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초.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에 대한 분석

  • Lee, Bong-Ju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봉주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2.07.09
  • Accepted : 2012.08.16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association with creativity through analysing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of the mathematics teachers at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do so, a survey was performed by sampling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in the perspective of school classificatio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but not gender, region, and career of teachers. In other word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behaviors for fostering creativit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herein the score of teaching behavior of former is higher than latter. Furthermore, the result of teachers' recognition survey on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students' creativity via education shows that the teachers of primary schools are more relatively positive than those of secondary schools on the matter.

이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성 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57명, 중학교 교사 55명, 고등학교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학교급에 따른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성별, 지역별, 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 점수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보다 높았다. 또한 창의성을 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교 교사에 비해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3.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1997.
  4.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대한교과서,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6. Cropley, A.(김선 역), 교육과 창의성, 집문당, 2005.
  7. 김순남, 황향숙, 창의성 계발 교수행위에 대한 교사 자기평가 연구, 한국교육논평, 5(2006), No.2, pp. 1-24.
  8. 김호, 서선진,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인 저널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009), No.5, pp. 205-227.
  9. Cropley, A.(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 창의성 계발과 교육, 학지사, 2004.
  10.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11. Amabile, T.(전경원 역), 창의성과 동기유발, 창지사, 1998.
  12. 조연순, 창의성 : 21세기 교육의 키워드, 2009년도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한국 창의성 교육의 진단과 발전방향 모색, 2009, pp. 33-61.
  13.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4. 최미정,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사고개발, 2(2006), No.2, pp. 87-115.
  15. 최병훈, 방정숙,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2012), No.1, pp. 197-215.
  16. 홍미영, 김성열, 이화진, 곽영순, 김경주, 김도남, 김명화, 김주훈, 김태은, 박선화, 송현정, 양정실, 오상철, 오은순, 은지용, 이봉주, 전효선, 홍선주,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2, 2010.
  17. Cropley, A. & Urban, K.",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 K.Heller &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2nd edn), pp. 481-494, NY: Pergamon, 2000.
  18. Dacey, J. & Lennon, K., Understanding creativity, San Franisco, CA: Jossey-Bass Publisher, 1998.
  19. Sternberg, R. & Lubart, T.,"Creating creative minds", In A. Ornstein, L. Behar-Horenstein, & E. Pajak (Eds), Contemporary issues in curriculum(3rd edn), pp. 157-166, NY: Allyn & Bacon.
  20. Torrance, P., The beyonders, In E. Torrance (Ed.), Why fly?: A philosophy of creativity, Norwood, NJ: Ablex,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