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통만족

검색결과 478건 처리시간 0.028초

몰입형 가상현실에서의 협업 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현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ce of Collaboration based Multi-user Interaction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 박성준;박원준;허하영;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에 존재하는 다수의 HMD 사용자들에게 보다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협업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핵심은 가상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HMD 사용자가 각자 구분된 역할과 행동을 기반으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상협업환경에 존재하는 사용자 각각은 손을 활용하여 가상 환경 또는 가상의 객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소통과 협업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 갈 수 있는 방식(동기화, 의사소통)을 함께 설계한다. 그런 다음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하는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통과 협업을 고려한 아케이드 장르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그리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실험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제안한 몰입형 가상협업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하는 현존감과 경험을 제공함을 확인한다.

군(軍)부대 이전사업에 대한 군인(軍人) 및 지역주민(地域住民)의 만족도(滿足度)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지역, 군인 및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Study of Relocation of military troops and local residents for satisfaction (○○ regions, South Jeolla Province, soldiers and local residents, mainly))

  • 신광식;김행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33-648
    • /
    • 2012
  • 본 연구는 군부대 이전을 할 때 군인과 지역주민들의 만족요소와 불만족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양자가 만족하는 이전사업이 될 수 있는 대책을 국방부에 제안하려고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부대 이전사업에 대한 군인과 주민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군인(3.75)은 책임성(4.11)과 노력성을 중시하는 반면 주민(3.33)은 적정성(3.64)과 소통성을 만족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둘째는 부대 이전사업에 대한 남 여별 만족도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남자의 경우 남자 군인(3.73)은 노력성과 책임성, 주민(3.40)은 적정성과 소통성을 중시한 반면 여자의 경우 여자 군인(3.85)은 적정성과 소통성, 주민(3.30)은 책임성과 소통성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셋째는 직위 직업별 만족도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군인의 경우 부사관은 전문성과 책임성을 가장 중시하고 갈등성은 가장 적은 반면 장교는 적정성을 가장 중시하였다. 주민의 경우 축산업자는 책임성과 노력성을 중시하고 갈등성은 가장 적은 반면 소유자와 세입자, 영업자는 적정성을 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주민의 환경축제 충성도와 그 영향요인 간의 인과관계 - 함평나비축제를 중심으로 - (The Causality among Residents' Loyalty to an Environmental Festival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ith Special Reference to Hampyung Butterfly Festival)

  • 이경진;송명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5호
    • /
    • pp.337-35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환경축제인 함평나비축제를 대상으로 환경축제가 지역주민의 충성도 제고라는 측면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애착도와 같은 축제의 외생적 요인과 축제의 경제 효과, 개최자와 지역주민 간의 의사소통, 그리고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의사 같은 내생적 요인이 축제의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구조 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애착도, 참여의사, 의사소통은 축제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 중 애착도는 충성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경제 효과는 연구가설과는 달리 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충성도에 미치는 총 영향력은 애착도, 의사소통, 참여의사 보다 만족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충성도 제고를 위해서는 원천적으로 애착도 제고, 의사소통 활성화, 참여의사 제고가 긴요하겠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추진해야 할 과제일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무엇보다도 만족도 제고에 노력하여야 한다.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 서미선;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59-56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fter receiving consents from 200 clinical trial subject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 program. Result: Clinical subjects perceived that clinical research nurses used the informative, affective, and non-authoritative communication styles.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they were the informative communication styles (${\beta}$=.34, p<.001) and affective communication styles (${\beta}$=.35, p<.001, $R^2$=37%)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Conclusion: If educational programs on communication are developed to help clinical research nurses use the informative and affective communication sty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applied to the field of practice,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nd contribute to the higher quality of clinical trials.

병원간호사의 의사소통 만족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 강경화;한용희;강수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47 nurses who were working in 24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August 201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level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3.15 (min 1.88 -max 4.88) and the mean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21 (min 1.33 - max 4.8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 655).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ubconstruction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ollowing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vertic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dia, and organizational climat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kills for hospital nurses to increase the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 임승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5-20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current work is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154 medicaid cas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and July, 2017 through Embrain, a specialized research organiz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communication competence of the medicaid case managers was 3.61, stress 1.76, and their job satisfaction 2.74. Age and average monthly compensation brough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job satisfacti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correlated with stress (r=-.35, p<.001), but not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e str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job satisfaction (${\beta}=-.4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work show that the medicaid cas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not an influence factor of their job satisfaction, which is different from implicat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needs confirmation through future research.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stress management can be a useful approach to the improvement of medicaid case managers' job satisfaction.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글자판의 단어예측기능에 대한 뇌병변장애인 대상의 사용성 평가 (A Usability Testing of the Word-Prediction Function of the AAC Keyboard for the People with Cerebral Palsy)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09-21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1) 구어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단어예측기능이 문장산출 속도에 미치는 영향 및 (2) 단어예측기능의 필요성, 편의성, 만족도 등을 조사하는 것이다. 총 10명의 성인 뇌병변장애인들이 평가에 참여하였고, 한국형 하이테크 AAC 기기인 마이토키스마트의 글자판에 탑재된 단어예측기능이 평가도구로 사용되었다. 참가자들은 제시되는 문장을 단어예측기능과 낱글자 직접입력방식을 각각 사용하여 음성출력한 후에, 단어예측기능의 필요성, 사용 편의성 및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요청되었고, 자유 피드백을 통해 기타 의견들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문장예측기능을 사용했을 때의 문장생성속도가 낱글자입력방식을 사용했을 때보다 평균적으로 빠르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참가자들이 새로운 실험도구를 충분히 연습하고 학습할 적응기간이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참가자들의 문장예측기능에 대한 필요성, 편의성, 만족도 등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응답을 나타냈다.

  • PDF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Kim, Hyung-Hee;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89-195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다문화수용성의 예측변인들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자료 가운데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 5차, 6차 1,972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증가의 폭은 3차년(중학교 3학년)에서 5차년으로 넘어가는 시점의 변화의 폭이 컸다. 둘째, 다문화수용성 예측 변인으로 초기치에서는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변화율에서는 삶의 만족도, 또래의사소통, 공동체의식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 이애경;여지영;정성원;변상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99-308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수준을 확인하고 그 차이와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의 임상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ICC), 간호직무스트레스척도, 간호사 직무만족도구를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 및 t-test, ANOVA를 SPSS 16.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평균은 3.30(${\pm}0.43$)이며, 임상간호사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2.90(${\pm}0.33$), 직무만족도 평균은 3.01(${\pm}0.30$)이었다.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r=-.247, p<.001)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r=-.215, p=.002)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의사소통과 직무만족도(r=.248, p<.001)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현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규명하여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높이는 효율적 인력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의사소통능력의 활용가능성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CMC 환경과 상호작용 유형이 과학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MC-Environment and Interaction-Types on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 이정선;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625-6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FTF) 환경과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MC) 환경 사이의 차이를 과학 학습 성취도와 만족도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교수자-학습자(TS)와 학습자-학습자(SS) 상호작용 유형들 간의 차이에 대하여도 함께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충북 충주 소재의 C여자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개 반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5월 정규수업과 병행하여 3주 동안 학습 활동을 한 후에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 검사를 다음의 네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CMC-TS, CMC-SS, FTF-TS, FTF-SS. 각각 5문항과 13문항으로 구성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 측정을 위한 검사지는 통계 분석되었다. 각 집단간 학업 성취도의 평균 점수는 CMC환경을 이용한 집단(CMC)과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한 집단(TS)에서 높았다. 변량분석에 의하면, CMC환경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는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CMC-SS)에 비하여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학습활동(CMC-TS)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면대면 (FTF) 환경에서도 TS 활동 (FTF-TS)이 SS 활동 (FTF-SS) 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의 경우에 환경에서는 CMC환경이, 그리고 상호작용에서는 TS 활동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환경하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이 과학 교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상당히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