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Complicated by Pneumococcal Necrotizing Pneumonia

폐구균에 의한 괴사성 폐렴 후 합병한 비전형적 용혈성 요독 증후군 1례

  • Cho, Eun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e, Young Jun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 H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Hee 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ina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Eun Hwa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 Il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eong, Hae Il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oan J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선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희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진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은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하일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해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환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8.12.25

Abstract

Streptococcus pneumoniae is a common cause of acute otitis media, sinusitis, pneumonia, and the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children. Rarely, S. pneumoniae is an uncommon cause of hemolytic-uremic syndrome (HUS). We report a 33 month-old girl who presented with pneumonia, and subsequently developed HUS. Her pulmonary infection was complicated by necrotizing pneumoni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ultures from blood and pleural fluid grew S. pneumoniae, serotype 19A. She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dialysis an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She was discharged with normal renal function after 2 months of management. She remained healthy without renal complications at the 5 year follow-up visit.

소아 연령에서 침습성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폐구균은 드물게 용혈성 요독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심한 폐렴을 일으키는 경우 농흉이나 괴사성 폐렴을 합병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33개월 여자가 폐렴 및 흉막 삼출로 내원하여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행하였고,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및 괴사성 폐렴이 합병되었으며, 혈액 및 흉수배양검사상 혈청형 19A의 폐구균 감염이 확인된 1례를 경험하였다. 환아는 항생제, 복막투석과 인공호흡기 적용등의 치료를 받았으며, 약 2개월 간의 입원치료 후 신기능이 정상화되어 퇴원하였고, 5년간의 외래 추적관찰 결과 신장 계통의 합병증 및 폐기능의 이상 소견 없이 완전히 회복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