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사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27초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Teacher-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김영미;이경님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18
  •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 575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문화와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조직문화는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임파워먼트는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교사 효능감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원장 코칭리더십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조직문화와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교사효능감의 증진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fficacy Belief and Interactions of Teachers and Children)

  • 김현지;나동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1-128
    • /
    • 2006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아가 교사교육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5세 유아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는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경력 및 연령과, 일반적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연령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은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경력 및 연령을 통제한 후에도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 PDF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 최소영;신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1-32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24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4명이었다.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은 교사에게 의뢰한 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자유놀이시간의 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놀이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에 유아의 놀이성 일부 요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효과의 검증 결과,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낮은 집단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에 따른 놀이단절 수준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낮은 자발성 수준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서 개인이 가진 취약한 특성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eaching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ing Efficacy)

  • 허은하;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5-1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123개 유치원과 156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76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교수효능감(김해숙, 2017)과 교사전문성(김해현, 2017) 및 직무만족도(김시연, 2014)를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및 직무만족도는 교수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는 교수 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의 실제와 직결되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전문성과 직무만족도 증진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Creative-Fostering Program for Pre-early childhood Teacher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 김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9-303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 증진에 단기종단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년도에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50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 연구에 참여했던 실험집단 예비유아교사 36명과 통제집단 예비유아교사 31명, 총 67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반복측정분석을 적용하였다. 첫째,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측정시기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 증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Awareness Level and Sensitivity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With a Focus on 3~5 year old Homeroom Teacher's)

  • 장윤정;황윤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203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유아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 민감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경력,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 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전문성 인식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민감성이 높은 수준의 교사는 낮은 수준의 교사에 비해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과 민감성의 수준 향상은 교사의 전문적인 역할수행능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 고찰: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ystem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Using Analyses of Content Map)

  • 안수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1-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Novak & Gowin, 1984)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Novak과 Gowin(1984) 및 유진선과 김상림(2018)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념도에 나타난 내용지식(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의 내용과 빈도) 및 지식수준(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용지식을 분석한 결과 282개의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상위개념을 범주화했을 때 '북한에 대한 이해', '분단/통일의 이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통일정책', '남북관계', '교육활동',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7개 대표용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는 대표용어별로 상이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용지식은 다양하나 지식수준의 체계성과 위계성은 다소 결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일교육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이의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고찰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통일교육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 등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 and 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구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0-477
    • /
    • 2017
  •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로 30개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13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정서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의 여러 하위변인 중 직업윤리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요구의 변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 김보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