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감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eacher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 이진숙;김태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Additionally, it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3, involved 198 childcare teachers as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Result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as well as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study observ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In essence, this research confirmed both the direct effect of avoidance attachment in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empath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earch affirms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on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discussing implications for future training and development.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Comparison of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Happiness of the Korean elderly residing in USA and Korea)

  • 이주일;정지원;이정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5호_spc
    • /
    • pp.169-203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거주 한인 노인과 국내 노인 간의 행복감의 차이를 비교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결정 요인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2003년 현재 만 63세 이상이 되는 춘천과 서울에 거주하는 국내 노인 1,988명과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노인 173명을 인터뷰해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 노인 간의 행복감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미국 뉴욕거주 한인 노인이 국내 노인들보다 행복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편안감, 노화과정에 대한 만족, 인생에 대한 만족이 더 높았고, 안정애착자의 비율이 더 높고 회피애착자의 비율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사회적 지지망, 심리적 욕구의 충족, 건강 및 생활습관, 사회적 배경수준은 미국거주 노인이나 국내노인이나 모두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경과 건강 및 생활습관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욕구충족은 미국거주 노인의 경우 노화만족과 인생만족, 안전애착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노인의 경우에는 사회적 배경과 건강 및 생활 습관을 통제하였을 경우에도 욕구충족이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소를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망 자체도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견고한 사회적 지지망을 갖추고 있었고, 대부분의 심리적 욕구 충족도가 높았다. 또한 건강에 대한 자기 평가가 더 양호 했고 건강에 유익한 습관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또한 미국거주 한인노인들이 국내노인들보다 지적 수준 및 경제적 수준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복한 노년을 결정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망의 구축과 심리적 욕구충족이 가지는 의미를 기존의 성공적인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설명의 토대위에서 논의하였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on Smart Phon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4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생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58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3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유형 1은 모든 지표에서 낮게 나타나 저의존집단(50.1%)으로, 유형 2는 모두 지표에서 높게 나타나 고의존집단(10.7%)으로, 유형3은 모든 지표에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나 중의존집단(39.2%)으로 명명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의존집단을 기준으로 중의존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중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저의존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친구교제시간이 적을수록, 방임의 정도가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저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소셜TV 이용자의 대상관계요인이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을 통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Social TV User's Object Relations Theory Factors Effects of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 김민규;변제민;권두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43-261
    • /
    • 2021
  • 소셜TV 서비스 이용자와 콘텐츠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소셜TV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지만, 다양한 콘텐츠 속 이용자들의 잠재적인 심리적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셜TV 이용자의 대상관계 이론을 통해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을 통해 심리적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험적 사실의 관찰 또는 실험을 증명하기 위해 소셜TV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충청남도 소재 N 대학, 일반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비소외는 상호작용성과 시청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안정애착은 상호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사회적능력은 상호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상호작용성은 시청만족과 심리적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시청만족은 심리적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셜TV의 세분화된 콘텐츠와 이용자 맞춤 서비스 개발에 이바지하며, 향후 이용자 간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들을 재구성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Child-rearing Experience of Ex-offenders' Wives: Focus on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 전지열;이동훈;양하나;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출소자 아내들이 자녀 양육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을 받는 17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학령 전 아동기 자녀(생후 1개월~6세)를 둔 수감자의 아내들은 어린 자녀를 홀로 감당해야 하는 부담감이 매우 컸기 때문에,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자녀와 건강한 애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초 중기 청소년 자녀(7~17세)를 둔 출소자 아내는 남편의 수감이라는 충격에 더하여 학부모의 역할을 새롭게 수행해야 하는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기 때문에 자녀의 학업 및 학교 적응을 위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후기 청소년/성인기 자녀(18~20세)들은 꿈을 한창 펼쳐가야 할 시기에 아버지의 수감으로 인해 경제적 정서적 희생이 요구되었다. 이들을 위해서는 자녀가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출소자 자녀라는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소진되거나 위축되지 않고 독립적 인격체로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 Abuse to Delinquency)

  • 정익중;박현선;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3호
    • /
    • pp.223-244
    • /
    • 2006
  • 학대의 영향은 피학대아동의 당시 개인적 피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그 피해자가 자식이나 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비행에 빠져서 가해자로 재등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피학대아동이 직접적인 1차 피해를 넘어서 비행의 가해자로 등장하게 되는 발달경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경로를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울아동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아동학대는 직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되기보다는 자아존중감의 저하라는 경로와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 및 학교애착심의 감소라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학대 유형에 따른 비행화 경로에서의 차이는 없고,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모두 간접적으로 비행과 연결된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y social capital)

  • 박재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1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2012)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version이었으며,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계수, 독립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가족 내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는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행피해, 부모의 관심애정, 부모의 친구인지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 분석 결과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모친의 최종학력,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유의미하였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가해는 정적 관계로, 비행피해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가족 내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모두 정적 관계로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관심애정,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 비행피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행피해와 부모의 관심애정 상호작용 항을 투입했을 때는 부(-)의 상호작용 효과로 나타났다.

종교계고등학교 남학생의 자살위험성 보호요인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 김희숙;채영선;배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 5 to Dec. 10, 2009.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255 students selected from 2 religious male high schools in B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ce (SPS-A), Inventory Parents Peer Attachment-Revision (IPPA-R), Spiritual Well-being Scale (SWBS), and Ego-ident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The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probability in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s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beta}$= -.46, p<.001), self-identity (${\beta}$= -.30, p<.001), and mother attachment (${\beta}$= -.21, p<.001).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61.5% of the variance in suicide prob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ement in spirituality, ego-identity, and mother attachment for religious male high school students is important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suicide.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 우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51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was investigated. Methods: Using the data of 396 children in grades 4~6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5),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Second, children's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ird, children's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Fourth,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esteem. But,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their depression/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self-esteem.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have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on Their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Peer Attachment)

  • 권혜진;성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395-40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steem on their schoo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peer attachment. A total of 2,200 3rd grade children from the third Korea Child-Adolescent Panel Surve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esteem Scale, Peer Attachment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tudent's t -test,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ver. 16.0 softw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ys had higher self-esteem,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scores than the girl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as well 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children's self-esteem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peer attachment, and children's peer attach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on their school adjus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peer attachment. These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may be mediated by their peer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