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D Art Make Up Design Process utilizing Digital Drawing Technique and Special Make Up

디지털 드로잉 기법과 특수 분장을 활용한 3D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프로세스

  • Shin, Won-Sun (Dept. of Skin & Beauty Make-Up, Kongju Communication Arts University) ;
  • Shin, Sae-Young (Dept. of Beauty & Arts, Seokyeong University)
  • 신원선 (공주영상대학 뷰티피부미용학과) ;
  • 신세영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Received : 2011.01.10
  • Accepted : 2011.04.1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3D art make-up design process by reproducing real objects through preliminary digital drawing with Photoshop (Photo Shop CS4.0, Adobe, USA) and using special make-up that has never been done previously, and produce creative problem solving plan to make concrete expanding thoughts and ideas. As for this study method, this study was composed of preliminary study, literature study by book examination and positive study on design process that performed preparatory work and reproduced real objects. Real case study by art make-up design process can improve effective design expressing ability by utilizing special make-up, diversify techniques, extend expression areas by materials, and create unique design. In addition, preliminary work by digital drawing, a process to predict real object work in advance, could reduce time and cost while improving work skill for work production, raise design accuracy and make easy the modification of idea.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activate digital make-up by various digital techniques including Photoshop.

Keywords

References

  1. 문정은(2010), "컴퓨터 그래픽스를 활용한 디지털 분장기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최영숙(2007), "아트메이크업에 있어서 컴퓨터 그래픽의 활용 방안: 초현실적 표현방법을 중심 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세희(2009), "포토샵을 활용한 메이크업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 최성민(2003), "컴퓨터그래픽 작업을 응용한 바디페인팅 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오인영, 신원선, 안성준(2010), Art make up design, 훈민사, p.10.
  6. 김애지(2003), "시각 디자인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
  7. 이재민(2008), "어린이 창의력 개발을 위한 디자인 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5.
  8. 민경우(1995),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p.189.
  9. 신원선, 오인영(2010),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발상을 위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1), pp.145-162.
  10. 김학성(1989), 디자인과의 만남, 조형사, p.19.
  11. 민경우(1995),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p.83.
  12. 민병인(2009),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중학 교 디자인 수업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p.6.
  13. 미디어포스(2004), "디자인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통한 창의성 교육 콘텐츠 개발", 서울 산업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p.4.
  14. 민혜경(2009),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개발 교육에 관한 연구: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worksheet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p.51.
  15. 김수석(2003), 디자인개론, 지구 문화사, pp.262-265.
  16. 이선영(2007), "스포츠용 스마트 의류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7.
  17. 은명진, 이주현(2006), "대량 맞춤형 의류상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2), pp.187-197.
  18. 미디어포스(2004), "디자인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통한 창의성 교육 콘텐츠 개발", 서울 산업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p.43.
  19. 宋健民(2009), Colorful Eyes 睛形, 北京: 中國文聯出版社, pp.25-132.
  20. 권영자, 이선화, 선정희(2005), 스타일리스트를 위한 뷰티코디네이션, 도서출판 국제, p.53.
  21. 毛戈平形象设计艺术学校(2008. 9. 第5期), MGP style 造型妝苑, p.25.
  22. 이경희, 이은경(2008), 패션 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p.22.
  23. 김세희(2009), "포토샵을 활용한 메이크업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석사 학위논문., p.1
  24. 권현아(2006), "뷰티 메이크업을 위한 컴퓨터 그래픽스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 의류 산업학회지, 8(2), pp.214-224.
  25. 송승미(2008), "고등교육기관 메이크업관련학과 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9.
  26. Jake Hamilton(1998), Special effects in films an television, New York: DK Publishing, p.5.
  27. 김영우(2009), "콜래버러티브 체계에 의한 특수 효과 메이크업 고찰: 헐리우드 특수효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28. 여혜연, 김정희(2009), "라이프 마스크 재료에 따른 표현방법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4), pp.1322-1330.
  29. Jody Duncan foreword by James Cameron (2006), The winston effect, The art and history of stan winston studio, London: Titan books, pp. 40-215.
  30. 김영우(2009), "콜래버러티브 체계에 의한 특수 효과 메이크업 고찰: 헐리우드 특수효과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0-11.
  31. 송승미(2008), "고등교육기관 메이크업관련학과 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5.
  32. Rickitt Richard(2000), Special effects the history and technique, New York: Warson- Guptill Publications, p.122.
  33. 자료검색일 2010. 12. 12 자료출처 http//blog. naver.com/noteelus?Redirect=Log&logNo= 50000314046.
  34. Ernst Haeckel(2004), Haeckel's art forms from nature, London: Dover Publicayions, p.35.
  35. Lisa Fitzpatrick(2009), The art of avatar, New York: Abrams, pp.4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