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또래 관계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이중매개효과와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rop-out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 박혜진;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81-91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을 통하여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메카니즘을 파악하여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의 3개 시군에서 편의표집한 고등학생 283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중단의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자아존중감, 그릿, 또래관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은 자 아존중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증진시키는 상승역할 뿐만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자아존중감→또래관계→학업중단의도의 경로를 조절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중단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그릿이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al Caring Awar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s on Happiness of School-age Children)

  • 김수희;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60-67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보호자로부터 연구동의서를 받은 학령기 아동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하였고 최종 대상은 180명 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은 학교생활과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친한 친구, 부모의 관심도 정서지능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성적, 또래관계는 성별, 학교생활, 친한 친구 세 명이상일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행복은 부모돌봄행위, 또래관계,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과 또래관계 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7%이었다. 따라서 학령기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행위와 또래관계를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래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hild Center Servi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김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또래애착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서비스 이용 경험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 2기 패널 4차(2017년)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애착(또래 신뢰)은 센터 이용 경험과 학교적응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에게 센터 교사와의 관계나 센터 경험의 도움 여부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넘어서 학교생활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험이라는 점에서 지역아동센터 교사와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Impact of Family Violence Victimization on Peer Violence Behavior in Out-of-School Youths :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nd Aggression)

  • 최은희;황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97-609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또래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의 학교 밖 청소년 169명이다. 자료는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가정폭력피해는 또래폭력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직접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가정폭력피해와 또래폭력가해와의 관계에서 불안과 공격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공격성의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불안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피해가 학교 밖 청소년의 또래폭력가해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정폭력피해를 줄이기 위한 개입 및 또래폭력 예방을 위한 공격성 감소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업중단 후 학교 밖 청소년과 그 가족에 대한 신속한 개입, 가족관계 및 기능 강화, 학교 밖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인식 전환을 제안하였다.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Preschool Children's Peer Popularity)

  • 문병환;홍지명;김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51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라 창의적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78명(남 98명, 여 8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월령은 74.65개월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인기도와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 그리고 하위 요소인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사회적 리더십 및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인기도가 높은 상집단이 중 하집단보다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그리고 사회적 리더십과 하위요소인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또래 인기도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 자발적인 자기관리, 그리고 대인관계 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elf-Esteem Among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Parental Attachment of Peer Attachment)

  • 김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3-35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친밀대상에 대한 애착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for Intimate Relation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 김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45-25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있어 친밀한 관계이면서 주요 애착대상인 부, 모, 또래에 대한 애착 수준과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 모, 또래 애착 질문지와 자기조절학습 질문지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부, 모, 또래 애착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은 모든 주요 애착대상과의 애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으로는 동기조절의 외현적 목표지향 변인이 배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대한 부, 모, 또래 애착의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는 또래 애착과 모 애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적 정서인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높은 동기조절의 시험 불안과 행동조절의 시간과 공부조절 변인은 부 애착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가지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상대방에 대한 비교 우위가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반영하는 애착과는 관련성이 낮으며, 둘째, 아버지와 자녀와의 관계형성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요소의 유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또래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 분석 (Peer Conformity and SNS Peer-Bullying among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 김부경;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서로 알고 지내는 친구사이에서 SNS를 통하여 발생하는 괴롭힘으로 정의하고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동조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가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또래괴롭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온라인 또래괴롭힘의 관계에 있어 도덕적 이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대한 또래동조의 악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을 통한 도덕적 이탈의 감소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의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머니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신념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자녀의 또래관계 관리에 미치는 영향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 Peer Relationships: Relations with Belief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 안선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43-5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ir beliefs about social skills, recollection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ubjects consisted of 258 mothers of 4- to 5-year-old children. The sample of mot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beliefs of social skills, their peer experiences, and the involvement activities of their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liefs about social skills, recollection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Maternal memories of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were the best predictor of mother's management behaviors of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자기조절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 박미숙;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7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 리더십 간의 관계를 밝히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11명이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한 교사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분석 하였다. 분석은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자기조절, 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조절은 유아 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호작용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조절은 유의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리더십 교육에 있어 주목해야 할 요소로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