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진술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경력단절 간호사의 경력단절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uses of Career Interruption in inactive nurses)

  • 유은주;이건정;황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16-4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병원 근무 경험과 경력단절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6-55세 경력단절 간호사 20명을 대상으로 간호사로서의 경험, 간호 일의 특성과 퇴직사유의 내용을 인터뷰하였으며 현상학적 방법 중 꼴라쥐(Colai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104개의 주요 진술과 17개의 구성된 의미, 6개의 공통 주제군,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개의 범주는 간호 업무 특성과 근무 환경 특성이며 간호 업무 특성에서는 '시간 압박', '자율성 부재', '신체 감정 노동', '낮은 임금 상승률'의 4가지 공통 주제군이, 근무 환경 특성에서는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의 2가지 공통 주제군이 각각 도출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경력단절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업무강도를 완화하고 적정수준의 임금인상과 안전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율주행 환경에서 이미지 객체 분할을 위한 강화된 DFCN 알고리즘 성능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Enhanced Deep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Image Object Segmentation in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 김영광;김진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4호
    • /
    • pp.9-16
    • /
    • 2020
  • 최근 이미지 분할(Image Segmentation)에 관련되어 스마트 공장 산업과 의료 분야 등에 접목하려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특히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미지 분할 시스템들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높은 정확도로 학습할 만큼 발전되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이미지 분할을 이용하기 위해선 대용량의 데이터들에 대한 충분한 학습량이 필요하며,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트리밍 환경은 고속도로, 어린이보호구역 등으로 안전운행에 대한 정확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도로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기존 FCN(Fully Convoulutional Network) 알고리즘을 강화한 DFCN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DFCN 알고리즘의 성능이 FCN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손실 값 측면에서 1.3% 개선하였음을 증명하였으며, 기존 U-Net 알고리즘에 DFC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미지 내의 주파수의 정보를 유지하여 더 좋은 결과치를 도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자율주행 환경에서 DFCN 알고리즘이 FCN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AI교육을 위한 초등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K-12 Digital Culture Curriculum for AI Edcuation)

  • 신수범;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49-455
    • /
    • 2022
  • 디지털 문화 영역은 인공지능교육의 분야 중 인공지능 소양 영역의 한 분야로서 정보윤리와도 일부 겹치는 부분으로서, 이 연구는 인공지능교육의 세부 영역인 초등 중심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먼저 디지털 문화 분야의 선도적인 해외 사례로서 미국의 K12CS 프레임워크와 영국의 컴퓨팅 교육과정의 해당 영역 핵심 내용인 안전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국내 교육환경과 현장 여건에 맞추어 디지털 기반 콘텐츠, 소통법, 저작권, 직업 탐구의 4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 학교급에 맞추어 교육목표를 진술하였으며 그에 따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인공지능 전공 현장교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1학년 단계의 세부 목표의 일부를 제외하고 설정한 내용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초등 1학년의 세부 목표를 수정·보완해서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디지털 문화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경험과 인식 비교 분석 : 세대간 차이점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Work Status of Social Workers : Focusing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 이방미;윤재영;서동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33-241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 발생 이후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변화 중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 사회복지사의 요구사항 등 2개의 영역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세대별로 20대는 현재의 근무환경, 서울시 및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와 관련된 진술이 많았고, 40~50대는 근무환경에 대한 언급은 많았지만 서울시와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는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낮은 보수수준과 근무여건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에게 안전한 업무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기에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Job Contents of Educare Teachers)

  • 오미옥;신원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85-10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재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보수교육, 전문성 향상 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엄선된 36개의 진술문(statement)을 가지고, 17명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분석결과, Q 방법론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과 그 특성은 다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유형은 '전문적인 교육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를 위한 개별지도를 위해 보육교사가 아동발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자기 장학이나 연구회 활동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추구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형은 '안전 및 보호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를 보호(care)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보육시설에서의 안전과 청결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영유아 보육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형은 '일상생활 및 성장 지향형'으로, 이 유형의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영유아의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함의는 첫째, 보육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 매뉴얼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전문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Analysis of Knowledge and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 양지선;이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4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2015 개정 가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지식의 연관성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순으로,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이해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 개념별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은 '발달'에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 '관계'에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과 '이해하다', '생활문화'에서 메타인지적 지식과 '적용하다', '안전'에서 절차적 지식과 '평가하다', '분석하다', '관리'에서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생애설계'에서 메타인지적 지식,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에 사용된 동사의 진술은 '탐색하다', '이해하다', '분석하다', '실천하다', '제안하다', '인식하다', '평가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 동사의 진술은 수행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교과내용 지식과 다양한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구체적인 역량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능력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인지과정을 제공하고 내용요소와 기능과의 연결을 정교화하는 전략을 통해 교육의 방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이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광합성 실험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d Experiment Performance Ability on Photosynthesis Experiment)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502-518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광합성 실험을 초등 예비교사들이 직접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와 자신의 반성을 담은 탐구과정상의 어려움과 해결책을 탐구보고서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10개조의 탐구보고서와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와 실험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에 대해서는 10편의 탐구보고서에서 '지식', '과정', '지향', '태도' 4가지 유형과 관련된 총 108개의 진술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합성 실험을 통해 획득한 '지식'에 대한 반성적인 사고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지식유형에서도 실험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이나 기존의 개념이해가 변화한 내용에 대한 반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실험 수행 능력은 10개조 중 반성적 사고 4가지 유형을 합산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와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한 개 조의 탐구보고서를 '실험준비 및 안전사고 예방', '실험 수행',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4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56개의 문장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결과 보완 및 피드백' 단계에서 두 조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최하위 조의 경우 '실험결과 정리 및 일반화' 단계의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대체 시약 및 재료 탐색', '대체 실험법 고안' 능력과 관련된 내용은 탐구보고서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An Analysis of Open Inquiry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 to Conduct)

  • 박종선;송영욱;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3-152
    • /
    • 2011
  • 이 연구는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자유탐구활동을 위한 학년별 자유탐구활동 주제 내용 의 특성을 알아보고, 학년에 적합한 자유탐구활동 주제를 선정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I 초등학교 3, 4, 5, 6학년 4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생들이 작성한 자유탐구활동 실험계획서를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 이유 및 도움 정도, 주제 내용, 주제의 적합 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던 주제와 흥미로운 주제를 자유탐구활동 주제로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도움을 받아 자유탐 구활동 주제를 선정할 때는 중학년은 가족, 고학년은 인터넷의 도움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탐구활동 주제 영역은 생물 영역에 관한 주제가 많았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화학과 물리영역에 관한 것이 많아졌다. 탐구 방법은 주로 실험이나 조사 활동이 많았고, 탐구 기간은 '1주'정도가 가장 많았다. 초등학생들이 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는 내용 수준, 방법 수준, 과학적 의문, 안전과 생명 존중의 면에서 지도가 필요한 부적합한 주제도 많았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이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 시 고려할 점은 초등학생들이 평소 알고 싶었던 과학적 의문점이나 흥미로운 주제를 자유탐구활동 주제로 선정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자유탐구활동 주제 선정을 위한 대략의 큰 영역을 학년별로 제시해야한다. 초등학생들이 자유탐구활동의 성공을 경험하여 탐구에 대한 긍정적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얼마나 탐구할 것인가에 대하여 자유탐구활동 주제에 대한 구체적 진술을 하도록 지도해야한다.

휠체어 균형 조정을 위한 스마트 센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 of Smart Sensors for Wheelchair Balancing Control)

  • ;조영빈;김진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85-1592
    • /
    • 2018
  • 휠체어에 대한 균형을 맞추지 못하는 체중 배분으로 인해 기존의 휠체어 시스템은 휠체어가 언덕으로 올라갈 때 뒤집히거나 떨어질 위험에 직면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휠체어를 타는 동안보다 안전하기 위해 통합 된 자이로 센서와 틸트 센서를 사용하여 균형을 제어하는 실시간 새 솔루션을 제안했습니다. 휠체어의 전형적인 특성은 발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특수 사용자를위한 것이기 때문에 휠체어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도움이되었습니다. 우리의 방법에서는 경사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트 각을 계산한다. 그러나 휠체어가 움직이는 관성의 법칙으로 인해 틸트 센서의 출력 값에 편차가 있습니다. 따라서 자이로 센서의 출력 인 가속도를 이용하여 각도 값을 최적화해야합니다. Gyro 센서와 Tilt 센서의 조합을 사용하여 이점을 얻었습니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소비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ZigBee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 밸런싱 시스템의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 들었습니다.

구강내 임플랜트-지대주 연결부에서 치주질환관련 세균의 검출 (Detection of periodontal disease related bacteria from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in oral cavity)

  • 한명주;정재헌;김희중;국중기;유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6-124
    • /
    • 2008
  • 문제 진술: 임플랜트 시스템은 임플랜트와 지대주 사이에서 빈 공간이 발생하여 세균의 저장소로서 작용하게 되어 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에 염증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목 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랜트-지대주 간극의 미세 누출에 관여하는 치주질환원인균으로 추정되는 Porp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의 검출률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시료채취는 27명의 환자들에서 행하였고 소독된 페이퍼포인트를 이용하여 $1{\times}PBS$로 옮겼다. 치주질환원인균의 검출은 16 rDNA에 근거한 종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지닌 중합효소체인반응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플랜트 고정체내에서의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59%와 82%였다. 환자의 임플랜트 연구에서는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44%와 82%였다. 환자혀에서의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82%와 82%였다. 결 론: 현재의 임플랜트 시스템은 임플랜트 내부의 세균 군집화와 미세누출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