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의 만족도

검색결과 4,350건 처리시간 0.039초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교육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70-1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학습동기와 창업의지, 교육 만족도, 자기 유능감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와 인천시가 주관하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교육만족도와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창업의지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자의 교육 만족도는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유능감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 참여 동기와 창업의지가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의미하는 자기 유능감과 만족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성과 또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정규교육기관의 창업교육과는 달리, 짧은 기간 내에 효과적인 창업교육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들의 학습동기 및 창업의지 등 개인적 특성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하여야 하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스스로 다양한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자기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안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38-450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 Educ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Welfare Center on Elderly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 곽미정;노상은;곽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86-495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09월 02일부터 09월 24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의 노인복지관에 등록하여 활동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정보인지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강사, 교육환경의 요인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인의 정보경험 영역의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강사, 교육환경의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개인요인 만족도 향상에 있어서는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교육내용, 교육강사의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노인의 정보활용만족 및 생활만족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정보화 교육만족도의 함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노인복지관 등의 기관을 통하여 실시하고 있는 노인의 정보화 교육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의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간호학생의 대상자 교육후 교육경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정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Educ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모성간호학 실습시 대상자에게 제공한 교육경험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은 대상자 교육시 문제점으로는 대상자와의 접근, 교육시간 확보의 어려움 및 자신감 부족 등 이었다. 교육실시후 교육경험만족도는 3.84점, 임상실습만족도 4.00점, 자아효능감 2.68점으로 나왔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 교육경험의 만족도는 교육방법과 실습시기, 이론교육의 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만족도는 실습자의 태도, 실습만족도, 실습장소에 따라, 자아효능감은 성적, 이론교육의 만족도, 교육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모성간호학 실습의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병원관계자와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하고, 간호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방법과 실습지도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For Cabin Attendants on Self Efficacy and Service Attitude)

  • 이순우;김지윤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67
    • /
    • 2016
  •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서비스태도(서비스 몰입, 서비스 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바람직한 객실승무원 교육훈련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행근무 중인 국내 K항공사 객실승무원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208부를 대상으로 기초 통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 내용(용모 및 태도 관련 내용, 서비스자세 관련 내용, 대처요령 관련 내용)은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객실승무원 훈련담당강사는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객실승무원 교육시스템은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서비스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new Police officers)

  • 심명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52호
    • /
    • pp.95-12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앙경찰학교를 졸업한 신임경찰 288기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교육행정, 교육과정, 교수능력, 교육시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교수능력이 직무만족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교수능력이 조직몰입의 모든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은 조직몰입 중 지속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무과목 교육이 좀 더 사례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과 실습교육이 실질적으로 현장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 PDF

대학의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곽동신;정화영;양영석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8-11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창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5개 요소 21개의 문항을 설정하고,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고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수강생의 교육만족을 정의하고, 창업역량의 요소 중 성취역량, 창의성역량,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은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유형성과 신뢰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4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창업역량 요인을 4개로 정의하여 설문을 분석한 결과 성취역량과 창의성역량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과 함께 3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만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업의지는 창업역량에 영향을 받았지만, 교육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만족이 창업역량을 통하여 창업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대상을 여러 지역 혹은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른 변수와의 접근 방법을 가지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요리직업전문학교의 재취업 교육 환경이 취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Reemployment of Cooking Schools on Job Satisfaction)

  • 서현주;조한용;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80-291
    • /
    • 2010
  • 본 연구는 요리직업전문학교 재취업 교육을 받은 수강생들이 취업 후 요리직업전문학교의 교육 만족도가 취업 만족도에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리직업전문학교를 수료한 후 취업한 243명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 1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 및 신뢰도분석, t-test, ANOVA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환경 만족도는 교육 시간 만족, 교육 시설 만족, 교육 내용 만족으로 3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취업만족도는 급여 만족도와 업무 수행 만족도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차이검정에서 남녀와 자격증 유무에서 교육 시간과 교육 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교육 시설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에서는 교육 만족도에서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고, 교육 만족도와 취업 만족도간의 회귀분석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와서 가설이 채택되었다.

  • PDF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actor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성차경;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05-310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훈련의 내용, 방법, 물리적 환경과 교수자 등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특성이 교육훈련의 학습만족과 직무만족,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교육훈련의 내용과 방법, 교수자 요인은 교육훈련의 학습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물리적 환경은 교육훈련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활동보조인 교육의 IPA 분석 : 평택 H대학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personal assistants education for the disabled : Focused on management in Pyeongtaek, H university)

  • 정소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71-92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활동보조인 교육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중점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만족도 측정 문항의 요인구조, 상관성을 검증하고 IPA 메트릭스를 통해 각 요인들이 중점 개선, 개선 요망, 노력 지속, 현상 유지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의 활동보조인 교육에 참여하는 231명이 대상이었다. 연구결과, 활동보조인 교육은 '교육 운영'과 '교육과정'의 2개의 요인으로 탐색되었고, 대부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에서는 '교육기간'이, 교육과정에서는 '실기수업'과 '이론수업' 요인이 중점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은 활동보조인 교육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론수업은 활동보조인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기남부권 활동보조인 교육운영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중요도-만족도를 조사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활동보조인의 업무수행능력 제고를 위한 활동보조인 교육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