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rom Low Income Families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 김정화 (강동어린이회관) ;
  • 송미령 (한국보육진흥원 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4.12.14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0-5 years old children 1,904(Participation 1,501 nonparticipating 403) and 1,904 par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he child and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1,501 people respectively, did not participate in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parents of 403 people ea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 development between the early child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Especially, the infa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 more higher level in muscle exercise, small muscle exercise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an infants who have not participated. Second,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lower parenting stress than the parents who didn't participate. As a result, early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targeted at children and parents from low-income families.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자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저소득 가정의 만 0세부터 만 5세까지의 영유아와 그 부모이며 현재 조기개입 프로그램인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와 참여하지 않는 영유아 그리고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유아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K-ASQ 검사를 실시하였고,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유무에 따라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가 참여하지 않은 영아보다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문제해결, 의사소통, 개인-사회성 등에서 발달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가정의 부모가 참여하지 않은 부모보다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 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은 저소득 가정의 아동 뿐 아니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함께 개입하고 지원해야 하며, 보다 많은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 및 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자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은선, 구인회 (2010). 빈곤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2(4), 129-148. https://doi.org/10.20970/kasw.2010.62.4.006
  2. 김광혁 (2006). 빈곤이 아동의 학구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분석. 한국사회복지학, 48(4), 265-289.
  3. 김광혁 (2014). 가족의 경제적 박탈이 초기 아동기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42, 7-43.
  4. 김금주 (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숙, 배화옥 (2007). 한국 아동 빈곤율 수준과 아동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27(1), 3-26.
  6. 김미숙, 조애저, 배화옥, 김효진, 홍미 (2007). 한국의 아동빈곤실태와 빈곤아동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수경, 도금혜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이 가족지원 서비스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3, 77-102.
  8. 김효진 (2008).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보건복지포럼, 128, 5-20.
  9. 도현심, 이선희, 오유리, 김경미, 최규리, 강나현 (2009).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도 및 지식정도: 그 실태와 양육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30(3), 127-143.
  10. 박현선, 정익중, 구인회 (2006). 빈곤과 아동의 사회 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2), 303-330.
  11. 보건복지부 (2013). 2013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12.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3.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양미선, 김양은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15. 오경자, 문경주 (2006).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 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심리학지: 임상, 25(1), 59-76.
  16. 윤현선 (2006),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사회적 자본이론과 가족매개모델의 비교검증. 청소년학연구, 13(3), 107-135.
  17. 이세희 (2006). 저소득층 가정환경과 영아의 언어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영훈, 이종인 (2008). 영아기(0-38개월)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수용-거부 및 통제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7, 87-119.
  19. 이영환, 오미연 (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3), 47-62.
  20. 이유진 (2006). 영아의 조기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발달 간 관계 및 조기 의사소통 능력이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151-173.
  21. 이은해, 이정림, 김명순, 전혜정 (2010). 저소득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과 학업수행에 관한 종단적 연구. 아동학회지, 31(1), 65-82.
  22. 임세희 (2007), 장기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1, 55-78.
  23. 임용순 (2002). 한국 영아의 어휘발달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장혜림 (2012).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67-97.
  25. 조용남, 김정화, 정선영, 송미령, 조유리 (2012). 2012 드림스타트 효과성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6. 최형성 (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허계형, Jane Squires, 이소영, 이준석 (2006). K-ASQ 부모 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8. 홍순혜, 이숙영(2009).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8, 137-169.
  29.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 Short Form.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30. Bradley, R., & Corwyn, R.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399.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
  31.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https://doi.org/10.2307/1130428
  32. Eamon, M. K. (2001).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An ecological systems approach. Social Work, 46(3), 256-266. https://doi.org/10.1093/sw/46.3.256
  33. Esping-Andersen, Gosta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 Fass, S., Dinan, K. A., & Aratani, Y. (2009). Child poverty and intergenerational mobility. New York: National Center for Children in Poverty, Columbia University, 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35. Felner, R. D., Brand, S., Dubois, D. L., Adan, A. M., Mulhall, P. F., & Evans, E. G. (1995). Socioeconomic disadvantage, proximal environmental experiences, and socioemotional and academic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Investigation of a mediated effects model, Child Development, 66(3), 774-792. https://doi.org/10.2307/1131950
  36.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3), 207-216. https://doi.org/10.1002/nur.4770170308
  37. Gross, D., & Tucker, S. (1994). Parenting confidence during toddlerhood: A comparison of mothers and fathers. Nurse Practitioner, 19(25), 29-34. https://doi.org/10.1097/00006205-199405000-00007
  38. Heaton, T. M., Forste, R. Hoffmann, J. P., & Flake, D. (2005). Cross national variation in family influence on child healt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0(1), 97-108.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4.04.029
  39. Hill, M. S., & Sandfort, J. R. (1995). Effects of childhood poverty on productivity later in life: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2), 91-126. https://doi.org/10.1016/0190-7409(95)00005-W
  40. Korenman, S., & Miller, J. E. (1997). Effects of longterm poverty on the physical health of children in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See Duncan & Brooks-Gunn, 70-99.
  41. Korenman, S., Miller, J. E., & Sjaastad, J. E. (1995), Long-term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Resul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Youth.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2), 127-56. https://doi.org/10.1016/0190-7409(95)00006-X
  42.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2), 311-346. https://doi.org/10.2307/1131096
  43. NESS (2011). National evaluation of Sure Start local programmes: An economic perspective. Research report DFE-RR073, London: DfE.
  44. OECD (2006). Start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45. Parker, F. L., Piotrikowski, C., & Peay, L. (1987). Head Start as a social support for mothers: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involvement. American Orthopsychiatric Association, 220-233.
  46. Puma, M., Bell, S., Cook, R., & Heid, C. (2010). Head Start Impact Study: Final Report.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C.
  47. Reitz, E., Dekovic, M., Meijer, A. M., & Engels, R. C. M. E. (2006).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parenting and best friends' effects on problem behavior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6(3), 272-295. https://doi.org/10.1177/0272431606288591
  48. Schweinhart, L. J., Montie, J., Xiang, Z., Barnett, W. S., Belfied, C. R., & Nora, M. (2005). Lifetime effects: The High/Scope Preschool study through age 40. Ypsilanti, MI: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49.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0. Squires, J., Potter, L., & Bricker, D. (1999). The ASQ User' Guide(2n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51. Webster-Stratton, C., Reid, M. J., & Hammond, M. (2001). Preventing conduct problems, promoting social competence: A parent and teacher training partnership in Head Sta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 283-30.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3003_2
  52. Yeung, W. J., Linver, M. R., & Brook-Gunn, J. (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Child Development, 73(6), 1861-1879. https://doi.org/10.1111/1467-8624.t01-1-00511

Cited by

  1. 드림스타트에 관한 분야별 연구동향 분석: 2008~2020년 vol.17, pp.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