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행동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교수의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 역량 분석 (Facultie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 이순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69-47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교수행동의 특성과 원리에 대한 교수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은 8개 하위요인에 속하는 40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이를 2개 대학 86명의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결과, '중요 내용의 강조기법 적용'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효과적인 교수행동 전략들은 중요도(M=4.48, SD=.39)에 비해 실행도(M=4.07, SD=.40)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다. 또한 IPA 분석 결과, 전체 40개 항목 중 19개 항목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아 지속 유지해야 할 항목으로, 5개 항목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개선노력 집중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개선노력 집중 항목이면서 Borich 요구도 지수가 높아 교수들이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항목은 1) 수업목표에 적합한 수업방법과 전략 수립, 2) 명확한 목표, 적절한 예, 체계적인 수업 진행, 3) 학생에게 질문 기회 부여와 적절한 피드백 제공이 도출되었다. 교수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역량의 진단을 통해 교수개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Behavior Style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 on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 조진호;최영선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9-143
    • /
    • 2018
  • 본 연구는 수산 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이 학생들의 전공교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연구문제인 상관분석 결과 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의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는 모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의 수업 중 목표 달성과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 개별 성향을 파악한 후 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수기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명확한 진행을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회귀분석 결과 수산 해운계고 교사의 교수행동유형은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일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은 내용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방법만족에 대해서는 상호작용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 개별화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만족에 대해서는 명확성 교수행동유형, 다양성 교수행동유형이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 해운계열 고교 교사는 내용적 수업만족은 학생별 교과 내용의 이해차이를 고려한 교수방법의 적용하고, 방법적 수업만족의 경우 상호작용, 개별화, 다양성 교수유형을 고려하며, 명확한 정보 전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수유형을 적용한다면 학생의 평가적 수업만족을 높인다고 밝혔다.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on Teachers'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 권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5-200
    • /
    • 2013
  • 이 연구는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교사의 문제행동지도를 놀이지도와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놀이성과 문제행동지도전략, 놀이신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놀이성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신념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은 놀이성과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놀이성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Video Lectures)

  • 태효하;제혜금;김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07-11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형태대학교 18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한 후 교수가 출연과 마출연 동영상에 배정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이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가 출연하는 강의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고, 학습자 행동유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의동영상은 교수자가 출연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동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교수자 출연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군 교육에서 교수행동특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Nature of Teacher Behavior on Learning Flow in Military Education)

  • 손정목;원유동;강성태;조우성;엄명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78-4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군(軍)교육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자의 어떠한 행동특성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학습몰입의 세 가지 요인(몰입경험, 시간왜곡, 주의집중)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교수행동 특성은 리더십 요인이었다. 또한 교수행동특성 중 수업 진행 속도는 시간왜곡과 주의집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유머러스한 교수행동특성은 주의집중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군(軍)교육기관이 교수자의 선발과 훈련에 있어 어떻게 교수자의 리더십, 유머감각, 수업진행 속도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제적 함의를 제공한다.

초.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 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7-9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성 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57명, 중학교 교사 55명, 고등학교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학교급에 따른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성별, 지역별, 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 점수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보다 높았다. 또한 창의성을 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교 교사에 비해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Creative Instructional Behavior, Role-Performance,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육명신;박명신;박용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50-2464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학교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가정과 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행동 분석 (An Analysis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Report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for Improving Home Economics Education)

  • 류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5-25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who are working at Korean secondary school for changing their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and developing home economics curriculum. A mail questionnaire,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PTP) was used to survey randomly selected 525 Home Economics teachers. The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examined were customary-instrumental, interactive and reflective practices. Customary-instrumental practice was the predominant type of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 us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26% of the teachers used reflective practice, and 14.67% used interactive practice. Only the number of stud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 teaching practices. Five influential factors on teaching practices identifi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emerged in the following order: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al system, lack of class hours, lack of resource materials and facilities, demand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administrators, or parents, and large class sizes.

  • PDF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 강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20-528
    • /
    • 2015
  • 본 연구는 교수과정에서 교사의 어떤 교수행동이 중요하며 또 그 행동에 대한 자신들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89명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모의수업을 진행하고 동료들의 모의수업을 서로 관찰하게 한 후, 교수행동특성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진행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자신들의 실행수준도 수업진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수업구성, 언어적 표현의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몸동작 및 복장과 얼굴표정 및 시선 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개별 특성에서는 교수내용의 숙지, 교사의 열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미소, 얼굴표정, 목소리의 변화 구사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5개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특성으로는 자연스러운 언어표현, 시선 처리, 학생들과의 눈맞춤, 수업시간 조절, 주요내용의 부각이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