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활동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 단원에 제시된 컴퓨터 활용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Application of Computer in Geometry Unit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577-591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 단원에 제시된 컴퓨터 활용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컴퓨터에 관련된 내용 중 자세한 설명을 통해 실습이 가능한 내용도 있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설명만으로 실습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수학 수업에서 컴퓨터를 교사가 직접 조작하거나 학생들의 활동을 목표로 한다면 그 내용은 가능한 자세히 소개되어야 한다. 컴퓨터의 활용 측면에서는 단순히 읽을거리나 수학적 사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과 같은 활동을 통해 수학적 사실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탐구하는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안내하는 것도 필요하다.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만들기' 활동에 대한 고찰 (A Note on the 'Sentence Posing' Activities in the Thir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 백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37-51
    • /
    • 2013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수학 교과서에는 '약속'으로 제시된 용어의 수학적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문장 만들기'가 신설되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문장 만들기 활동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문장 만들기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전반적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만들기의 역할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장 만들기는 약속으로 제시된 용어를 실생활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안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약속의 개념을 확인하기 위한 역할은 약속의 개념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었다.

  • PDF

개방형 학습활동이 수학적 창의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th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by the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 백종숙;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2호
    • /
    • pp.135-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o improve the method of math teaching by analysing how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offse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Mathematical creativity between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OLAA) and general classroom-based instruction(GCI) shows any difference? (2) Mathematical disposition between OLAA and GCI shows any differe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AA group and CCI group in mathematical creativity. This means that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was generally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an general classroom-based instruc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AA group and GCI group in mathematical disposition. Bu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except mathematical confidence improved a little. So we can say that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brought an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LAA can be used to cultivate the children'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Therefore, I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use the OLAA to improve the children'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 PDF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평가를 통한 영역별 난이도의 조사 분석 - 초등수학 5-나, 6-나 단계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degree of difficulty of domains through an assesment of 'Review Problem')

  • 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27-342
    • /
    • 2006
  • 이제 학교수업도 완전한 주5일제수업 실시의 일환으로 올해부터 월 2회로 확대되었고, 학교의 재량활동 시간이나 방과 후 활동 강화 등으로 학교의 교육환경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이런 교육환경의 변화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의 교과수업시수 변화에 대한 준비를 예고하고 있다. 학교수학도 마찬가지로 지금보다 더 정선된 교과내용의 양과 수준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대응하는 학습내용과 그에 따른 지도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 5-나, 6-나 단계의 교과서 내용을 지도한 후 단원마다 실시하는 '잘 공부했는지 알아보기'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별 통과율과 이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학생들의 학습결과에 대한 학습수준을 파악하고, 지도교사의 분석을 통하여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ication of Derivative Tasks)

  • 김하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711-7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가 교과서의 수학 과제(Mathematical task)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어떤 학습 기회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미분계수 단원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제 변형 활동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는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들이 미분계수의 개념적 이해를 추구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둘째,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협업과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의 활용 (Application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백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87-198
    • /
    • 2024
  •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는 초등학교 2, 3학년 수학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후 학습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 이상 논의되지 않는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뺄셈과 나눗셈의 계산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들의 이해 수준에서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를 정당화하고 뺄셈과 나눗셈에 활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활동을 논의한다. 또한 아동들이 덧셈과 뺄셈, 곱셈과 나눗셈의 관계와 등식의 성질을 뺄셈과 나눗셈에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Van Hiele 기하 학습 수준 이론에 따른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 분석 (Analysis of LEGO Mindstorm Activity Levels Based on the Van Hiele Levels of Development in Geometry)

  • 임해미;최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57-275
    • /
    • 2019
  • 로봇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테크놀로지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은 로봇을 유연하게 다룰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로봇을 학교 수업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교수학적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로봇을 활용한 문제해결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수학에 초점을 두어 로봇을 활용한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로봇 활동의 수준을 정의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의 학습 수준에 대한 대표적 연구인 Van Hiele의 기하 학습 수준 이론을 시작점으로 설정했으며,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매개로 LOGO를 선택하였다. Olson et al.(1987)의 연구에서는 Van Hiele의 기하학습 수준에 대응하는 LOGO 활동 수준을 정의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LOGO와 LEGO 프로그래밍의 태생적인 유사점에 주목하여 Van Hiele의 기하 학습 수준에 따른 LOGO 활동 수준에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을 연계하여 로봇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활동 수준을 분석하고 정의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김현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역사-발생적 분석을 통한 대수 지도 (On the Teaching of Algebra through Historico -Genetic Analysis)

  • 김성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1-106
    • /
    • 2005
  • 수학사는 수학 교육에서 수학의 실제와 수학을 하는 사고 과정을 강조하기 위해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수학사를 분석하는 것은 수학적 활동을 이해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역사적으로 수학자들의 활동이 어떻게 변하면서 발전되어 왔는지, 그리고 수학적 개념들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내용은 수학 교육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학교대수에서 다루는 문자 기호(미지수)와 음수를 중심으로 하여 수학사에서 등 장한 몇몇 텍스트를 분석하고 동시에 교육적인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수학교육에서 역사-발생적 분석의 필요성과 그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분석에서 제기되는 인식론적 장애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으로 역사-발생적 분석을 실제 대수 지도에 적용해보기 위해, 방정식에서 사용된 문자 기호(미지수)의 역사를 몇몇 텍스트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선행된 실험연구의 결과와 함께 논의한다. 또한 음수의 역사를 개괄하면서 역시 몇몇 텍스트를 살펴보고, 음수의 역사를 대수 지도와 관련해서 논의한다. 수학사는 인류의 대역적인 학습 과정으로 학교수학에서 다루는 개념들에 의미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 본 연구의 논의는 이러한 측면에 주목한 것으로 역사-발생적 분석을 대수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 본 것이다.

  • PDF

수학적 문제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

  • 전평국;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65-70
    • /
    • 2003
  • 문제 해결이 수학교육의 한 목표로 강조되고 있음에도 문제 해결 지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문제 해결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그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수학적 문제 해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 행동을 비교 분석하고, 교사의 역할 행동이 아동의 활동과 문제 해결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