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유아상호작용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Their Peer Interactions)

  • 최소영;신혜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1-329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24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4명이었다. 놀이성과 또래상호작용은 교사에게 의뢰한 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자유놀이시간의 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놀이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놀이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 놀이단절에 유아의 놀이성 일부 요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호작용효과의 검증 결과, 유아의 놀이성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발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낮은 집단보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점수가 높은 집단에서 유아의 사회적 자발성에 따른 놀이단절 수준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유아의 낮은 자발성 수준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서 개인이 가진 취약한 특성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Level based on Factors of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 Teacher, and Child Group)

  • 박창현;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9-125
    • /
    • 2012
  •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포함되고 새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도 중요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의 전반적인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이 상호작용 수준이 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기관 유형, 교사 특성 및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른 직접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택적 면담조사를 병행한 결과는, 전체 교사의 상호작용 평균이 5점 척도에서 3.96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의 특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0대 이상 연령 교사들의 정서적 상호작용 수준이 의미있게 더 높고, 대졸이상 교사들의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교육경력이 6년 이상인 교사의 세 가지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의미 있게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은 교사의 개인특성변인이 기관 유형이나 유아집단특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유아관계의 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Child Temperament)

  • 안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1-299
    • /
    • 2013
  • 본 연구는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성별 및 기질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교사-유아 간의 성별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빈도와 교사-유아 관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4세 유아 51명과 이들의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가 평가하였고, 교사-유아관계의 질은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관찰자에 의해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유아주도 상호작용과 교사주도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빈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유아교사는 여아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남아들과는 갈등 관계를 더 많이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에서는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은 유아일수록 교사와 갈등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유아 관계가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갈등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유아에 대해 교사는 상호작용을 더 적게 시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Peer Play Interactions)

  • 김상림;박창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과 또래놀이상호작용, 교사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제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유아의 기질변인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교사변인이 또래놀이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활동성 기질 및 또래놀이상호작용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활동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방해가 많이 나타나고 정서성 기질이 높을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상호작용은 또래놀이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놀이방해, 놀이단절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의 정도에 있어서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기질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유아교사가 보육 교육기관에서 유아의 개인변인을 고려하여 또래놀이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구체적인 역할 및 추후연구에 대해 제안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Scal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or Childcare Teachers)

  • 김현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가족부에서 발간한 2005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을 기초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긍정적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적합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어린이집에서 만 3세 이상의 보육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05명이 연구대상이며,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긍정적인 교사의 말과 행동', '또래간 긍정적 상호작용의 격려', '낮잠시간배려', '화장실 사용배려', '유아의 부정적 정서수용 및 문제상황개입', '유아의 자유놀이에 긍정적 참여', '유아에 대한 평등한 대우', '식사와 간식시간배려'등으로 명명되었다.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도구의 신뢰도는 .94이며, 제작된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영역들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ir Peer Interaction)

  • 신혜진;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기질의 영향력을 교사-유아 간 관계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326명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교사-유아 간 관계의 주효과와 교사-유아 간 관계 및 정서성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어, 교사-유아 간 관계가 유아의 정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유아의 정서성과 활동성 및 교사-유아 간 친밀 및 갈등 관계의 주효과만이 나타났다. 이로써,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반면, 유아의 기질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ing Styl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on Peer Interactions)

  • 이미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1-2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데이터 중 996명의 4세 유아 자료를 t 검증, 일원변량분석,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방해를 많이 하였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기질이 강할수록 교사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호작용이 많이 나타났다. 여아는 어머니가 통제적 양육을 많이 할수록 놀이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셋째, 유아의 정서성기질이 강할수록, 사회성기질이 약할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적을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남아는 아버지가 사회적 양육을 적게 할수록 놀이단절을 많이 하였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그 다음 유아기질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김수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23-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0명이다. 연구대상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은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감 수준이 높고 심리적 소진의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 행복감이 심리적 소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의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위해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심리적 소진을 경감시키는 것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23-228
    • /
    • 2023
  •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77-38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인 유아교사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변인을 측정 후, SPSS 2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준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예측함에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