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메이크업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4초

화장품 앱에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 오승현;전창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53-1662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앱이 제공하는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20대 및 30대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중 'Bella', 'Hilary', 'Cara' 등 3개를 가장 선호하며, 이에 상응하는 메이크업 룩은 각각 '섹시', '클래식', '내추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와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이들은 메이크업 템플릿과 유사한 메이크업 룩을 선호하고, 전반적으로 고명도의 연한 피부색과 중명도의 밝은 입술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대생들의 메이크업 인식 유형에 따른 관심도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s in make-up according to recognition types of them)

  • 홍수경;김민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525-533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들 간의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 파악하고자 메이크업에 대한 의식 조사를 통하여, 인식유형별로 메이크업에 따른 심리와 선호하는 메이크업 패턴을 조사였다. 메이크업이 개인에게 정서적으로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며, 타인에 대한 사회적 예의의 한 범주라고 생각하였다. 메이크업 인식 차이에 따른 대상의 그룹핑은 이미지 관조군 수용군 관망군 대응군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인식 차이에 따른 4가지 유형의 메이크업 관심도는 세부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메이크업 행위가 대인관계 형성 시 높은 필요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메이크업 패턴은 피부 톤을 중요시하는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이처럼 현재 뷰티 트렌드의 시장의 주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는 20대 여대생의 메이크업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트렌드 메이크업 행위에 대한 관심도와 인지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뷰티 트렌드 개발과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면 다양하고 효과적인 미용문화를 창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남성 메이크업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le's Make-up)

  • 김혜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35-640
    • /
    • 2012
  • 오늘날 특히 여성의 높은 사회진출로 양성평등화 사회에 돌입한 이래 남성의 메이크업 행위가 갖는 의미는 점차 변화되었다. 사회에서 성(gender)의 역할이 분명히 구분되지 않고, 여성과 남성이기 보다는 '인간'으로서 삶의 가치를 추구하고, 그 과정에서 권리와 책임이 양분되지 않고 양성평등화 사회 속에서 메이크업의 의미 역시 여성의 미적 본능만을 위한 것이 아닌 남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본능을 부각시켰다. 급변하는 남성들의 메이크업의 트랜드를 파악하고 좀더 구체적인 미래지향적 남성 뷰티 이미지 형성의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본다.

다중 감각 인터랙션을 이용한 감성적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An Affective 3D Facial Makeup Simulation Using a Multi-sensory Interaction)

  • 김정식;김현중;최수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500-506
    • /
    • 2007
  • 얼굴에 대한 시각적 인지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수 세기 동안 이루어져 왔던 미용 화장과 성형, 치아 교정 등의 다양한 연구는 사람의 얼굴을 감성적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먼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혼합한 다중 감각 인터랙션 기반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본 연구는 3차원 스캐너 장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3차원 얼굴 필터링 방법과 얼굴 메이크업을 지원하는 페인팅 방법을 개발한다. 우선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3차원 스캐너로 획득한 후, 전처리 얼굴 필터링을 수행하여 조명, 그리고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에 기인하는 에러 및 속성들을 보정하고 피부 톤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으로 변경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햅틱 및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페인팅 표면 모델에 메이크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그래픽 렌더링은 일반적인 메쉬 기반 페인팅의 문제점인 텍스쳐 왜곡 현상을 완화하고, 3차원 스캐너 장치에 기인하는 표면 에러를 보정한다. 그리고 전처리 얼굴 필터링과 메이크업 페인팅 방법은 사용자 중심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을 재구성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러한 기술들이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 기반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되어, 차후 메이크업이나 코디네이션 분야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가상 뷰티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Virtual Beauty Makeup Applications)

  • 우지혜;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459-464
    • /
    • 2020
  • 본 연구는 발색이나 제형에 대한 테스트가 중요한 뷰티 산업에서 가상 메이크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AR과 AI를 활용한 뷰티 스마트 스토어와 뷰티 애플리케이션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가상 메이크업은 실제 제품을 테스트하는 것과 차이가 있어서 사용자 측면의 연구를 통한 니즈 도출이 필요하다. AR 활용한 사례와 AI 활용한 사례를 분류하여 사용자 선호도 비교를 위해 감성 인터페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6가지 요인의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를 보이는 항목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가상 메이크업 기능을 편하게 느꼈으나 신뢰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두 유형의 비교를 통해 가상 메이크업의 주요 경험 요인과 니즈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미를 둔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 메이크업의 선행 연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3차원 얼굴 메이크업을 위한 사실적인 피부 렌더링 (Realistic Skin Rendering for 3D Facial Makeup)

  • 이상훈;김현중;최수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20-528
    • /
    • 2013
  •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은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가상의 디지털 얼굴에 다양한 화장법을 시험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 최근에 다양한 메이크업 스타일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들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2차원 얼굴 영상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데 제약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의 거칠기와 반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사실적인 3차원 메이크업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 방법은 3차원 스캐너로 획득한 고해상도의 얼굴 데이터 상에서 피부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면서 메이크업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 기반 형상표현을 사용하여 3차원 렌더링 과정을 간단하고 유연하게 표현하였으며, 얼굴 부위에 따라 반사도를 달리 적용하여 보다 사실적인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메이크업 트렌드 연구 (A Study on the Makeup Trend of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

  • 방기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36
    • /
    • 2011
  • 본 총설에서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나타나는 메이크업 트렌드에 관한 이론 고찰을 통해 관련성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련업계 및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사회 문화적인 특징으로는 상호작용성, 기술지향성, 감성지향성, 시공간의 혼재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메이크업에서 전개되고 있는 트렌드의 유형은 상호작용성, 가상성, 유희성, 이동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채택하는 양상은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절충적인 혼합을 통해 과거에 있어왔던 스타일이나 장르와의 혼합과 병치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으로 인한 트렌드가 메이크업 트렌드와의 완전한 일치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인간의 외형미를 표현하는 전체 틀 속에서 동질성과 유사성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유기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생성되면서 사회가 특정한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선 다양한 장르의 혼합 및 붕괴의 복합적인 디지털 사회의 현상으로 형성되어 하이브리드 경향이 메이크업 트렌드에서 보여지고 있다.

미디어에 나타난 남성의 이미지와 메이크업의 사회문화적 가치 분석 (The Sociocultural Value Research of Man Image and Make-up in Media)

  • 김혜균;박명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449-4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변화로 주목받고 있는 남성의 선호 이미지와 가치를 규명하고 미디어에 등장하는 인물을 통해 남성 메이크업이 현대 사회문화적 가치를 어떻게 충족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문헌 자료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남성의 선호 이미지와 사회문화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미디어에 등장한 인물을 통해 남성 메이크업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실용적 가치는 목적 지향적인 행동을 위한 합리적 사용의 기술적, 도구적 가치이다. 실용적 가치를 강조한 메이크업은 밝고 내추럴한 피부 표현, 최대한 자제된 색조의 연출, 진한 아이브로우 색상의 사용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미적 가치는 순수한 미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표현적, 장식적 가치이다. 셋째, 상징적 가치는 역사와 사회에서 체험되는 의지적, 의도적 가치이다. 이는 남성들의 구매행동 동기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는 선호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미지 관리 형태에 대한 분석과 향후 남성들의 뷰티 트렌드를 유추하는데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언택트(untact) 시대의 유튜브 활용 교육에 관한 연구 -메이크업 국가자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outube-Using Education In the Untact Period -A Focus On The National Makeup Certification)

  • 신유진;김금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81-86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언택트(untact) 시대에 유튜브 교육 증가로 활성화되고 있는 메이크업 국가자격 교육 유튜브에 관해 연구하기 위하여 메이크업 국가자격 교육 유튜브에 관한 인식, 특성, 선택 기준, 지속 및 추천 의사, 및 보완점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인식은 매우 긍정적(75.5%)이었으며 특성은 정보성(M=3.54), 장점은 재생속도 조절(M=4.07), 단점은 피드백의 한계(M=3.64), 선택 기준은 전문성(44.5%), 향후 지속 의사 82.0%, 추천 의사 8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완점은 위생교육 추가((M=4.20), 최신 규정 업데이트(M=4.13), 피드백(M=4.07)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러한 요구 사항과 피드백이 가능한 쌍방향 교육 시스템이 보완된다면 메이크업 발전을 위한 유용한 교육자료로 더욱더 활성화되리라 사료된다.

디지털 드로잉 기법과 특수 분장을 활용한 3D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프로세스 (3D Art Make Up Design Process utilizing Digital Drawing Technique and Special Make Up)

  • 신원선;신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2호
    • /
    • pp.131-14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3D art make-up design process by reproducing real objects through preliminary digital drawing with Photoshop (Photo Shop CS4.0, Adobe, USA) and using special make-up that has never been done previously, and produce creative problem solving plan to make concrete expanding thoughts and ideas. As for this study method, this study was composed of preliminary study, literature study by book examination and positive study on design process that performed preparatory work and reproduced real objects. Real case study by art make-up design process can improve effective design expressing ability by utilizing special make-up, diversify techniques, extend expression areas by materials, and create unique design. In addition, preliminary work by digital drawing, a process to predict real object work in advance, could reduce time and cost while improving work skill for work production, raise design accuracy and make easy the modification of idea.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activate digital make-up by various digital techniques including Photo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