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 Received : 2014.10.24
  • Accepted : 2015.01.21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89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eaching demonstrations of each other and rated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eaching behaviors and their own performance level. It was found that Class Operations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both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followed by Lesson Organizations and Verbal Expressions. However, they considered Gesture and Clothing as well as Facial Expressions and Gaze less important. The results of t-tes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for all five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dicated that Verbal Expressions, Eye Contacts, Time Control, and Emphasis on Important Contents are the factors which need to be improved for effective teaching.

본 연구는 교수과정에서 교사의 어떤 교수행동이 중요하며 또 그 행동에 대한 자신들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89명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모의수업을 진행하고 동료들의 모의수업을 서로 관찰하게 한 후, 교수행동특성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진행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자신들의 실행수준도 수업진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수업구성, 언어적 표현의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몸동작 및 복장과 얼굴표정 및 시선 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개별 특성에서는 교수내용의 숙지, 교사의 열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미소, 얼굴표정, 목소리의 변화 구사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5개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특성으로는 자연스러운 언어표현, 시선 처리, 학생들과의 눈맞춤, 수업시간 조절, 주요내용의 부각이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춘, 변효종,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373-382, 2005.
  2.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한국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pp.107-132, 2009.
  3. J. A. Centra, Reflective Faculty Evaluation, Jossey-Bass, 1993.
  4. 원효원, "수행중심의 교사평가 영역 및 요소의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11권, 제1호, pp.103-126, 1998.
  5.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구성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47-69, 2007.
  6. 강숙희,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209-228, 2012.
  7. 조영하, 박소연,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행동 측정척도 탐색",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6권, 제1호, pp.105-127, 2013.
  8. J. Stronge, Qualities of Effective Teacher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9. 손정목, 원유동, 강성태, 조우성, 엄명용, "군 교육에서 교수행동특성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78-48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478
  10.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3호, pp.261-282, 2011.
  11. D. J. Lincoln, "Drama in the classroom: How and why marketing educator can use nonverbal communication and enthusiasm to build student rapport," Marketing Education Review, Vol.18, No.3, pp.53-65, 2008. https://doi.org/10.1080/10528008.2008.11489048
  12. J. K. Burgoon, T. Birk, and M. Pfau, "Nonverbal behaviors, persuasion and credibilit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7, pp.140-169, 1990.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0.tb00229.x
  13. 정혜선, 강사, 퍼실리테이터로 거듭나라!, 시그마프레스, 2005.
  14.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2, No.1, pp.77-79, 1977.
  15. 권성연,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1호, pp.185-215, 2010.
  16. 이수연, 홍성연,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968-97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968
  17. 이혜정,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500-5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