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공간

Search Result 2,39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프로그램 구성체계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Shin, Youngji;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1
    • /
    • pp.89-114
    • /
    • 2020
  •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public library and the programs in operation and to explore ways to activate the programs by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libraries that formed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us, a survey was conducted on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that had complex cultural space within the library and foun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educational, exhibition, and performance spaces, and in the same vein, there were a lot of related programs being run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However, due to the lack of personnel in charge and budget, difficulty in developing programs, low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and lack of cultural facilities and materials, the substantializa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 management seems to be lacking. Therefore, it will be required to set the goals and visions for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libraries and to secure space, manpower, budget, and promotional efforts to reinvigorate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Waterfront Development and Cultural Policy in Yokohama City, Japan (일본 요코하마시의 수변공간개발과 문화정책)

  • Kim, Na-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3
    • /
    • pp.291-298
    • /
    • 2014
  •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culture and art focusing on a case of the waterfront development in Yokohama, and consider the role of culture and art playing in the cultural city strategy within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cultures as a main intention by means of interrogation into the cultural policy and its practice in the waterfront development of a sea-port city. Yokohama has proceeded successfully the waterfront development through the creation of culture and art space by using the characterful and attractive urban scape and regional sources around the waterfront. In the cultural policy of 'the Creative City, Yokohama' as a part of 'Culture and Art Creatvie City' strategy of Japan, 'National Art Park plan' as a space planning policy realizes the regeneration of the waterfront through the creation of culture and art space. The examination on the basic intention of this venture and its practice helps comprehend a role of culture and art playing in the waterfront development of a sea-port city and shows the direction that the cultural policy would take in the waterfront regeneration.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가덕도 외양포 연안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 Byeon, Seon-Hwa;Hong, Sun-Yeon;Sin, Ji-Won;Je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4
    • /
    • 2016
  • 일제강점기 부산의 연안공간은 경제, 사회적 시설이 집중되는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부산의 연안공간에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역사문화자원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부산 연안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역사문화자원이 사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연안공간에 위치한 역사문화자원 중 아직까지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가덕도 외양포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연안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보존활용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조사 및 가덕도 외양포의 역사문화적 현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역사문화자원의 보존활용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의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연안공간개발계획을 제사하였다.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Kim,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활성화방안 연구

  • Hong, G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8-331
    • /
    • 2012
  • 등대 시설을 홍보관, 전망대, 소공원 등을 갖춘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 on Starfield Library and ARC.N.BOOK- (복합문화공간의 사용자 경험 연구 -별마당도서관과 아크앤북을 중심으로-)

  • Jeong, Su-Hyu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367-373
    • /
    • 2019
  • In modern society, with the changing lifestyle, demand for complex cultural spaces is rising and various cultural spaces are emerging. However, user-centered cultural space research has not yet been shown.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various cultural experience functions and user experience type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re being delivered proper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presentative cultural spaces of Korea, 'Starfield Library' and 'ARC.N.BOOK'. User experience analysis tool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both spaces responded that commercial space and brand library were out of harmony and that the use of services in complex cultural spaces was inconvenient.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need for improvement measures in the value and usability of experience provided by the current complex cultural space and is expected to help develop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간절곶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사례

  • Kim, Jeong-Sik;Yu, Seong-Ju;Lee, Dong-Ho;Gang, M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53-354
    • /
    • 2015
  • 등대해양문화공간은 국민의 해양사상 증진과 해양문화 예술진흥 및 해양교육을 위하여 지정된 시설이다. 우리나라 8곳의 등대해양문화공간 중 간절곶등대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개최 현황 및 시설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효율적이며 발전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 Kim,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3-327
    • /
    • 2012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더불어 문화예술의 중요성 한층 부각됨에 따라 해안경관이 수려한 등대를 이용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을 위하여 국제항로표지협회(IALA) 등대 보존 매뉴얼과 외국 등대 관광 발전 계획을 비교 연구하여, 등대의 해양문화공간의 역할 기능적 분석 및 문화 관광적 유형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등대해양문화공간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 김신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1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The Comparative Study on Contemporary Cultural Facilities in the City Environment (도시 환경과 디자인 계획으로 본 현대 문화시설 비교 연구)

  • 김선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4
    • /
    • pp.323-334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functionality of the cultural facilities and explor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facilities in cit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1 examine the major cultural facilities in USA and Singapore. Recently,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ethods have been diversified and the cultural facilities need to be designed to effectively accommodate the public's interests in these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reexamine cultural facilities' functions in terms of how the multi-functionality facilities refl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also sheds a new light on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ctivity, and the cultural facility design. For this, I primarily look at the various design categories of cultural buildings and their main functions. Finally, I demonstrate how both cultural activity and cultural facility design elements are embodied in the city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