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 배양

Search Result 1,65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갑상선세포에서 sericin에 의한 thyroglobulin의 분비증가 (Sericin Enhances Secretion of Thyroglobulin in the Thyrocytes)

  • 진초이;송성희;고영화;권기상;윤은영;구태원;여주홍;김승환;최종순;유권;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49-1253
    • /
    • 2010
  • Sericin은 실크를 싸고 있는 고분자 수용성 당단백질로서 세포배양에 사용되며 세포분화를 촉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세포(FRTL-5)에서 thyroglobulin (Tg)의 분비에 sericin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려고 한다. Sericin에 의해서 Tg의 분비가 촉진되었지만 Tg-mRNA의 발현은 촉진되지 않았다. 이런 상태에서 소포체 샤페론(Bip & calreticulin)과 소포체 막 단백질(IRE1, PERK & ATF6)의 발현이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IRE1의 하부 신호전달자인 XBP1의 mRNA splicing 이 약하게 확인되었지만 PERK의 하부 신호전달자인 $eIF2{\alpha}$의 인산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sericin은 MTT assay 결과 cell viability을 촉진시키는 것도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는 sericin은 재조합 단백질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생체물질로 증명되었다.

솜양지꽃(Potentilla discolor Bunge)의 초저온동결보존을 위한 최적 조건 탐색 (Optimization Conditions for Cryopreservation of Potentilla discolor Bunge)

  • 양우형;용성현;박동진;설유원;최은지;정미진;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3호
    • /
    • pp.258-265
    • /
    • 2018
  • 본 연구는 희귀자생식물인 솜양지꽃의 효율적인 초저온 보존 조건을 탐색하고자 행하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2와 PVS3 용액 처리구에서는 약 80% 이상으로 대조구보다 훨씬 높은 활력을 보였다. 종자의 활력은 PVS3가 PVS2 처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자의 활력은 sucrose처리에도 불구하고 대조구보다 낮았다. PVS2의 60분 처리구와 PVS3의 30분 처리구에서 95%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그 외 처리구에서는 발아율이 낮았다. PVS2와 PVS3 처리구에서 배양된 유묘의 생장은 PVS2와 PVS3 용액 30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에 비해 생장이 좋지 않았다. 두 가지 초저온동결보존법 간 유묘 생장에서는 encapsulation법과 vitrification법을 비교한 결과 미세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솜양지꽃의 보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Cellulase에 의(依)한 목재당화(木材糖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 반응조건(反應條件)의 효과(効果) -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Holocellulose with Trichoderma viride Cellulase - (II) Effects of the Reaction Conditions -)

  • 민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7-63
    • /
    • 1978
  • Trichoderma viride SANK호(號) cellulase에 의(依)한 목재(木材) 가수분해(加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로서 재료(材料)는 산오리나무재(材)를 사용(使用)하였다. 그리고 당생성(糖生成)을 위한 cellulase의 최적(最適) 반응조건(反應條件)을 조사(調査)하였다. Trichoderma viride 조효소액(粗酵素液)은 진탕배양법(振盪培養法)에 의(依)하여 생산(生產)하였고, 이것을 염석효소액(鹽析酵素液)을 조제(調製)하여 사용(使用)하였다. 기질(基質)은 산오리나무재(材) 톱밥을 과초산법(過醋酸法)에 의(依)하여 탈(脫)리그닌 한것을 사용(使用)하였다. 환원당(還元糖) 정량(定量)은 DNS법(法)에 의(依)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최적(最適) pH는 5.0이며, pH 안정성(安定性)의 범위(範圍)는 4.0~6.0으로 나타났다. 2. 반응온도(反應溫度)는 $40^{\circ}C$가 최적(最適)이였으며, 온도(溫度)의 안정성(安定性)은 $40^{\circ}C{\sim}50^{\circ}C$ 범위(範圍)로 나타났다. 3. 효소농도(酵素濃度)는 높을수록 환원당(還元糖) 생성율(生成率)은 증가(增加)되었다. 4. 기질농도(基質濃度)는 높을수록 단위(單位) 기질(基質)에 대(對)한 환원당(還元糖) 생성율(生成率)은 감소(減少)되었다. 5. 당류중(糖類中) pructose가 가장 강(强)한 조해제(阻害劑)로 나타났으며, glucose의 조해작용(阻害作用)은 약(弱)하게 나타났다.

  • PDF

Oleic Acid 내성균주로부터 Tylosin 생산 (Tylosin Production by Mutant Resistant to Oleic Acid)

  • 최두복;;문옥란;윤미란;지성남;신대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0-364
    • /
    • 2005
  • Streptomyces fradiae로부터 Tylosin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지방산 내성균주을 분리 했다. 여러 지방산중에서 oleic acid 1.6 g/l 이상이 첨가될 때 세포 성장이 완전히 저해 되었다. 그러나 oleic arid 1.2 g/l에서 얻어진 TM-224-1 균주는 최대 균체농도와 tylosin 생산이 얻어졌다. 또한 oleic acid 소비속도는 parent strain 비해 3.8배 증가했다. Oleic acid 내성균주, TM-224-1 균주와 parent strain을 이용해서 jar fermentor에서 균체농도, tylosin 생산, 그리고 rapeseed oil 소비를 표준조건하에 5일동안 비교하였다. TM-224-1 균주을 이용할 경우 균체 농도는 초기에 parent strain비해 증가했으나 배양중반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rapeseed oil 소비의 경우는 거의 비슷했다. 그러나 Tylosin 생산 수율은 parent strain 비해 약 3.2배 증가했다.

Polygalacturonase의 활성 증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단세포 제조 방법 (Method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and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duction of Vegetable Single Cell)

  • 김혁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33-163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을 위하여 미생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polygalacturonase(PGase)에 xanthan gum, guar gum, locust bean gum 등과 같은 교질물질을 첨가함으로써 효소의 안정성 외에 활성을 특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조사하였다. 정제된 PGase를 0.2%의 상술한 교질물질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용액에 잘 혼합시켜 $30^{\circ}C$에서 배양하여 효소의 불활성화에 대한 일차반응 속도상수 k값을 구한 결과, 대조군의 k값이 $0.0082min^{-1}$인데 반해 xanthan gum 첨가 시는 $0.0003min^{-1}$, guar gum 첨가 시는 $0.0001min^{-1}$이하, locust bean gum 첨가 시는 $0.0001min^{-1}$로서 교질물질 첨가에 의해 효소의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xanthan gum 첨가 시는 PGase의 상대활성이 89%가 증가되었으며, guar gum 첨가 시는 97%, locust bean gum 첨가 시는 90%가 증가되어 상술한 교질물질들이 효소의 활성 촉진제로서의 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uar gum 처리에 의해 약 2배의 활성이 증진된 상태로 당근 단세포 생성 반응을 수행한 결과 모든 반응시간에서 guar gum을 가했을 때가 PGase만을 가하여 단세포화 반응을 수행한 경우보다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단세포화 반응 2시간 경과 후에 대조군 대비 13%의 가장 높은 수율 향상을 보였다.

폐구균에 의한 괴사성 폐렴 후 합병한 비전형적 용혈성 요독 증후군 1례 (A Case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Complicated by Pneumococcal Necrotizing Pneumonia)

  • 조은영;최영준;이선희;조희연;이진아;최은화;하일수;정해일;이환종;최용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206-211
    • /
    • 2008
  • 소아 연령에서 침습성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폐구균은 드물게 용혈성 요독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심한 폐렴을 일으키는 경우 농흉이나 괴사성 폐렴을 합병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33개월 여자가 폐렴 및 흉막 삼출로 내원하여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행하였고,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및 괴사성 폐렴이 합병되었으며, 혈액 및 흉수배양검사상 혈청형 19A의 폐구균 감염이 확인된 1례를 경험하였다. 환아는 항생제, 복막투석과 인공호흡기 적용등의 치료를 받았으며, 약 2개월 간의 입원치료 후 신기능이 정상화되어 퇴원하였고, 5년간의 외래 추적관찰 결과 신장 계통의 합병증 및 폐기능의 이상 소견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에 미치는 환경 요인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Root Rot on Ginseng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 이중섭;한경숙;이성찬;소재우;김두욱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87-94
    • /
    • 2014
  • 인삼 재배지에서 가장 큰 피해를 나타내고 있는 뿌리썩음병원균은 Cylindrocarpon destructans로 연작장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1과 2012년에 걸쳐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포장으로부터 뿌리를 수집하여 병징 구분 후 57종의 C. destructans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뿌리썩음병원균중에서 34균주(61%)는 병원성이 낮았으며, 21균주(37%)는 무상처 접종에서도 병반을 형성하여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분리균들을 PDA 배지에서 15일 배양한 결과 최적의 생장온도는 $20^{\circ}C$였으며, $35^{\circ}C$에서는 병원성에 관계없이 모두 생장하지 못하였다. 병원성에 따라 균총의 색과 균사의 생장정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강한 병원성 균주는짙은 갈색을 나타낸 반면 병원성이 약한 균주들은 베이지색 또는 옅은 갈색을 나타내었다. pH 변화에 따른 균사 생장에 미치는 효과 조사를 위해 수경 재배한 결과 pH 7.0에서 보다 pH 5.0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뿌리에서의 상처는 pH 변화와 관계없이 발병도를 더욱 증가시켰다. 인위적으로 조성한 발병 토양에 1-4년생 인삼뿌리를 이식하여 재배한 결과 2년생 뿌리에서 가장 감수성이었으며, 발병률도 79.5%로 가장 높았다. 뿌리썩음병 발병정도는 토양 내 접종 병원균의 밀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균 접종농도 $3.5{\times}10^2cfu/g$ 처리구 보다 $2.0{\times}10^3cfu/g$ 처리구에서 높았다.

감마선 및 화학 대체제 융복합 처리가 백합 잎마름병균 및 잎 절편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Its Convergent Treatments on Lily Leaf Blight Pathogen, Botrytis elliptica, and the Disease Development)

  • 김지훈;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71-78
    • /
    • 2014
  • 감마선과 융복합 처리를 위한 은나노 입자(NA, NSS), 이염화이소시안산나트륨(NaDCC) 등의 화학대체제를 이용하여 백합잎마름병의 원인균인 Botrytis elliptica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 억제와 동시에 백합 잎 절편에서 발병 과정 중 방제를 연구하였다. 발병과정에서 감마선 융복합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곰팡이 침입을 인위적으로 도와주는 상처접종과 병원균 스스로 침입을 하는 분무접종 두 가지를 실시하였다. 병원균 곰팡이 포자 발아를 90%까지 억제시킬 수 있는 감마선 선량인 $D_{10}$은 526 Gy였다. 2000 Gy까지 감마선 선량을 병원균 균사에 조사한 후, 16, 19, 22, 25, $28^{\circ}C$에서 배양한 결과 곰팡이 균사는 가장 높았던 2000 Gy에서도 죽지 않고 생장이 약 1-2일 지연되었을 뿐이었다. 백합 잎마름병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1-2 kGy의 감마선 처리는 절화백합에서 부작용이 보일만큼 너무 높기 때문에 감마선은 200 Gy로 조사하고 다른 화학대체제들과의 융복합 처리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다양한 화학대체제들의 융복합 처리 농도를 $40{\mu}g/l$로 맞춘 이유는 화학제만으로 병원균을 완전히 죽이지 않으면서 감마선의 살균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었다. 병원균 포자 발아 융복합 실험에서 $40{\mu}g/l$의 NaDCC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포자발아를 1000배 이하로 줄일 수 있었다. 감마선만 처리한 실험에서 방제가는 상처접종에서 23%, 분무접종에서 19.5%로 기대만큼 높지 않았다. 상처접종에서 감마선 처리하지 않은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89%였던 반면, NaDCC와 200 Gy 융복합 처리는 32%에 불과하였다. 자연상태에 더 가까운 분무접종 실험에서 NaDCC 단독처리의 방제가는 50%, NaDCC와 200 Gy의 감마선 융복합 처리 방제가는 24%였다.

Bacillus megaterium N4에 의한 들깨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erilla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Using Bacillus megaterium N4.)

  • 문병주;김현주;송주희;이광열;백정우;정순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61-769
    • /
    • 2004
  •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지역의 들깨 하우스내에서 들깨의 잎에 갈색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되고 습도가 높을 시에는 잎에 무름증상과 줄기에 잘록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주전체가 고사하여 흰색의 균사로 뒤덮히고 균핵이 형성되는 병해가 발생하여 1998년 5월에 자연발생된 균핵병 발병율을 조사한 결과 약 8.1~28.3%로서 평균 13.9%였다. 이러한 증상을 띄는 병반으로부터 분리된 16균주를 균사절편 접종법으로 병원성 검정한 결과, 접종 1일 후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자연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16균주 모두 80.0% 이상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52균주를 공시선발하고,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 등을 조사하여 동정한 결과, 들깨 균핵 병균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길항세균인 Nl 등 6균주를 공시하고 병원균 52균주와 균사생육 억제효과 및 생육상내 포트검정을 통해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N4 균주에 의한 균사생육 억제효과와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시 길항균을 병원균처리 1~3일 전에 처리할 경우 80.0% 이상의 방제가를 보여 치료 효과보다는 발병예방효과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길항균 N4 균주를 Bergey's manual과 API system을 이 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megaterium으로 동정 되었으며, 이를 수화제형인 미생물농약 N4제제로 제조하여 유기합성 농약인 베노밀수화제와 발병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원균처리 3일 전에 처리할 경우 N4 수화형 제제의 방제가가 98.0%로 베노밀수화제에 의한 78.0%보다 방제가가 높았다.

오존을 이용한 버섯재배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Mushrooms Cultivation Using Ozon)

  • 장현유;변재면;노문기;박순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7권1호
    • /
    • pp.181-191
    • /
    • 2000
  • 1. 액상 오존에 120시간 처리하여도 악취는 없고 배지 연화(softening)가 잘 되었다. 2. 폐면중 면실피, 면자각이 침지 작업이 편리하였으며, 침지후 배지의 수분함량을 맞추기 위하여 배수할때도 배수시간이 단축되었다. 3. 느타리버석 배지연화는 기상오존 농도가 높을수록 연화속도가 빠르고 양호하였다. 4. 접종실은 접종원을 넣어 놓지 않은 상태에서는 강한 농도의 기상오존은 피해가 없지만 접종할때는 0.02ppm이하로 아주 약한 농도로 조절하여야 한다. 5. 배양실은 균사가 생장하고 있기 때문에 0.03ppm 이상에서는 버섯균사도 사멸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6. 버섯이 발이될때는 용존산소가 많으면 발이가 되지 않으므로 발이실이나 발이 시기에는 기상오존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7. 생육실에서는 0.02ppm 이하로 기상오존을 유지시키면 풍부한 용존산소가 많아 환기량을 줄여도 되나 발이초기에 과량의 오존을 사용하면 버섯갓이 커지고 대가 짧아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8. 생육실에서 O.02ppm 정도의 기상오존은 버섯 특유의 냄새를 제거시켜 주므로 버섯파리 유입을 막을 수 있어 버섯파리에 의한 푸른곰팡이균이나 세균성갈변형 전파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9. 버섯 수확 후 포장할때도 기상오존을 주입 해 주면 저장시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생성을 방지하므로서 저장기간을 연장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10. 버섯 수확이 완료되면 폐상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 재배사를 밀폐하고 가장 강한 농도의 기상오존으로 l일 이상 토출시키면 폐상 소독 효과가 있다. 11. 0.02ppm의 액상오존을 관수로 이용하면 병충해 예방에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