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on Teachers'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playfulness,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er's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Subjects were 15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Chungcheu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obel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oactive, positive reactive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s. On the other hand,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negative reactive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s. Second,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Finally, the effects of teachers' playfulness on their proactive, positive reactive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were totally mediated by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이 연구는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교사의 문제행동지도를 놀이지도와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놀이성과 문제행동지도전략, 놀이신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놀이성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신념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은 놀이성과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놀이성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경(2007).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문희, 정정옥, 이경희, 윤애희, 류진희(2002).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서울: 학지사.
  3. 강정원, 김순자(2006). 유아 부적응 행동과 교사의 교수적 스트레스 및 교사 - 유아관계. 아동학회지, 27(1), 17-30.
  4. 권정윤, 안혜준, 송승민, 이민정, 권희경(2012). 유아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5. 김기순, 박인전(200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2), 27-43.
  6. 김연하(2007). 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5), 73-89.
  7. 김영숙, 김성수(2004).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의 신념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아동학회지. 22(4), 257-269.
  8. 김영희(201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신념과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9), 47-58.
  9. 김자영(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종석(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지영(2002).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문제유형별 지도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문송이(2008).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4. 민성혜, 신혜원(2011). 대학생의 유머스타일, 놀이성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에 대한 애착을 매개로 하여. 열린부모교육연구, 3(1), 1-11.
  15. 박은영(2009).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교수행동 및 유아놀이행동의 차이.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3판. 서울: 창지사.
  17. 박현숙, 김광웅(200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7(1), 13-24.
  18. 배지희, 봉진영, 조미영(2010).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분석. 유아교육연구, 29(6), 165-189.
  19. 서동미, 조재규(2011).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 전략 및 문제행동 지도 시 어려움에 대한 분석. 정서․ 행동장애연구, 27(2), 179-207.
  20. 소수정(2010).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만 3세 유아의 놀이성 및 놀이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신선희, 차윤희, 김영희(2008). 어머니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81-299.
  22. 신은수(2000).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이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23.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놀이운영실제신념에 관한 도구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46-69.
  24. 안지영(2001). 2, 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안효진(2011). 보육교사의 놀이 교수 효능감과 장애 유아의 사회성 기술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 수용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0(4), 777-787.
  26. 안효진, 임연진(2010).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27. 오혜주(2008). 일반 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유미(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정희, 정계숙(2007). 교사에 의한 놀이치료의 적용 가능성 탐색: 부적응 유아의 행동문제 감소와 사회적 관계 증진을 통하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29-62.
  30. 이진화(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327-344.
  31. 임혜민(2002).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문제행동 양상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영란, 김희화, 공유경(2009).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437-448.
  33. 최인숙(2012). 보육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에 대한 신념 및 교사효능감이 갈등해결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81-99.
  34. 최형성(2006). 어머니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대한가정학회지, 44(11), 79-89.
  35. 홍정유, 최영희(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4), 77-90.
  36. Barnett, L. A. (2007). The nature of playfulness in young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4), 949-958 https://doi.org/10.1016/j.paid.2007.02.018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8. Dako-Gyeke, M. (2008). Being playful and smart? The relations of adult playfulness with psychometric and self-estimated intellig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Ghanaian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USA.
  39. De Pry, R. L., & Sugai, G. (2002). The effect of active supervision and pre-correction on minor behavioral incidents in a sixth grad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11, 255-267. https://doi.org/10.1023/A:1021162906622
  40. Enochos, L. G., & Riggs, I. M. (1995).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79(1), 63-75. https://doi.org/10.1002/sce.3730790105
  41. Fogel,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USA.
  42. Fox, J., & Controy, M. (1995). Setting events and behavior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 An interbehavioral field analysi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3, 130-140. https://doi.org/10.1177/106342669500300301
  43. FitzMedrud, E. J. (2008). The correlates of playfulness i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linical Psychology Institute of Transpersonal Psychology Palo Alto, California, USA.
  44. Gartrell, D. (2004). The Power of guidance : Teaching social - emotional skill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Clifton Park, NY : Thomson Delmar Learning.
  45. Gebbie, D. H., Ceglowski, D., Taylor, L. K., & Miels, J. (2012).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Challenging Behavi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0(1), 35-46. https://doi.org/10.1007/s10643-011-0486-5
  46. Glynn, M., & Webster, J. (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 83-103. https://doi.org/10.2466/pr0.1992.71.1.83
  47. Kaiser, B., & Rasminsky, J. S. (2003).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Boston. MA: Allyn and Bacon.
  48. Kaiser, B., & Rasminsky, J. S. (200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2nd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49. Jarrett, O. S. (1998). Playfulness: A motivator in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4), 181-187.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14.x
  50. MacKinnon, D. P., Warsi, G., & Dwyer, J. H. (1995). A simulation study of mediated effect meas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0, 41-62.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001_3
  51. Nugesser, N. R., & Watkins, R. V. (2005).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reactions to challenging classroom behavior: Implication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6, 139-151. https://doi.org/10.1044/0161-1461(2005/013)
  52. Peters, D. L., Neisworth, J. T., & Yawkey, T. D. (1985).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eory to practice. NY :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3. Schaefer, C., & Greenberg, R. (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2(6), 21-31.
  54. Sigel, I. E. (1992). The belief-behavior connection: A resolvable dilemma.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 Lisi, & J. J. Goodnow. (Eds.), Parental belief systems :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2nd ed.), (pp. 433-45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Smith, S. C. (2004). The effects of targe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ssouri State University, Columbia, USA.
  56. Spaulding, J. T. (2010). The effects of experiential learning with playfulness in the adult education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SA.
  57. Stipek, D. J., & Byler, P. (1997).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 Do they practice what they preach?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305-325.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5-3
  58. Stromont, M., Lewis, T., & Beckner, R. (2005).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s : Applying key features in preschool setting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7(6), 42-49.
  59. VanDerHeyden, A. M., Witt, J. C., & Gatti, S. (2001). Research into practice : Descriptive assessment method to reduce overall disruptive behavior in a preschool classroom. School Psychology Review, 30, 548-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