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문화적태도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29초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 박동진;김송미;박경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03-8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 1차년도 조사(2019)의 청소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하였다. 셋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였다. 넷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sce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유혜영;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13-1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패널(MAPS) 8차년도(2018)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15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Process Macro Model과 Bootstr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긍정적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사회적 위축과 우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은 우울감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우울을 낮추고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Biculture Acceptance)

  • 우안순;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379-38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CAPS) 6차년도 자료 중 다문화청소년 1,323명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활용해 경로분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업중단의도를 감소시키는데 반해, 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중단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중단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를 높이고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수학학습태도와 수학성취도의 성별차이에 미치는 영향: TIMSS 2011를 중심으로 (Sociocultural Factors Influencing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ttitude and Achievement for Korean Students in TIMSS 2011)

  • 유양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4호
    • /
    • pp.463-478
    • /
    • 2014
  •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TIMSS와 같은 국제적인 평가에서 높은 수학 성취도를 보이고 있다. 성별 성취도를 분석하면 TIMSS 1995부터 TIMSS 2011까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받고 있다. TIMSS 1995와 TIMSS 2011의 성별 점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IMSS 2011에 참가한 42개국 중 성차가 없거나 여학생이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인 국가는 35개국이며 남학생이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인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7개국이다. 수학 성취도의 성차는 사회문화적 요인과 수학학습태도와 연관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가 있다. 본 연구는 TIMSS 2011에 참가한 중2학년 5,165명 남녀학생들의 수학성취도 결과를 분석하여 사회문화적 요인이 수학학습태도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남녀학생의 교사선호도는 유의한 성차가 없었는데 학부모의 교육 참여도에 유의한 성차가 있었다. 여학생의 수학에 관한 가치와 수학에 관한 자신감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학부모의 교육 참여도는 여학생의 수학학습태도와 수학성취도에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의 교육 참여도를 높이고 여학생들의 수학에 관한 가치와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의 롤 모델과 여성들의 과학 분야의 진출을 장려하는 사회적 요인의 조성이 함께 필요하다.

미술문화자본이 자아이미지, 관용적 태도, 관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stic Cultural Capital on Self-Image, Tolerant Attitude, and Viewing Loyalty)

  • 엄명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87-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자본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문화자본과 관람 충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들은 문화자본을 주로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연결하였기 때문에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서 문화자본의 역할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헌적 공백을 메우고자 본 연구는 미술 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자본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이 사용되었고, 서울지역 3개 대학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개인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자아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관용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술관 방문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리키는 관람 충성도는 미술문화자본에 의해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자본의 실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광주·전남지역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신체비교,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 연구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fferences in body comparis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social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mong adolescent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by sex and age)

  • 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9
    • /
    • 2015
  • 본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 남녀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학교급)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유형에 따른 신체비교, 신체만족, 그리고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 지역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관리행동과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598명의 자료를 결과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SPSS/PC WIN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Cronbach's ${\alpha}$)분석, 요인분석, ${\chi}^2$검증, K-means군집분석 t-test, ANOVA(일원변량분석), Duncan's grouping을 실시하였다. 광주 전남지역 청소년들도 보통이상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준을 수용하여 인식하고 내면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수용형, 내면화형, 인식형, 비수용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면화하는 정도가 높은 내면화형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형의 경우 신체만족도가 더 낮고 신체비교를 자주하였다. 또한 외모관리행동에서도 성형과 기능성보정의복착용에 대해 적극적이고 수용적이었으며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체중감량을 위해 다이어트를 열심히 하고 피부관리와 청결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사회의 외모에 대한 현상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고 자신의 신체상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길러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실과 너무 떨어져 있는 현재의 사회문화적 외모기준으로부터 청소년의 자존감을 보호할 수 있는 바람직한 외모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기를 수 있는 교육내용이 가정교과 지도 시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PDF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of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tness Participating Adult Woman)

  • 김유진;임승현;남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54-364
    • /
    • 2015
  • 본 연구는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대인관계,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헬스참여 성인 여성 472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 우울 척도, 심리적 행복감 척도이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압력만이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일반적 내재화는 쾌락적 즐거움과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정보는 쾌락적 즐거움과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 내재화는 유능감과 자아실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심리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는 우울은 심리적 행복감의 쾌락적 즐거움, 유능감, 자아실현감, 몰입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in Korea)

  • 조동기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53-73
    • /
    • 2010
  • 이 논문은 다문화 사회로 향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이주자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지구화의 진전으로 국가의 영토적 경계를 벗어나서 존재하면서도 본래의 국적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이주자들의 시민권이 다인종 다문화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08년에 수행한 '다인종 다문화 사회통합 관련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국인 및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 국민정체성의 기반에 대한 인식, 이주자들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 즉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흑인과 중동인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가 큰 편이지만 현실적으로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이주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인들과 향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도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국민정체성의 기반을 시민적 요소, 민족적 요소, 문화적 요소를 나누어 살펴보면 시민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태도가 강하게 나타나 지구적 시민권과는 상충되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 모형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사회에서 이주자들을 위한 지구적 시민권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인권과 평등에 대한 보편주의적 태도와 시민적 자질을 중요시하는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단일민족의식과 이중국적에 대한 폐쇄주의적 태도를 약화시켜 나가야 한다.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Life and Social Competence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77-285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가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 당시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다문화 청소년 2,246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지지와 부모의 양육 태도가 적극적이고 긍정적일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 정도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학교생활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역량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 방식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생태계의 주요 환경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특성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Personality on Cultural Competence amo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안나;이수휘;전현정;채명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7-46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 특성이 그들의 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문화적 공감태도(SEE), 성격요인(BFI), 문화적 역량(CCAI)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문화적 공감태도, 성격요인,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태도(β=.357), 성격요인 중 개방성(β=.25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