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최소영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육아종합지원센터) ;
  • 신혜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5.02.15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any moderating effects up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playfulness and peer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0 children in fourth year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oung-gi province and 24 of their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research variables, the Korean version of PIPPS(Pen Interaction Peer Play Scale) by Choi and Shin(2008),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Barnett, 1991), and the modified version of the Caregiver Interaction Scale(Arnett, 1989)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eer interactions. Especially, th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related to the play disruption and the play disconnection of peer interactions. In addition, teacher-child interactions moderated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 spontaneity(children's playfulness) on their play disconnection(peer interactions). The results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peer play interactions and a range of prevention efforts.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24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4명이었다.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은 교사에게 의뢰한 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자유놀이시간의 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놀이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에 유아의 놀이성 일부 요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효과의 검증 결과,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낮은 집단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에 따른 놀이단절 수준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낮은 자발성 수준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서 개인이 가진 취약한 특성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윤지, 김명순 (2013). 유아의 놀이성, 놀이주도성 및 의사소통능력 수준 따른 놀이행동. 아동학회지, 34(1), 175-189. https://doi.org/10.5723/KJCS.2013.34.1.175
  2. 권연희 (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3. 권연희 (2014).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5-45.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025
  4.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5. 김리한 (2012). 학령기 아동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이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2.69
  7. 김명순, 유정은, 이민주, 조항린 (2011). 혼합연령과 동일연령 학급구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55-471.
  8. 김선희 (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9. 김수영 (2000). 유아의 또래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5.
  10. 김정림, 허미경 (2013).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2), 101-119.
  11. 김주혜 (2008). 유아의 놀이성과 놀이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태은 (2014). 유아의 정서 이해와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혜선 (2013). 유치원교실의 협력적인 상호작용. 고양: 공동체
  14. 김희태, 김정림, 이임순, 남연정 (2014). 유아의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 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34(2), 29-48.
  15. 김희태, 이임순 (2009).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16. 남진경, 김명순 (2014). 어린이집 만 4세의 유아의 순수 놀이공간 및 놀이성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5(2), 25-41. https://doi.org/10.5723/KJCS.2014.35.2.25
  17. 문혜련, 엄정애 (2009). 만 5세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 통제유형간 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159-181.
  18.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화윤, 마지순, 천은영 (2004). 유아의 놀이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285-298.
  20. 신은수, 권미경, 정현빈 (2010).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83-209.
  21. 신혜영, 최혜영 (2008). 유아의 부정적 행동 및 목적 없는 행동에 미치는 교사변인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4), 25-35.
  22. 신혜진, 신나리 (2014). 유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지, 10(3), 47-68.
  23.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24. 이경님, 부예숙 (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9(4), 31-53.
  25. 이상은, 이주리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 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6), 71-85.
  26. 이선애, 현은자 (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27. 이숙재 (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파주: 창지사.
  28. 임희경 (200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조은옥, 최영희 (2003). 유아의 기질과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6(1), 57-67.
  30. 지성애, 김승희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111-127.
  31. 최미숙, 황윤세 (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 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32.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7.
  34. 최혜영, 신혜영 (2011).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또래놀이행동 척도의 타당화. 아동학회지, 32(2), 35-52. https://doi.org/10.5723/KJCS.2011.32.2.35
  35. 황윤세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36. 황윤세 (2008). 창의적 행동특성과 놀이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교사-유아 관계 간의 구조분석. 아동학회지, 29(6), 245-257.
  37. Arbeau, K. A., Coplan, R. J., & Weeks, M. (2010). Shynes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grade 1.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4(3), 259-269. https://doi.org/10.1177/0165025409350959
  38.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39. Barnett, L. A. (1990). Developmental benefits of play for childr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38-153. https://doi.org/10.1080/00222216.1990.11969821
  40.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41. Bulotsky-Shearer, R. J., Manz, P. H., Mendez, J. L., McWayne, C. M., Sekino. Y., & Fantuzzo, J. (2012). Peer play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A Protective influence for African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3), 225-231.
  42. Choi, H. Y., Park, J. H., & Shin, H. Y. (2010). Children's social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s' belief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1), 85-96.
  43. Cohen, J. S., & Mendez, J. L. (2009). Emotion regulation, language ability, and the stability of preschool children's peer play behavior.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6), 1016- 1037. https://doi.org/10.1080/10409280903305716
  44. Colwell, N., Gordon, R. A., Fujimoto, K., Kaestner, R., & Korenman, S. (2013). New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Arnett Caregiver Interaction Scale: Results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birth cohor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2), 218-233. https://doi.org/10.1016/j.ecresq.2012.12.004
  45.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 (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458-465. https://doi.org/10.1037/0022-0663.92.3.458
  4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Manz, P. H., Canning, S., & Deh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on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28-4
  47. Hamre, B., & Pianta, R. (2001).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Child Development, 72(2), 525-638.
  48.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11).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김지현 옮김). 파주: 교문사(원판 2009).
  49. Myer, S. S., & Pianta, R. (2008). Developmental commentary: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problem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4(3), 267-283.
  50.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1
  51. Phillips, D.,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537-543. https://doi.org/10.1037/0012-1649.23.4.537
  52.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3), 444-458.
  53.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Vol. 3) (6th edition, pp.571-645). New York: John Wiley & Sons.
  54. Russon, A. E., White, B. E., & Rochester, M. J. (1990). Direct caregiver interaction in infant social encounte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0(3), 428-439. https://doi.org/10.1037/h0079157
  55. Singer, E., Nederend, M., Penninx, L., Tajik, M., & Boom, J. (2014). The teacher's role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level of play engage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4(8), 1233-1249. https://doi.org/10.1080/03004430.2013.862530
  56. Trawick-Smith, J., & Dziurgot, T. (2011).'Good-fit'teacher-child play interactions and the subsequent autonomous play of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1), 110-123.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4.005

Cited by

  1. Effects of Young Child'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Peer Acceptance and Peer Play Behaviors vol.5, pp.1, 2015, https://doi.org/10.30528/jolss.2015.5.1.005
  2.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vol.11,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91
  3. 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 vol.11,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01
  4.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비교 vol.12,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7
  5. A study on play-centered activities using an intelligent robot in an Inclus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vol.36, pp.3,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21
  6.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001
  7.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Mediation effect of child temperament vol.37, pp.4,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14
  8. The Predictive Factors of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rajectories and the Effects on First Grade Elementary Childrens’ Peer Adjustment vol.24, pp.3,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3.387
  9.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brain-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vol.38, pp.6, 2018,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6.009
  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vol.15,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01
  11.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군집분석에 따른 언어·수학능력 차이분석 vol.39, pp.5,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2
  12.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vol.33, pp.1,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21.2.33.1.101
  13.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의 놀이 중 또래상호작용: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vol.17,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105
  14.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매개로 정서성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17, pp.4,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