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their Peer Interaction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신혜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4.04.10
  • Accepted : 2014.06.1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hildren's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ffect their peer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 mothers and teachers of 326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four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ASW 18.0 to carry 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ost hoc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closeness to teachers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ity on their positive peer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children's temperaments including emotionality and activi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directly influential on their negative peer interaction;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ir temperamen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quality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could promote children's positive peer interaction while it could also reduce their negative interaction with peers. However, the temperament of children played limited roles in their negative peer interaction.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기질의 영향력을 교사-유아 간 관계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326명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교사-유아 간 관계의 주효과와 교사-유아 간 관계 및 정서성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발견되어, 교사-유아 간 관계가 유아의 정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는 유아의 정서성과 활동성 및 교사-유아 간 친밀 및 갈등 관계의 주효과만이 나타났다. 이로써,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반면, 유아의 기질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원(2002). 교사의 효능감과 학생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분석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지, 10(2), 43-60.
  2. 곽주영, 이영(1997).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35(2), 385-399.
  3. 권미경(1999).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사회.정서적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연희(2012).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2(2), 29-48.
  5. 권연희(2013). 유아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391-404. https://doi.org/10.5934/kjhe.2013.22.3.391
  6. 김기영, 심숙영, 강성희(2006). 놀이에서의 또래 리더십에 대한 또래 상호작용의 영향력 분석. 아동과 권리, 10(3), 297-319.
  7. 김난실(2004). 만2세반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미희(2011).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선희(2009).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203-224.
  10. 김연(2007).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지, 전경아(2010). 유아-교사 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7(2), 17-34.
  12. 나유미(1999).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관련 변인: 애착과 기질. 아동학회지, 20(4), 75-89.
  13. 민경신(2011).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고령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기질이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민혜영(199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기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1), 63-88.
  15. 박경자(1999). 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어머니의 민감성과 영아의 기질. 아동학회지, 20(3), 3-17.
  16. 박석규, 이은희(2011).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57-278.
  17. 박지선(2000). 영유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정란(2008). 4세 유아를 위한 또래관계 형성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희숙(1985). 6, 7세 아동의 친구관계 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서소정(2009). 영아의 보육기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21. 서정은(200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손혜련(1996).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모자간 애착, 유아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심희옥, 신유림(2009). 또래관계. 아동학회지, 30(6), 195-208.
  24. 여연승(2003).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또래수용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오재연, 이지현(2005). 3세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유형과 유치원 생활적응 행동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3), 385-412.
  26. 유정미(2009).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원영미, 박혜원, 이귀옥(2004). 유아의 기질과 가정환경 및 유아의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2), 311-334
  28. 이경희(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수준, 유아의 기질, 가정양육 환경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선애, 현은자(2010).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31(2), 1-15.
  30. 이은영(2008).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은해(2000).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3), 77-95.
  32. 이지희, 김혜연(2012).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301-322.
  33.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찬숙, 현은자(2008). 유아의 기질, 사회적 유능감, 감성지능, 도덕성 및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3), 223-238.
  35. 전경아(2003).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대현, 지성애(2006).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3), 201-221.
  37. 조상흔(2007). 교사가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조의선(2011). 교사효능감 및 교사기질이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조영아(2008). 영아의 기질 및 영아-교사 간 애착안정성에 따른 또래간 상호작용 차이.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조혜진, 이기숙(2004).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유아교육연구, 24(4), 263-284.
  41. 천희영(1992). 한국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 양육 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천희영(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43. 천희영(2006). 아동의 기질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80-2004. 아동학회지, 27(4), 17-38.
  44. 최미숙, 황윤세(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45. 최인숙, 이강이(2010). 사회정보처리 구성요소와 정서요인이 유아의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6), 15-34.
  46. 최정희(1998). 유아의 또래 수용도와 감정조망 수용능력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한희정(2006). 유아의 기질과 또래상호작용 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홍계옥, 정옥분(1995).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모자 애착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6(1), 99-112.
  50. 홍현재(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황상민, 김도환(2003).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1), 1-17.
  52. 황옥경(1990).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배척 소외 아동의 행동상의 문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1(1), 72-86.
  53. 황윤세(2007).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27(1), 323-350.
  54. Bates, J. E. (1980). The concept of difficult temperament. Merrill-Palmer Quarterly, 26(4), 299-319.
  55. Blair, K. A., Denham, S. A., Kochanoff, & Whipple, B. (2004). Playing it cool: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2(6), 419-433. https://doi.org/10.1016/j.jsp.2004.10.002
  56.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5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1-7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29-5
  58. Burchinal, M., Peisner-Feinberg, E., Pianta, R., & Howes, C. (2002).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from preschool through second grade: Family and classroom predictor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0, 415-436. https://doi.org/10.1016/S0022-4405(02)00107-3
  59. Clarke-Stewart, A., & Allhusen, V. (2005). What we know about childca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0. Crosnoe, R., Johnson, M. K., & Elder, G. H. (2004). Inter-generational bonding in school: The behavio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ociology of Education, 77, 60-81. https://doi.org/10.1177/003804070407700103
  61. Denham, S., McKinley, M., Couchoud, E., & Holt, R. (1990). Emotion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preschool peer ratings. Child Development, 61, 1145-1152. https://doi.org/10.2307/1130882
  62. Dunn, J., & Cutting, A. (1999). Understanding oth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friendship interactions in young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 201-219.
  63.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48-9
  64. Jerome, E. M., Hamre, B. K., & Pianta. R. C. (2008). Teacher-child relationships from kindergarten to sixth grade: Early childhood predictors of teacher-perceived conflict and closeness. Social Development, 18(4), 1467-1507.
  65. Hartup, W. W. (1992). Peer relation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In Van Hasselt & M. Hersen (Eds.),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A lifespan perspective (pp. 257-281). New York: Plenum.
  66.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67. Howes, C. (1988).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3 (1, Serial No. 217).
  68. Howes, C. (1992). Sequences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lay with peer: Social and social preten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5, 961-974.
  69. Howes, C., & Hamilton, C. E. (1993).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 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5-32.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6-1
  70. Koomen, H. M. Y., Verschueren, K., van Schooten, E., Jak, S., & Pianta, R. C. (2012). Validat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Testing factor structure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child gender and age in a Dutch sample.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0(2), 215-234. https://doi.org/10.1016/j.jsp.2011.09.001
  71.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1). Child care and children'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1
  72. Ladd, G. W., & Burgess, K. B. (2001). Do relation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links between childhood aggression and early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2, 1579-160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6
  73. Parker, J. G., Rubin, K. H., Erath, S. A., Wojslawowicz, J. C., & Buskirk, A. A. (2006). Peer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and adjustment: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In D. Cicchetti & D.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Vol. 2, pp. 419-493). New York: Wiley.
  74.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2), 179-192.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1-X
  75. Pianta, R. C. (199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Charlottesville, VA: University of Virginia.
  76.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7. Pianta, R. C., La Paro, K. M., Payne, C., Cox, M. J., & Bradley, R. (2002). The relation of kindergarten classroom environment to teacher,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child outcome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2, 225-240. https://doi.org/10.1086/499701
  78. Pianta, R. C., & Stuhlman, M. W. (200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uccess in the first years of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3, 444-458.
  79. Rimm-Kaufman, S., Curby, T., Grimm, K., Nathanson, L., & Brock, L. (2009). The contribution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quality to children's adaptive behaviors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Developmental Psychology, 45, 958-972. https://doi.org/10.1037/a0015861
  80.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ition (Vol. 3, pp. 571-645). New York: John Wiley & Sons.
  81. Rubin, K., & Rose-Krasnor, L. (1992).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n V. van Hasselt & M. Hersen (Eds.),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A life span perspective (pp. 283-323). New York: Plenum.
  82. Russell, A., Hart, C., Robinson, C., & Olsen, S. (2003). Children's sociable and aggressive behaviour with peers: A comparison of the US and Australia, and contributions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7(1), 74-86. https://doi.org/10.1080/01650250244000038
  83. Sabol, T., & Pianta, R. C. (201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4(3), 213-231. https://doi.org/10.1080/14616734.2012.672262
  84. Vasta, R., Haith, M. M., & Miller, S. A. (1992). Child psychology: The modern scie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85. Vaughn, B. E., Vollenweider, M., Bost, K. K., Azria-Evans, M. R., & Snider, J. B. (2003). Negative interactions and social competence for preschool children in two samples: Reconsidering the interpretation of aggressive behavior for young children. Merrill-Palmer Quarterly, 49, 245-278. https://doi.org/10.1353/mpq.2003.0017
  86. Webb, M. L., & Neuharth-Pritchett, S. (2011). Examining factorial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 205-215.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9.004

Cited by

  1. Relationships among effortful control and negative affection of teacher's temperament, teacher-child conflict, and peer play interaction vol.38, pp.2,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