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Preschool Children's Peer Popularity

  • 문병환 (목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
  • 홍지명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희영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라 창의적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178명(남 98명, 여 8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월령은 74.65개월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인기도와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 그리고 하위 요소인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사회적 리더십 및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인기도가 높은 상집단이 중 하집단보다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문제해결 리더십의 창의적 사고력, 개인적 리더십의 자기관리, 그리고 사회적 리더십과 하위요소인 타인존중, 공동체 배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또래 인기도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 자발적인 자기관리, 그리고 대인관계 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증진을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s of creative leadership according to preschool children's peer popula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8 5-year-old children in institut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 city and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Peer Popularity and creative leadership in the overall score, and sub-elements such as creative thinking, self-management, respect for others and community care ability of young childre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creative leadership and sub-elements(creative thinking, self-management, and social leadership, respect for others and community care ability) depending on peer popularity. It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 great value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 building program to enhance creative leadershi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희(1994). 아동의 사회정서적 적응과 창의성. 서울: 창지사.
  2. 강현수(2010). 유아의 리더십과 인기도 및 다중지능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강현주(2007).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고희진(2003).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놀이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권하나(2009).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발달과 또래 간 인기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성숙(2009).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영선(2012).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과 개인지능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옥.이은화(2000).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9. 김윤하(2006). 유아의 또래 인기도에 따른 자아개념 및 사회적 기술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윤희(2009). 유아의 성별과 인기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놀이행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희(2012). 유아의 기질.인지도.리더십 유형간의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남영신(2005). 유아의 인지도에 따른 사회적 덕목 수행 및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덕승(2009). 유아 리더의 형성과정과 유아 리더십 관련변인 탐색. 한영논총, 13, 428-450.
  14. 보건복지부(2012). 3-5세 누리과정 고시문. 보건복지부.
  15. 신동자(2003).유아의 인기도와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타인의도조망, 타인사고조망,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오승미(2010). 아동의 창의적 리더십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유경훈(2010). 아동의 창의성에 부모성격, 양육태도, 가정의 분위기가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3), 121-133.
  18. 유경희(2009). 서번트 리더십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경화(2009). 인지, 창의적 리더십 개발을 위한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 서울: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 이경화.유경훈(2010). 유아 창의적 리더십 측정도구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2). 135-161.
  21. 이명숙(2006). 또래관계에서의 유아 리더십 양상과정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85-106.
  22. 이승필(2004). 유아의 또래간 인기도에 따른 창의성 수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영주(2002). 유아의 인기도에 따른 놀이성 및 놀이스타일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재진(2008).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 인기도 및 교사와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임경임(2012).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 지지, 의사결정력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임연자(2011). 유아의 또래인기도에 따른 리더십 및 마음이해능력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전경원(2011).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 요강(재표준화). 서울: 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28. 전경원. 김경숙(2012).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유아 창의성 교육. 서울: 정민사.
  29. 조경서(1992). 또래집단의 리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조정하(2000).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Asher, S. R, Singleton, L. C., Tinsley, B. R, & Hymel, S. (1979). A reliable sociometric measure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5(4), 443-444. https://doi.org/10.1037/0012-1649.15.4.443
  32. Busse, T. V., & Mansfield, R. S. (1980). Theores of the creative process: A review and a perspectiv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4, 91-104. https://doi.org/10.1002/j.2162-6057.1980.tb00232.x
  33.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 241-273.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904_1
  34. Fukada, H., Fukada, S., & Hicks, J.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ociometric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8(4), 481-486. https://doi.org/10.1080/00221329709596684
  35.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 NY: Basic Books.
  36. Gardner, H. (2007). 통찰과 포옹 [Leadings minds].(송기동 역). 서울: 북스넛.
  37. Hatch, T. (1997). Friends, diplomats, and leaders in kindergarten: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 play. In F. Salovey & D.J. Sluyter(Eds.). Emotional Intelligence. NY: Basic Books.
  38. Henderson, E. H., Long, B. H., & Ziller, R. C. (1965). Self-social constructs of achieving and non-achieving readers. Teacher, 19, 114-118.
  39. Katz, L. C.,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40. Neck, C. P., & Manz, C, C. (2004).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NJ: Prentice-Hall.
  41. Shallcross, D. J. (1992). Teaching Creative Behavior: How to teach creativity to children of all ag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42. Spivack, G., & Shure, M. B. (1972). Soca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A cognitive approach to solving real-life problem. San Francisco: Jossey-bass.
  43. Torrance, E. P. (1963). Psychology of survival. Unpublished manuscript, Air Force Personnel Research Center, Lackland Air force Base, 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