의 종합병원 216명, 그리고 800병상 이상 3개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1명으로 총 65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SEM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착근도는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고 간호업무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건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Construction Industry Workers)

  • 이수진
    • 벤처혁신연구
    • /
    • 제7권1호
    • /
    • pp.151-166
    • /
    • 2024
  • 본 연구는 건설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태도나 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자본을 희망, 복원력(탄력성), 자기효능감, 낙관성의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1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직몰입이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리적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과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복원력과 낙관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과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건설업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대한 외부적인 측면을 주로 고려하였다면, 연구를 통해 심리적인 측면에 접근하여 조직몰입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건설업 종사자들의 심리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조직에서의 직무에 대한 희망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정 속에서 직무를 이행하기 때문에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희망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직무 자율성 부여, 유연한 근무 등과 같은 다양한 제도 정비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PAS Assistants f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Dedicated Workforce)

  • 정새봄;전주람;임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09-32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지원사들이 인식하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세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및 두 변인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 경감을 위한 대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활동지원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11개 활동지원서비스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사 274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한 설문을 실시하여, 전담인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은 이직의도를 높이고,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지각한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 경감 및 이직의도에 활동지원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자원이 됨을 시사한다.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계약이 신뢰와 불신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Contract on Turnover Intention as Mediated by Trust and Distrust)

  • 김도균;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15-126
    • /
    • 2017
  • 4차 산업혁명과 불확실성으로 대표되는 급격한 변화 속에서, 조직에 대한 신뢰는 조직의 성공에 직결되는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신뢰와 불신을 차별적 개념으로 선정하고,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계약, 신뢰와 불신,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은 불신에, 심리적 계약은 신뢰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불신만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신뢰와 불신이 하나의 차원이 아닌 두 개의 분리된 개념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또한 조직공정성은 이직의도에 직접효과가 없었고, 불신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뢰와 불신의 차별적 효과를 규명한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의의를 갖는다.

융복합 관점에서 임상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 Practitioner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 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31-342
    • /
    • 2016
  • 의료기관에서의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은 많은 관심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들은 의료기관을 포함한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를 중심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 직무소진, 그리고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병원경영전략을 제시하면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들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영향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임상간호사들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도 또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조직의 인사관리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소진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병원조직 운영에 경영학과 심리학의 융복학적 인사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병원조직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융합시대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융합연구 (Convergence of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apabi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Fusion Age)

  • 김정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5-50
    • /
    • 2018
  •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에 있는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 1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강화와 조직효과성 향상을 강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개발역량의 태도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지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가치와 기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와 지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태도와 기술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개발역량의 가치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태도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인 가치, 태도, 기술, 지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할 경우, 직무만족이 낮아지거나 이직하고자 하는 의도정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 아직까지 사회복지사의 개인역량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이 열악한 상황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공정성이 조절하는 정서적 고갈의 매개 효과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turnover intentions -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depletion moderate by organizational Justice)

  • 정해숙;김현;현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209-220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 공정성이 조절하는 매개효과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을 분석하여 SPSS 24와 smartPLS 3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 내 괴롭힘의 증가하면 정서적 고갈, 이직 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고갈은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 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공정성은 직장 내 괴롭힘과 정서적 고갈 사이의 영향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의무화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사자들에 대한 존중과 감수성을 높이고, 조직 공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안녕과 성장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괴롭힘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 서비스 구성원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urnover Intention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China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elf-Efficacy)

  • 황란쥔;진춘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7-5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의 핵심요소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직무특성의 핵심요소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서비스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 직무특성의 하위요인들인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모두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를 저하시키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은 기술다양성, 자율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직무특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서비스업 기업과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서비스업 기업의 실무자에게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 :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 Efficacy)

  • 이병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287-29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전/충남의 장애인복지관 14개소의 종사자 356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AMO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부트스트랩 등의 분석을 실시했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의 이직의도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만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을 높이기 위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의 활성화, 처우수준의 개선, 기관 내부에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축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종사자들과 관계인들 사이에 긍정적이고 존중하는 신뢰관계의 구축, 슈퍼바이저의 역량강화와 역할, 셀프리더십의 함양 등이 필요하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Turnover Intention: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Stress & Work Engagement)

  • 최보윤;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91-299
    • /
    • 2022
  • 본 논문은 조직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서 정서적 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Macro 및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인격적 감독,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중매개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정서적 스트레스, 직무열의, 이직의도에 대한 경로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종단적 연구 및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