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량기반교육과정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2초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 정현석;이철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21-433
    • /
    • 202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성과와 관련된 역량을 교육, 개발하여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직업훈련교사의 역량 및 교육훈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및 역량사전을 활용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역량요구분석, 역량별 교육프로그램체계, 역량프로파일과 역량별 훈련모듈을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련교사의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기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 이영민;임유화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2-43
    • /
    • 2016
  •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계학과를 설치한 일반고를 포함하여 총 583개교를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 283개 단위학교의 공업분야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산업분야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기준학과를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 둘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경우 실무과목의 수와 과목당 평균단위수가 다른 특성화고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학습모듈 활용,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교원 역량 강화 방안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셋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수업부담이 더 증가한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목표와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점, 다섯째, NCS 실무과목을 3학년에 집중 편성함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학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공업계 고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작동하고 안착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역량 향상과 Career Path(진로경로)를 고려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NCS 학습모듈 내용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NCS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모듈식 교수학습방법 등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 적용해야 한다. 넷째, 교원의 역할변화로 요구되는 추가역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수업부담 경감방안과 수업역량 강화방안을 확립하여야 한다.

초등 수학교실에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Mathematical Subject Competenc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전영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9-219
    • /
    • 2019
  • 수학 교실에서 과정중심평가의 실현을 위해서는 수업의 설계자이자 실제적 운영자인 현장 교사가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실험 수업을 수행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생 평가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학교수학 교육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으며, 나아가 초등수학 교육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2학년 초등수학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과정중심평가 수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실제적으로 살펴보고,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한 수업에서 각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개별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는 것이다.

산림교육전문가를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Psychology-based Curriculum for Enhancing Naturalistic Competency in the Forest Education-related Experts)

  • 김근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17-4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숲)과 사람(방문객)을 매개하는 연결자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심리학 기반 자연탐구역량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연에서 자신의 감각과 정서를 자각하고 명명하며 자연 관련 기억과 자연탐구지능을 발굴하여 자연에서 몰입하고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의미있는 생활의 3개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고안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완한 교육과정에 따라 구성한 교육을 산림교육전문가의 직무교육으로 시행하고 참가자를 대상으로 이해도와 활용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연탐구역량을 정서, 인지, 실천의 3개 영역의 심리학적 개념으로 구성한 교육과정을 완성하였다. 향후 지속적 평가를 통해 본 교육과정을 발전시켜 산림교육전문가들이 자연탐구역량을 강화하여 향상된 산림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산업체 수요기반의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eriatric dental hygiene and practic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industry demand)

  • 최용금;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23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산업체 수요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에 따른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과정 인식, 수업만족도의 전후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분석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인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p<0.05).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을 수행 후 '노인과의 의사소통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31). 고찰: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은 산업체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노인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현장실무전공역량이 더욱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9-369
    • /
    • 2020
  • 본 연구는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조사가 수행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핵심역량과 각 학문별 전공역량을 포함한다. 역량중심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회복지전공역량을 무엇이고, 전공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공역량과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참여적 학습을 위한 환경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마케터 인재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융합형 교육과정 개발 (Developing Competency 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Fostering Sports Marketer in Sports Industry)

  • 김진세;안재한;김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49-462
    • /
    • 2018
  • 이 연구는 스포츠산업 분야 인재인 스포츠마케터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심층인터뷰 및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스포츠마케터가 되기 위한 필요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 프로파일을 작성한 다음 전문가 검증을 거쳐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스포츠마케터 역량모델은 경력유형별로 스포츠마케팅/PR과 스포츠이벤트로 구분하였으며 공통기본역량은 스포츠마인드 등 6개, 전문역량은 스포츠스폰서십 등 12개로 나타났다.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스포츠마케터 교육과정은 스포츠산업의 이해, 스포츠마케팅커뮤니케이션, 스포츠관련 법률, 스포츠시설의 이해, 스포츠시설의 경영, 스포츠스폰서십, 스포츠미디어, 스포츠라이선싱, 스포츠에이전트, 이벤트 기획, 이벤트 운영, 제안서 작성법, 스포츠이벤트 현장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스포츠마케터 양성 교육과정은 스포츠산업 관련 대학, 민간교육 기관에 활용되어 스포츠산업 인재 양성 및 보급에 기여할 것이다.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요소와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Relations of Key Competencies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양지선;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과 가정과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2개 연구소(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와 2개 학회(한국교육과정학회,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서 출간된 26편의 문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을 OECD의 역량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본 결과 각 나라별로 종류나 범주를 달리하여 제시되고 있었다. 교과영역은 개별 교과를 통해서 지적 역량이나 학습 역량을 함양하도록 하고 있었으며, 인성이나 역량의 함양에 목적을 두고 간학문적, 통합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에서 추구되어야할 바람직한 인간상으로 가정과 사회의 항구적인 문제를 자율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가정과 교육을 통해 추구되어야할 인간상과 관련한 부분이 적절히 반영되어 있다고 어렵다. 셋째, 성취기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이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교과의 성격이 보다 명확히 드러날 수 있도록 역량, 목표, 내용체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일관된 진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넷째, 교수 학습과정에 있어서 학습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 전략 등을 능동적으로 사용하고, 관련된 학습영역을 통합하거나 학문 이외의 다른 요소들을 교육과정을 위한 설계의 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2-16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OECD에서 핵심역량을 '학생들이 향후 사회적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로 하는 능력'으로 재정립한 이래로 여러 나라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도국과 국내의 외국인학교 및 국제 중학교를 방문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혁신 사례를 수집하고, 각 사례별로 교사 및 학교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해 요청되는 과학 교사전문성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개별 교사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변화에 따라 교사의 역할 변화도 요청되며, 교사는 학생들에게 핵심역량의 모델이 되어야 하고, 교사역할의 다면화가 요청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요청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공동체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조직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지식기반을 구축해야 하고, 미래의 교실에는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해야 하며, 지역공동체 및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수렴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역량 측면에서 본 한국 대학의 국제경쟁력

  • 이영무
    • 대학교육
    • /
    • 통권136호
    • /
    • pp.7-14
    • /
    • 2005
  • 한국의 고등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에서 연구중심대학의 필요성은 세계 경제의 급속한 통합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은 그 국가가 보유한 연구중심대학의 역량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