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4.037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Woo, Su Jung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4, 2017 , pp. 37-5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was investigated. Methods: Using the data of 396 children in grades 4~6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2015),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Second, children's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ird, children's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Fourth,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had a direct influence on self-esteem. But, children's peer attachment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anxiety. The effect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on their depression/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self-esteem.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have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depression/anxiety of children.
Keywords
child abuse; peer attachment; self-esteem; depression/anxie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Patrick, M. R., Snyder, J., Schrepferman, L. M., & Snyder, J. (2005). The joint contribution of early parental warmth, communication and tracking, and early child conduct problems on monitoring in lat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6(5), 999-1014. doi:10.1111/j.1467-8624.2005.00893.x   DOI
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estee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4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ports, 51(2), 663-671.   DOI
5 Shonk, S. M., & Cicchetti, D. (2001). Maltreatment, competency deficits, and risk for academic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7(1), 3-17. doi:10.1037/0012-1649.37.1.3   DOI
6 Tennen, H., & Herberger, S. (1987). Depression, self-esteem, and the absence of self-protective attributional bia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1), 72-80. doi:10.1037/0022-3514.52.1.72   DOI
7 Toth, S. L., Manly, J. T., & Cicchetti, D. (1992). Child maltreatment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1), 97-112. doi:10.1017/S0954579400005587   DOI
8 김나예 (2012). 다문화 가정아동의 학대경험 수준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아동의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강지영 (2002). 피학대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광혁 (2006). 가족배경이 아동의 신체적 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5, 53-74.
11 김민수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선미, 고하영, 박수현, 양은주 (2012).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아동 청소년의 우울 관련 및 변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533-555.
13 김은경, 이정숙 (2009). 아동의 학대경험이 정서와 인지적 편향을 매개로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3), 1-18.
14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 (2015). 아동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15 김수정, 정익중 (2013). 아동학대가 우울,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3, 1-28.
16 김연희, 박경자 (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17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 (2008). 부모간 폭력 목격경험이 학교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4), 89-115.
18 김진아 (2001).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 우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형모, 김영민 (2007). 부부폭력 목격과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1(1), 31-60.
20 노병일 (2016). 아동복지론. 경기도: 공동체.
21 박경진 (2005).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현선 (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박혜미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남녀 유아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서울아동패널 (2005). 서울 아동발달 및 복지실태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5 신현균 (2006). 청소년의 신체증상 경험에서 부정적인 정서의 영향 및 정서표현과 자기개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727-746.
26 안형숙 (2014).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85-203.
27 양숙경, 문혁준 (2012). 가족기능,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일반자녀와 직업군인자녀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2), 115-130.
28 우수정 (2013).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583-590. doi:10.6115/fer.2013.51.6.583   DOI
29 양유정 (2012). 자아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중년부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커플관계 자료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8).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31 유영신, 유연옥 (2015).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3), 123-140.
32 윤혜미 (1997). 아동의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지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 95-120.
33 이복희 (2007).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적응변인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99-121.
34 이재연, 홍강의, 조흥식, 이양희, 안동현, 곽영숙 등 (2000). 한국의 아동학대 실태에 관한 연구 I. 아동과 권리, 4(2), 97-112.
35 이희영, 배효심 (2007). 학령기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5(2), 127-143.
36 장안나, 노안영, 임수진 (2008). 학교상담: 지각된 초기 대상관계가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2), 727-737.
37 장인실, 장석진 (2012).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19(6), 291-313.
38 전효정, 이귀옥 (2002).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9(2), 191-210.
39 정미선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5, 140-173.
40 정영주, 정영숙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우울, 인지적 와해 및 친구 지지간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 67-88.
41 정익중 (2007).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127-166.
42 정지나, 이영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아동학회지, 27(4), 65-80.
43 조미숙 (2003). 가정폭력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7, 75-88.
44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Y: Basic Books.
45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6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47 Bolger, K. E., & Patterson, C. J. (2001). Development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peer rejection. Child Development, 72(2), 549-569. doi:10.1111/1467-8624.00296   DOI
48 Cicchetti, D., & Toth, S. L. (2006). Building bridges and crossing them: Translational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3), 619-622. doi:10.1017/S0954579406060317   DOI
49 Cole, D. A. (1991). Change in self-perceived competence as a function of peer and teacher evalu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682-688. doi:10.1037/0012-1649.27.4.682   DOI
50 Damon, W., & Hart, D. (1988). Self understand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Kernis, M. H. (2002). Self-esteem as a multifaceted construct. In T. M. Brinthaupt & R. P. Lipka(Eds.), Understanding early adolescent self and identity (pp. 57-88).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2 Green, A. (1985). Child abuse and neglect. In D. Shaffer, A. A. Ehrharot, & L. L. Greenhill (Eds.), The clinical guide to child psychiatry (pp. 315-325). NY: The Free Press.
53 Harter, S. (1990). Issues in the assessment of the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M. La Greca (Ed.), Through the eyes of the child: Obtaining self-reports from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92-325).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54 Harrington, R., Fudge, H., Rutter, M., Pickles, A., & Hill, J. (1990). Adult outcome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I. Psychiatric statu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5), 465-473. doi:10.1001/archpsyc.1990.01810170065010   DOI
55 Hoyle, R., Kernis, M., Leary, M., & Baldwin, M. (1999). Self-hood: Identity, esteem, and regulation. Boulder, CO: Westview Press.
56 Kaplow, J. B., & Widom, C. S. (2007). Age of onset of child maltreatment predicts long-term mental health outcom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6(1), 176-187. doi:10.1037/0021-843X.116.1.176   DOI
57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NY: The Guilford Press.
58 Kim, H. (2008. 9). Domestic violence and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제1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구두발표 논문, 서울.
59 Okun, A., Parker, J. G., & Levendosky, A. A. (1994). Distinct and interactive contributions of physical abuse,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negative life events to children's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57-77. doi:10.1017/S0954579400005897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