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목표 분류체계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 Analysi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Contents and Textbooks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교과내용 및 교과서 분석)

  • Lee, Gwang-Ho;Choi, Jong-Bum;Park, Moon-Kook;Cho, K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18 no.6
    • /
    • pp.453-463
    • /
    • 1997
  • The contents of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s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even common science textbooks were selected and its contents, structure, inquiry, activities, appendix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using the Goal Clusters of Project Synthesis and Romey's indices of text evaluation were calculated. The contents of each unit are not much different among textbooks because they are writte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rdinance and textbook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textbooks was consist of $471{\sim}519$ pages. It was distribute similarly among the chapter of 'materials', 'forces', lives' and 'earth'. The chapter of 'energy' and 'environment' was treat significantly.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common science is a mere physical consolidation. I make an alternative plan that a topic form. Inquiry activities used in the textbooks are 11 type, however most of that is interpretation of data, experiment, survey and discussion. Ninety six percents of the experiment, belong to the 1st level, four percents of that belong to the 2nd level of the Schwab's inquiry level and there are no activities of the 3rd level. Little attention is given to Goal Cluster I, II, IV in the common science textbooks currently employed. Its content should be broadened to include all Goal Clusters of Project Synthesis. Homey's indices representing the degrees of student involvement. are $0.57{\sim}1.14$ for sentence analysis, $0.60{\sim}1.67$ for figure and diagram analysis, $0.67{\sim}1.50$ for analysis of questions at chapter ends, respectively, student activity per page investigated being $0.6{\sim}0.9$. But chapter summaries cease to repeats the conclusions of the chapter also it be rather formally and inattentively written.

  • PDF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Earth Science Themes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 Cha, Hyun-Jung;Kim, Chan-Jong;Maeng,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1
    • /
    • pp.84-98
    • /
    • 2011
  •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the themes of earth science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Data for analysis included $7^{th}$ grade and $9^{th}$ grade students' writings about 'global warming' and 'classification of r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many students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in genre, especially exposition genre. Second, in terms of ideational meaning, the material verbs representing action or doing were more dominant than relational verbs that are related to the attribute or definition of things, and additional logical relations were predominant. Third, regarding interpersonal meaning, agents, emotions, subjective opinions appeared in the writings and students did not express their ideas conclusively and revealed feelings of doubt and uncertainty about their knowledge. Fourth, as for textual meaning, most students listed fragments of information using additional conjunctions in simple structures and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texts with organizing structures, logical patterns, cohesion, and coherence. From these results, we argued that the scientific writings should be emphasized in science learning that aims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writing as well as setting up a specific plan in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ary School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 Lee, Wang-Suk;Kim, Hee-Kyong;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1
    • /
    • pp.1-14
    • /
    • 2008
  • The image of science is one of the recurrent topic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we believe that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could be used for identifying not only students' perceived goals of science learning, but also practical guidelines of effective science teaching. In this study, the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were investigated with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i) what are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ii) in what contexts do students perceive that someone is doing science well? Thirty seven students in a high school in Seoul, Korea were asked to write their personal experiences by which they realized that someone was doing science wel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images of Doing-Science-Well could be categorized into 'Einstein type', 'Socrates type', 'MacGyver type' and six more types. Secondly, with regard to contexts, students tended to realize that somebody is doing science well in terms of two kinds of contexts: 4 physical contexts and 6 psychological contexts. The findings led us to develop a frame of judging Doing-Science-Well, which combines the types and two kinds of contexts. The frame illustrates the multiplicity of the images of Doing-Science-Well.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Graduate Courses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출연(연) 단설대학원 운영모델 연구)

  • 김갑수;김정흠;김전식;이규호;이병민;조봉제;현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9-9
    • /
    • 1998
  • 지난 수년동안 정부출연(연)의 연구개발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정부와 과학기술계에서 논의되어 왔던 출연(연)의 석박사 교육과정 설립에 관하여 출연(연)관련자들의 의견을 모아 구체적인 설립모델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부출연(연)에 석박사 교육과정 설치가 필요한 이유와 기대효과를 제시하고, 다음으로 단설대학원의 설립모델로는 크게 3가지 유형이 고려되었다. 가장 중요한 설립목적 및 기대효과로는 출연(연)의 목표지향적(mission-oriented) 연구에 파급지향적(diffusion-oriented) 메카니즘을 도입함으로써 출연(연)의 연구성과가 경제사회로 효과적으로 이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설대학원의 설립모델로서 첫째 유형은 각 출연(연)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개별대학원 모델이다. 이는 출연(연)의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을 현장에서 융합시켜 운영하는 것으로 설립이 비교적 용이하며 개별 출연(연)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다. 출자형식으로 별도의 학교법인을 설립하는 방식과 내부규정으로 부설대학원을 설치운영하는 두 가지 방식 있을 수 있다. 둘째 유형은 출연(연) 연합대학원 모델이다. 출연(연)들이 연합으로 하나의 학교 법인을 설립하고 여기에 각 출연(연)들이 공동운영자로서 참여하는 방식이다 이때 연합대학원은 일종의 Virtual University 형태를 취하며 모든 교육은 참여 출연(연)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세 번째는 대학과 출연(연)이 연계대학원을 운영하는 모델이다. 대학의 대학원을 개방하여 출연(연) 측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이는 별도의 학교법인 설립이 필요없다. 본 연구에서는 KAIST와의 연계대학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각의 모델에 대한 의미와 장점, 단점을 비교분석하고, 각 모델로 설립시의 법적 고려사항, 그리고 학사운영체제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고려하였다. 추가적으로 단설대학원의 설립에 관한 그간의 반대 및 우려사항에 대한 검토도 첨부하였다.한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우선 지원분야에 대한 연구비 배분은 5-10%사이이다. (ⅴ) 성과관리를 통한 지원효과의 극대화 : 기초과학의 지원에 있어서 그 성과를 특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비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성과관리를 하여야 한다. (ⅵ)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의 구축 : 혁신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연구부문과 산업부문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새로운 분야를 담아낼 수 있는 유연한 분야분류체계를 정립하여야 하고, 둘째 연구결과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연구지원기관간 연계시스템의 구축을 구축하여야 한다.s of rats with alveolar organism. (omitted)없었다 (P>0.05). 6. 분만 2 개월 전에 Se과 Vit. E를 투여한 한우 종빈우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의 혈중 Vit. E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P>0.05).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case of R-20458, the increasing rates were varied at the

  • PDF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 Byeon, Jae-Sang;Shin, Sang-Hyun;Ahn, Seong-R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2
    • /
    • pp.23-39
    • /
    • 2017
  • This study began from the question, "is there a way to efficiently apply industrial deman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Research focused on how to actively accept and respond to the era of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order to apply NCS to individual departments of the university, industrial personnel must positively participate to form a practical-level curriculum by the NCS, which can be linked to the work and qualifications. A valid procedure for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the NC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must select a specific classification of NCS considering the relevant industry outlook, the speciality of professors in the university, the relationship with regional industries and the prospects for future employment, and the need for industrial manpower. Second, departments must establish a type of human resource that compromises goals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issions of the chosen NCS. In this process, a unique competency unit of the university that can support the basic or applied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task model. Third, the task model based on the NCS should be comple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each competency unit considering the acceptance or rejection in the curriculum. Fourth, subjects in response to each competency units within the task model should be developed while considering time and credits according to university regulations. After this, a clear subject description of how to operate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created. Fifth, a roadmap for determining the period of operating subjects for each semester or year should be built. This roadmap will become a basis for the competency achievement frame to decide upon the adoption of a Process Evaluation Qualification System. In order for the NCS to be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in the university, a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the NCS should be preceded by professors, students and staff members. Unlike a traditional curriculum by professors, the student-oriented NCS curriculum is needed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many sacrifices and commitment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Epilepsy: Systematic Review (간질아동에게 제공된 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 Systematic Review)

  • Yoo, Hana;Yun, O 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219-22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rend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related to children with epilepsy. 454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databases (Ovid-MEDLINE, EMBASE, PubMed, CINAHL, The Cochrane library, KMbase, and Koreamed), and 7 articles met our criterias. Interven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education; counsel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physical activity. The target outcomes of the interventions were quite diverse. Each intervention showed some benefits for epilepsy-related health outcomes, but each study had methodological weaknesses, including incomplete information, poorly defined or validated outcome measures, small sample sizes, and design limitations.

Disability Sports Instructor's Experience Analysis on Program Oper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 (장애인체육지도자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 분석)

  • Park, Jiyoung;Kang, Dongheon;Eun, Seon-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285-29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primary data for providing smooth and systematic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by confirming the opinions of instructors experienced in the field of disability sport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Article 15 'Rehabilitation sports' of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The in-depth interview is unstructured, allowing disability sports instructor to freely present their opinions on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operating the program, necessary matters for rehabilitation sports implementation. We transcribed the recording data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coded the opinions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e final 104 opinions were used and classified into 9 categories; rehabilitation sports goal, training rehabilitation sports instructor, evaluation items and educational guidelines, relationships with program participants, facilities utilization, effects, the timing of provision, and doctor role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Beauty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nd trend analysis of department names (영호남 소재 대학 미용학과의 소속 계열 및 학과명에 대한 동향 분석)

  • Park, Jang-S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4
    • /
    • pp.311-316
    • /
    • 2021
  • The college's beauty department, which has a globalized education system that breaks away from the uniform beauty concept, can dominate in the fierce competition with other schools, and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the department is guaranteed. In addition, research on the department name is very necessary to establish internal and external PR strategies for affiliated departments and departments and to analyze the direction of realistic beauty education.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department and department name by classifying the universities in Yeonghonam into four regions, the departments belonging to each region of the beauty department showed the most belonging to the natural science and arts and sports departments. In addition, the names of beauty departments by region are Busan and Gyeongnam, Daegu and Gyeongbuk, Gwangju and Jeonnam, and Jeonbuk with 5 beauty departments (29.41%), 3 beauty design schools (13.04%), and 8 beauty and beauty departments. (50.00%), beauty design departments, 2 schools (33.33%).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cultivate professional beauticians who cultivate an artistic and creative sense that meets the educational goals of beauty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rovided as a very necessary basic data for the division of departments or change of department name according to detailed majors.

Analysis of a Degree of Difficulty in Kim Kukjin's "25 Pieces of Korean Melody for Piano" and Suggestion of Effective Pedagogic Guidelines (김국진 <한국선율에 의한 피아노소품집>에 수록된 25개 악곡의 난이도 분석과 효과적인 지도방안 제시)

  • Kim,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600-610
    • /
    • 2022
  • While Korean piano pedagogy has seen a remarkable growth, the relatively weak attention to intermediate level has emerged as a pending problem. The limited literature review, specifically the lack of playing Korean original works, has been considered as a serious issue.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Kim Kukjin's "Pieces of Korean Melody for Piano" as an intermediate work,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teaching guidelines by classifying of difficulty in his 25 pieces and providing step by step learning goals and teaching plan. The difficulty stage was based on Jane Magret's 10-step classification table for comparison with other intermediate piano literature, and this study more specifically classified Kim's pieces according to Korean melody, rhythm, and texture.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pieces from stages 4 to 10 was organized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learn step by step from the most basic progression to Korean 'Jangdan' rhythm patterns, various articulations and decorations that express 'Sigimsa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heterophony textur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order of pieces for the effective teach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y of the piec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indings lead to the expansion of Korean intermediate literature study and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original works teach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