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모와의 의사소통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19초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rom Low Income Families)

  • 김정화;송미령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23-141
    • /
    • 2014
  •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자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저소득 가정의 만 0세부터 만 5세까지의 영유아와 그 부모이며 현재 조기개입 프로그램인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와 참여하지 않는 영유아 그리고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유아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K-ASQ 검사를 실시하였고,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유무에 따라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가 참여하지 않은 영아보다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문제해결, 의사소통, 개인-사회성 등에서 발달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가정의 부모가 참여하지 않은 부모보다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 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은 저소득 가정의 아동 뿐 아니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함께 개입하고 지원해야 하며, 보다 많은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 및 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자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부모 양육태도 및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물질주의 가치관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self-esteem, materialism in adolescents)

  • 김유연;박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3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materialism an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materialism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39 first-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Kang-nam area located in Seou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Material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S and parents education; (2) Adolescents whose parents are permissive or inconsistent have higher material value.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whose parents are affectionate have relatively lower material value. And adolescents who communicate openly with their parents also have lower material value; (3) Lower material value was found for the adolescents whose self-esteem was high; (4)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was found: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material value of adolescents.

  • PDF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 어머니의 역할만족, 의사소통 및 자녀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Empowering Parents Training Program on Mothers and Their Children Emphasizing on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 김향은;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9-193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Empowering Parents Training(EPT) program with emphasis on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Subjects were 73 mothers and their 4th to 6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onggi-do. Thirty-seven mother-child dyads were assigned to the education group and 36 dyads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Mothers in the education group received EPT in 7 sessions.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es were ANCOVA and Scheffe test. EPT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mothers' paren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EPT had some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The executive model of EPT used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effective by the parents and lecturers.

  • PDF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Ecological Variable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장미선;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1-2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cological variables related wit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xamine their recognition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lassify the variables into the categories of children (gender, grade, self-efficacy), home environment (employed mother or unemployed mother,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type of family composition, number of siblings), and peer group environment (peer group). The study subjects were 6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via t-test, F-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 variables, home environment variables, and peer group environment variable. (Ed- also note the absence of 'fourth' abov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hildren was relatively reviewed by the above three variables and the most affecting variable was self-efficacy in children.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Juvenile Deliquen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민하영
    • 아동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12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juvenile deliquency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s variables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family. The subjects were 143 juvenile deliquents in jail, aged 16 to 19, and 347 9th, 10th, 11th, 12th grade students who resided in low income areas in Seoul and Taegu.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143 juvenile delinquents and 87 students whose degree of deliquency was more than M+(0.5*S.D) were selected as the final data source.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frequency percentile,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Scheffe'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1) juvenile deliquen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ather-closed communication type. (2) juvenile deliquen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ow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3)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had more important effect up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a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 PDF

아동의 행동문제.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 및 적응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 of Child and Child's Perception of Parents-Child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이정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4호
    • /
    • pp.61-7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ivior of children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s the variation of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4 children of sixth garders randomly selected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par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mpatic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of parent-child above all father-child was suggesting to prevent children behavior problem. It is needed to consider family cohesion & adaptability according to behavior problem of character to develop suitable coping ability. Father and mother' endavor for opening communication. It was needed that to improve family cohesion & adaptability as a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family.

  • PDF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대화시간과 개방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Focusing on parent-adolescent conversation time and open communication)

  • 최아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287-296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variables, parent-adolescent conversation time, and open communication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from December 23, 2019, to January 3,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economic condition, academic achievement, parent-adolescent conversation time, and open communic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father-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best explain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llowed by academic achievement, and mother-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s played by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improving adolescent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fundamental insights into adolescent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Interaction and Self-leadership, Preschoo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 문병환;김세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3
    • /
    • 2011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15개소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53명과 그들의 아버지 25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 화합 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통제 지향성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버지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척도(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 K-ASDS) 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F RELIABILITY & VALIDITY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 김주현;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98-105
    • /
    • 2005
  • 연구 목적 : 국내에서는 아스퍼거 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 구조화된 검사 도구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아스퍼거 장애에 대한 진단적 타당도의 검증 및 향후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척도(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s Syndrome Diagnostic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아동들 중 DSM-IV 진단기준과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해 아스퍼거 장애, 전반적 발달 장애(PDD)와 비전형 전반적 발달 장애(PDD NOS), 의사소통 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모들에게 한국어로 번역한 ASDS를 실시하였다. 총 55명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아스퍼거 장애 15명, PDD와 PDD NOS 20명, 의사소통 장애 20명), 연령의 범위는 5세 1개월부터 15세 6개월까지였다. 공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또 다른 아스퍼거 장애 질문지와 자폐 증상을 평가하는 K-CARS를 함께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K-ASDS의 내적 합치도는 Chronbach's $\alpha=0.88$로 높게 나타났으며, 각 하위척도별 내적 일치도 또한 높았다. K-ASDS와 아스퍼거 장애 질문지 간의 상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하위 척도 상에서 Asperger disorder, PDD, Communication disorder 집단 간의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판별 분석 결과, K-ASDS가 자폐 장애와 의사소통 장애로부터 아스퍼거 장애를 유의미하게 구분해주는 판별 함수를 얻었으며, 이들 장애를 구분해주는 전체 정확 판별율은 $71\%$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한국판 ASD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을 평가하고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보육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용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Using Mobile Class Note)

  • 양은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23-11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용경험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모바일 알림장을 사용하고 있는 보육교사 7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 째, 보육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용경험 중 긍정적인 측면]에 관한 주제군은 <교사와 부모와의 신뢰감 향상>, <즉각적인 일처리의 효율화>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둘 째 보육교사의 [모바일 알림장 사용경험 중 부정적인 측면]에 관한 주제군은 <업무량 증가에 대한 어려움>, <모바일 알림장 기능의 다양화에 대한 아쉬움>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부모와 교사간의 신뢰할 수 있는 의사소통 자료를 제공하고, 모바일 알림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