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다형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1초

실어증 환자에서 선다형 이름 맞추기 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ultiple-Choice Name Matching Test in Aphasic Patients)

  • 민용;고명환;서정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3호
    • /
    • pp.137-142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multiple-choice name matching test (MC-NMT) in adults with aphasia by compar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K-BNT) and subset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Aphasia Battery (K-WAB). Thirty-nine patients who suffer from aphasia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tients were examined by the K-BNT, MC-NMT and K-WAB. The MC-NMT consisted of the 30 original BNT object stimuli which were presented with four response choices (written words) with similar frequency, including one correct and three incorrect responses. Cards containing the drawings were presented to the patient one at time. An item was passed if the patient chose the correct response within 10 seconds. We subdivided two groups into a total group and a low K-BNT group (at and below 15 points).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BNT, MC-NMT score and production, naming, repetition, comprehension, reading and writing scores in subsets of the K-WAB. There was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BNT score and naming score of the K-WAB in total patients. However, the MC-NMT was highly correlated with reading scores in the K-WAB. In low score K-BNT patients, the K-BNT strongly correlated with production, naming and repetition scores of the K-WAB. These findings mean that K-BNT reflects motor language function. However, the MC-NMT was strong correlated comprehension, reading and writing of the K-WAB. This finding reflects sensory language function. We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K-BNT and newly developed MC-NMT will be useful to evaluate speech functions in aphasic patients.

해외 고등학교 정보 교육 검사도구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nformatics Education Assessment Tools in Overseas High School)

  • 최희정;이원규;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1-42
    • /
    • 2018
  • 빠른 사회 변화를 이끌고 있는 기술의 발전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정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보통교육을 통해 육성해야 할 역량의 마지막 단계는 고등학생이다. 본 연구는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고등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정보교과에 대한 역량과 수준을 검사도구의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을 위해 일본, 독일, 미국 등,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교육 관련 검사 도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선다형 문항 형식 뿐만 아니라 논술형과 단답형 문항을 검사도구에 함께 포함한다. 둘째, 현실세계의 모델을 문항으로 활용하여 실제적인 문제해결력에 컴퓨팅 파워를 활용할 수 있는 지 묻고 있다. 셋째, 대학 교육과 직접 연계되는 내용을 문항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검사도구의 특징 및 논의사항을 도출하고 정보교육의 검사도구 개발 방향성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중학교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93-302
    • /
    • 2012
  •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출제경향을 조사하기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10개의 중학교의 1차와 2차 지필평가 문항의 총 64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수준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내용영역은 기존의 연구의 결과에 비해 과학적 탐구과정의 출제 빈도수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과학지식을 묻는 문항이 과학적 탐구과정의 문항과 비교하여 두 배 이상의 비율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항유형은 선다형 문항 중심으로 출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정답률을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빈도수에서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은 교사가 목표로 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낮았으며, '중'의 비율은 교사가 생각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총체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의 평가 및 문항 개발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by Guilford's Structure of Intellect Model)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1-200
    • /
    • 2013
  • 정보활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피교육자의 능력을 진단, 측정하고 교육목표의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 중등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측정을 위한 웹기반의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해서 우선 정보활용능력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과 메이커의 학습능력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의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검사도구는 웹 기반의 선다형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94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문항의 난이도, 신뢰도, 변별력 지수, 타당도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표준 점수를 제시하였다.

중학교 과학과 서술형 평가의 문항 특성 및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 and Factor about Middle School Science Descriptive Assessment Items)

  • 김성기;최은주;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5호
    • /
    • pp.445-453
    • /
    • 2015
  • 문제해결력 및 창의력 등과 같은 고등정신능력 배양을 위한 평가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2005년 도입된 서술형 평가는 매년 평가비율이 증가하면서 단순 지식을 요구하는 선다형 평가의 대안적 평가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서술형 평가 비율 확대로 학교현장에서 표면적으로는 어느 정도 정착이 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실제 서술형 평가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했다고 확언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5개 중학교에서 실시된 과학과 서술형 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서술형 평가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갖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문항을 출제한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술형 평가 문항들은 ① 출제되는 단원의 편중, ② 단원별 문제 형식의 차이, ③ ‘고등정신능력’ 측정의 미흡이라는 문항의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항의 특성을 갖는 요인은 교사들의 평가 문항 제작, 평가 도구의 이해 등에 대한 능력이 결여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평가 전문성의 결여로 설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평가 전문성을 신장을 위한 방안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힘 개념에 따른 연모 실험 설계의 유형 (Patterns of Designing Tools Experiments with Types of Force 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성기;박종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83-59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힘에 대한 개념이 연모 실험을 설계하는 과정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힘에 대한 개념을 4개의 선다형 문항을 실시하여 응답 유형을 구분하였다. 힘 개념을 조사하는 문항과 짝을 이루도록 개발된 연모 실험의 4가지 과제를 동일한 학생들에게 해결하도록 하여 실험 설계 능력 중 가설 설정,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을 힘에 대한 개념을 과학적 개념과 대안적 개념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었으며, 그 개념에 따라서 실험 설계 능력 중 가설 설정과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에서 어떤 유형으로 구별되는 가를 분석하였는데, 과학적인 힘 개념을 가진 학생들이 연모 실험의 가설 설정과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힘 개념이 연모 실험을 설계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며, 결국 과학 개념이 실험을 설계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는 가정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수학적 질 사이의 관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Focus on high schools)

  • 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37-254
    • /
    • 2020
  • 본 논문은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고하는 연구이다. 선다형 평가 문항 유형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을 수집하였고, 촬영된 그 교사들의 수업을 수학 수업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을 평가하였다. 두 점수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다. 또한, 수집된 수업 영상과 교사들의 인터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이 중재하지 못하는 수업의 질과 관련된 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학 교사 교육에 대해 논의한다.

중등 학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소원주;김범기;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예비 투입을 하는 것이다. 이 조사 도구는 넓은 영역의 과학철학적 주제를 담은 24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도구의 진술문과 선택지는 다양한 과학철학적 관점을 분석하여 만들어졌다. 이 도구 속의 주된 과학철학적 체계는 귀납주의, 반증주의, 그리고 상대주의이다. 이를 구분할 하위주제는 구획의 기준, 과학적 변화 양상, 과학적 지식의 인식론적 지위, 그리고 과학적 방법이다. 또한 본 연구자들은 과학의 본성에 관련한 넓은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측정하고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PDF

동아시아 상위 성취국의 PISA 2012 수학 결과 비교 분석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East Asian Top Level Countries' Mathematics Achievements in PISA 2012 Results)

  • 임해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41-45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역량 평가인 PISA 2012의 결과를 토대로 동아시아 상위 성취국인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의 인지적 성취 특성을 살펴보았다. 수학 평가틀의 하위요소와 문항 유형별로 정답률과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싱가포르보다 13개 하위요소 모두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일본과는 '개인적' 맥락을 제외한 12개 하위요소에 대해 높은 성취를 보였다. 그러나 5수준 이상의 상위 수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하위요소별로 특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5수준 이상의 비율은 싱가포르, 우리나라, 일본 순의 비율을 보였으나, 평가틀의 하위요소별 결과에서는 우리나라는 싱가포르보다 '양', '이용하기'의 성취가 높았으며, 일본과 비교하여 '과학적' 맥락, '공간과 모양'과 '양' 영역, '형식화하기'와 '해석하기', '선다형'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점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수학 소양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위 수준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음지각검사 (KCPT)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 김진숙;신은영;신현욱;이기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295-30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지각평가의 기초 자료가 되고 청각장애 자음지각능력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가능한 음소단위의 한국어자음지각검사 (Korean Consonant Perception Test, 이하 KCPT)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KCPT는 조합 가능한 모든 한국어 단음절어 중 유의미 단음절어만 분류하여, 7종성발음규칙을 적용하고 목표단어의 친숙도를 조절한 사지선다형 초 종성검사문항 시안을 작성한 후, 각 단어들의 조음 특성, 난이도, 음소 출현빈도수를 고려하여 완성되었다. 이를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난이도가 높은 문항을 제거하고 화자 간 변수가 없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한 후 회화체 빈도수에 맞도록 최종문항을 작성하였다. 세부적 수정을 거쳐 초 종성검사문항 각 200개와 100개로 구성된 총 30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30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A와 B로 구분한 절반목록간 차이도 없음을 확인하고 초성검사문항은 초성자음지각평가에 종성 검사문항은 종성자음 지각평가에 적절한 도구임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