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사

검색결과 945건 처리시간 0.03초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 공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1
    • /
    • 2007
  •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이용하여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래동화는 유아교육의 중요매체이며, 부모와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전래동화를 선택하고 들려줌으로써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부모와 유아교사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40명의 부모와 7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6편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일부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해 유아에게 유익한지와 가치관형성에 적합한지에 대해서 부모의 평가가 유아교사의 평가보다 높았지만, 전반적으로는 부모와 유아교사의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는 편이었다. 이는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가 유아의 공평성 추론 향상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Ego Resilience and Job Engagement)

  • 김안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90-399
    • /
    • 2017
  • 본 논문은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와 D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이다. 연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행복감, 자아탄력성, 직무열의의 수준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자아탄력성, 직무열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에 대한 행복감의 설명력은 18%였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대한 행복감의 설명력은 활력 2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 활력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에 대한 지배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전념에 대한 행복감 요인들의 설명력은 17%로 나타났고,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 관계가 교사의 전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몰두에 대한 행복감 요인들의 설명력은 14%로 나타났고, 교사의 행복감 요인 중에서는 자아수용이 교사의 몰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질 높은 유아교육의 보장과 유아들의 행복을 위해서는 우선 무엇보다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증진되어야하며, 이는 나아가 자아탄력성과 직무열의의 향상을 위한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 김정겸;이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05-1915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이기 위한 내적변인임을 밝혀 유아교사에게 맞는 적절한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 충남.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346명의 유아교사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의 관계에서는 사고양식의 사법적, 군주제, 전체적, 내부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전문의식에는 사법적, 내부적 사고양식과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교육애에는 입법적, 내부적, 보수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열정에는 입법적, 군주제, 무정부제,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가 특정 사고양식을 발휘하고 인성개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종단효과 (The Short-term Longitudinal Effec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s Creativity)

  • 김경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37-2547
    • /
    • 2015
  • 본 연구는 실험연구로서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 효과를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는 실험집단 36명과 통제집단 31명, 총 67명의 예비유아교사와 실험집단의 유아 65명, 통제집단의 유아 6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예비유아교사 및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TTCT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고, 본 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교사의 창의성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 참여여부 및 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Dram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tistic Competence)

  • 김지윤;김수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69-92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들이 예술적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온 국민이 누리고 향유해야 할 문화적 소양이듯이 유아교사의 예술적 경험은 유아의 예술적 감수성, 심미감, 미적능력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판단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본고는 연극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는 교육연극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즉흥을 통한 허구적 상황을 창조해 내고, 가상의 인물과 동일시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감정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함과 동시에 몸을 통한 체화의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예술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극 놀이를 보다 다각적이고 진지한 일상과 연계된 활동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몸의 자유로운 활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력과 상상력, 미적체험 자극도 가능하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유아와 교사는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향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이 강화된다면 유아들의 바람직한 예술세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와 유아교육기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연극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척도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Efficacy Scale)

  • 최연화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 개념을 규정하고,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지도의 구성요인을 밝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생활지도의 내용을 추출하고 국내, 외 교사효능감 이론 및 척도에 대한 고찰에 근거하여 83개 예비문항을 선정하였고 델파이방법에 의해 61개 문항을 선정하여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에 대한 응답을 구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4요인 51문항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21문항, 유아이해 효능감 11문항, 가정연계 효능감 12문항, 기본생활습관지도 효능감 9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최종척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문항양호도 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문항간 내적 합치도와 반분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본 척도가 유아교사의 생활지도 효능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성 연구 (A Validit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Competency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Teachers)

  • 이영미;박선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93-10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 지표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72명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역량군과 하위역량지표 구성 모형에 대한 적합도, 타당도(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검증된 4요인은 '디지털 기술 이해',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 기술 기반 상호작용', '디지털 윤리 이해 및 실천' 역량군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할 수 있었고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고 각 디지털 역량 수준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는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Occupational Str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지연;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1-14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79명, 유치원 교사 75명, 총 1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탄력성 척도(심순애, 2007), 전문성인식 질문지(이경, 2001), 직무스트레스 질문지(김남희, 1992)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은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이 높았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유아교사직이 전문적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이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자아탄력성의 낙관적인 태도와 분노조절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3%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는 전문성 인식 중 전문적지식과 기술요구와 사회 경제적 지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13%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전문성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낙관적인 태도(자아탄력성), 전문적지식과 기술요구(전문성인식), 사회경제적인 지위(전문성인식), 분노조절(자아탄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변량은 28%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체계를 체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민보경;이시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208
    • /
    • 2017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가 지닌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및 그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유아교사와의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진 유아역사교육의 상위개념의 범주는 11개로 확인되었으며, 그 가운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위개념은 '생활양식', 그 뒤를 이어 '문화/예술', 위인'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둘째, 특정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의 평균을 알아본 결과, '생활양식'이 가장 많은 종속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 활동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가 알고 있는 유아역사교육 내용 가운데 '생활양식'에 대한 지식의 폭이 가장 넓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수-학습 방법의 지식 폭도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위인의 경우는 상위개념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으나 종속개념에서는 그렇지 않아, 그 지식의 폭이 좁은 것으로 확인된다. 학자들은 교사의 교과내용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확장, 분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유아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교사의 지식이 깊고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사 재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