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시민성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 융합기업에서의 조직정치지각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hinese Convergency Companies)

  • 김종관;부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77-189
    • /
    • 2015
  • 본 연구는 조직 내 타인이나 자신의 조직에 대한 웰빙(wellbeing: 건전성)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목표를 지향하는 개인의 행동인 조직정치행동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개인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정치지각과 결과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서구에서 생성된 조직정치지각이 중국 조직 환경에서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는가를 입증하기 위하여 중국 사천성(四川省)의 중소기업 종업원 353명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정치지각이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 조직시민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정치지각과 이직의도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조직정치지각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시장 HR정책에서 각 조직정치 지각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리더섭 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조직시민 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Styles of Leadership)

  • 이선규;이다정;장은영;최동국;손규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123-13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전통적 리더십인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탈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셀프리더십의 행위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이 셀프리더십의 구성요인중 인지적 전략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조직의 효과성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셀프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거래적리더십을 통한 셀프리더십의 발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일-가정 갈등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 of burnout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13-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가정갈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일-가정갈등의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 주도적 성격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표본은 대전시, 세종자치시, 충남북도 소재 병원 및 콜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3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초래갈등(WIF)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정초래 갈등(FIW)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초래갈등(WIF)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초래갈등(FIW)과 조직시민행동간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에서 일-가정갈등으로 인한 직무소진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를 주도적 성격이 완화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였는데, 이는 일-가정 갈등에서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더 다양한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업의 융복합 환경에서 코칭리더십, 직무특성,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nvironment)

  • 권기창;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247-262
    • /
    • 2016
  • 융복합 환경에서 창의성을 포함한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코칭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의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코칭활동은 직무특성에는 정적,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은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코칭리더십 자체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코칭 활동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될 때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기업의 융복합 문화경영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Corporate Cultural Management Activities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 주현정;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191-206
    • /
    • 2015
  • 융복합 시대에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이 직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기업의 문화경영이 조직 효과성의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여, 기업 문화경영의 가치와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은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기업 문화경영 활동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기업의 문화경영 활동 자체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며, 문화경영 활동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될 때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진성리더십의 효과성 분석: 공공조직과 사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o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 탁진규;노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161-171
    • /
    • 2017
  •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리더의 진정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리더십 발휘에 있어서 리더의 진정성 여부는 조직구성원들의 행동, 태도 및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진성리더십의 효과성은 공공조직과 사조직에 모두 유효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국내 다양한 조직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444부(공공기업 243부, 민간기업 20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WIN 23.0과 STATA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진성리더십은 공공조직과 사조직에 대해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컨대, 진성리더십은 리더가 조직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이러한 관계는 공공조직이나 사조직에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 및 정책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 박주현;김지현;이명규;이지수;;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15-3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와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포함된 UNESCO, IFLA, EU, OECD가 발행한 문서를 검토하였으며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법령과 정책 및 유관 기관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기구는 정규교육과정과 정규교육과정 밖에 있는 시민이 정보에 접근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인식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는 평생교육과 시민교육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였다. 도서관법에는 국민의 알권리와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과 사서에게 시민들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부여되어 있으나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에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사서의 역할은 축소되거나 배제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사서가 시민들의 정보 격차를 줄이며 시민역량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책무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사회적 약자의 접근성 강화와 열린 공공소통을 위한 음성기반서비스 도입의 발전적 방안과 시사점 (The Introducing voice -based public services for strengthening the accessibility of the social vulnerables and open public communication)

  • 송진순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279-306
    • /
    • 2022
  • 공공기관과 정부는 시민에게 음성 기반 서비스 챗봇을 제공함으로써 시민 복지를증진하고 사회적 취약계층과 원활한 공공소통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전제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지능형 정부가 ICT를 기반으로 조직 내외 지식 및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체계화하여 능률적으로 관리하고 시민들, 특히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과 활용을 용이하게 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해 줄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소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음성기반 서비스 제공을 앞둔 공공기관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 인식 및 기대가 긍정적임을 확인하고, 인공지능에 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들 인터뷰를 통해 음성기반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적 측면과 공공기관 음성기반서비스 제공의 의의 및 필요성, 구축시 고려해야 할 제반사항들과 정책적 제언, 시사점을 살펴보고 한계 및 연구발전에 대해 고민해본다. 결과적으로, 챗봇의 음성기반서비스는 더 폭넓은 시민들이 지능형 정부에 참여를 실현하며,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의 인권 및 기본권 보장·강화하는 사회적 배려와 디지털 포용을 실천하는 계기와 발판을 제공함에 큰 의의를 지닌다.

역량교육을 통해 바라본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적 담론: 인권을 중심으로 (Practical discourse of civil democracy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the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lense of competency education: based on human rights)

  • 신민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13-817
    • /
    • 2022
  •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함께 학교 교육과정에서 인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시안)에 나타난 민주시민교육 내용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 제시된 역량교육을 토대로 분석 및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 중 범교과 학습을 통한 인권교육 강조 및 인권 교과 교육과정을 보다 상세화,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생의 인권 의식 함양과 인권보장을 위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속적인 인권교육의 실시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인권 기반 관점과 역량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인권 친화적 학교 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학교 인권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의 마련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환경권 개념 정립과 정보교과 교육 강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Digital Environmental Rights and Reinforcement of Information Subject)

  • 유지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9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권"이라는 새로운 권리 개념 정립을 통해 정보교과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정보교과 내 정보문화소양의 교육구성 모델 개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환경권 개념 도입을 통하여 정보교과를 필수교과목화 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고 정보 교과 내 정보문화소양의 구성을 재체계화함으로써 디지털 시민으로서 학생이 디지털 환경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로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되는 권리 개념의 논리를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권 개념을 정립한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 전환과 관련하여 미국, 호주, 일본 등의 주요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보교과의 교육구성 개선안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환경권은 '쾌적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누릴 권리' 이다. 둘째, 디지털 환경권의 세분화된 구성요소로는 디지털 환경을 위한 권리(사이버윤리), 디지털 환경의 권리(사이버안전), 디지털 환경에 대한 권리(사이버보안)가 있다. 셋째, 주요국에서는 정보 관련 교육 내용으로 디지털시민성, 코드 윤리, 그리고 신기술 보안에 대해 다양한 교육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