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적 지식의 이해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Respect to Division (나눗셈 개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 김민경
    • School Mathematics
    • /
    • v.5 no.2
    • /
    • pp.223-2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divis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focused on the following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division : connectedness betwee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units.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division such as the making word problem including division of fractio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units in division operation.

  • PDF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관련 지식의 연결 관계 분석

  • Jeon, Pyeong-Guk;Park, Hye-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71-76
    • /
    • 2003
  • 학생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이해는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분수 나눗셈은 많은 학생들이 기계적인 절차적 지식으로 획득할 가능성이 높은 내용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분수 나눗셈을 학습할 때에 일상생활에서의 경험과 선행 학습과의 연결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큰 원인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험적 지식과의 연결 관계를 활용한 교수 방안을 실험 교수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로서 번분수를 활용한 수업은 분수 나눗셈의 표준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이유를 알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되나 여러 가지 절차적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분수 막대를 직접 잘라 보는 활동을 통한 수업은 분수 나눗셈에서의 나머지를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경험과 학교에서 이미 학습한 분수 나눗셈들의 관련 지식들을 적절히 연결하도록 한다면 수학적 연결을 통해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이끌 수 있다.

  • PDF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교실 - C. Kamii의 '두 자리 수 더하기 두 자리 수' 수업을 중심으로 -

  • Kim, J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71-382
    • /
    • 2004
  • Kamii는 피아제의 발생론적 인식론이란 이론을 모태로 수학을 지도해야 학습자가 수학을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Kamii가 이런 신념을 갖고 실시한 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특징은, 교사가 가르쳐야 할 지식을 직접적으로 지도하지 않는 대신에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두번째, 기저지식으로서 학습자의 비형식적 지식을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분위기이다. 세 번째, 두 번째와 관련되어서 학습자의 사고과정은 성인이나 학문적 체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사고 흐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 준다. 네 번째, 교사의 역할이 가르쳐야 할 지식을 가르치는데(전수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생성해 낸 여물지 않은 아이디어들을 익힐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다섯 번째, 학습자마다 기저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학습주제라 할지라도 이해의 폭과 깊이가 다르다. 따라서, 전체학급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중이라 할지라도 개별적 학습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력이 저하된다는 염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업을 받아 보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런 원인은 아마도 교사 자신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업 경험이 간접적으로든 직접적으로든 없기 때문일 것이다. Kamii가 실시한 수업이 학생 스스로 수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구성주의 원리를 적용한 성공적인 사례이며, 이와 같은 방향으로의 교수법의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

  • PDF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and Mathematics Education (인식의 시간성-무시간성과 수학적 지식의 교육)

  • Yim, Jaeh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8 no.3
    • /
    • pp.379-397
    • /
    • 2014
  • According to Kant, time is integral to all human cognitive experiences. Human beings perceive things in the frame of time. Phenomena are perceived in successive way or in coexistent way.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can be a framework to consider the issues of teaching and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knowledge. Significance of temporal inquiry of atemporal phenomena is discussed with examples of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geometric figures. Significance of atemporal inquiry of temporal phenomena is also discussed with examples of the sum of natural numbers, geometric pattern, and the probability of two events.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potential of mathematical tasks from the perspective of temporality and atemporality and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inquire temporal phenomena atemporally and atemporal phenomena temporally.

  • PDF

스키마와 스키마 사이의 간격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의 관계적이해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Deok;Kim, Hwa-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77-86
    • /
    • 2003
  • 초등학교 영재들은 여러 사설 교육기관이나 국립기관 그리고 개인 교습을 통하여 많은 양의 선수학습을 행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방법과 이유를 아는 관계 이해를 하기보다는, 주어진 규칙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아내는 도구적 이해를 하고 있다. 그들은 수학을 능동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받아들이기에 새로운 수학적 지식을 창출하지 못하는 성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초등학교 영재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적 스키마와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스키마 사이의 간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대전에 있는 영재교육기관에 등록된 초등학교 3학년 영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 스키마와 스키마 사이의 간격이 멀수록 학생들이 방법과 이유를 아는 관계적 이해를 하기보다는 주어진 규칙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아내는 도구적 이해를 하고, 그 간격을 줄일수록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고학년의 수학내용까지도 스스로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성향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간격이 적을수록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학습받은 내용을 자신의 지식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문제에 적용을 쉽게 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적 스키마와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스키마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학생들이 수학을 관계적 이해를 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잇음을 보이려고 한다.

  • PD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ing and apply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상황중심의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실행연구)

  • Kim, Nam-Gyun;Park, Young-E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3 no.2
    • /
    • pp.429-4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students deepen their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tioner improve her mathematics lessons. The teacher-researcher developed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which was modified from PBL(Problem 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el). Three lessons were performed in the cycle of reflection, plan, and action. As a result of performance, reflective knowledges were noted as followed points;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mathematical situation 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model, improvement of mathematics teachers.

  • PDF

수학교사의 지식에 관한 연구

  • Sin, Hyeon-Yong;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297-30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교과, 학생,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필요함을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에 관한 세 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학생의 학습과 효과적인 교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학생의 질문에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수업을 계획하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담화를 수학적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었다. 따라서 수학을 잘 아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교사가 잘 알지 못하는 것을 가르칠 수는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Teachers' Knowledge Base and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교사 지식 기반 영역과 수학적 지식 구조)

  • Kim, Young-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1 no.4
    • /
    • pp.595-60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teachers' knowledge bas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especially to provide the various definitions and the structures of mathematics knowled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ne of the knowledge bas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teachers' knowledge bas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the structure of mathematics knowledge may be used in evaluating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teachers as well as in developing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 PDF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CGI)에 대한 고찰

  • Kim, Won-Gyeong;Baek, Seo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27-41
    • /
    • 2001
  •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CGI)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특히, 비형식적 지식)의 발달; 그러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 교수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지식과 신념들; 교사의 지식, 신념들, 실제들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에 대한 이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초점을 둔 통합된 연구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동의 비형식적인 지식을 중시하는 최근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CGI를 위한 수업을 어떻게 조직하며, 그러한 교수법이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CGI를 적용하는 교실들의 유사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최근의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CGI의 효과를 알아본다.

  • PDF

초등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추론 방법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45-63
    • /
    • 1999
  • 학교 수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학적 능력과 태도를 육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학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일과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는 일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수학적 사고는 학교수학에서 지도되는 내용 그 자체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이들 수학을 수학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으로 획득하는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수학적인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수학적인 활동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귀납 추론, 연역 추론, 유비 추론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귀납 추론의 필요성 및 특성과 구체적인 적용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