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학 창의성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4초

이공계 우수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학업 성적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iversity students)

  • 정지범;백윤수;문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4호
    • /
    • pp.38-4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우수대학생들의 창의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행 공학기초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창의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과대학생을 수학 과학 능력이 뛰어난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에 각각 TTCT 도형 언어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1학년 때의 평균학점(GPA)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TCT 검사 결과,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의 대부분의 창의성 요인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검사의 융통성과 같은 몇몇 요인의 경우에는 일반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평균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형검사의 독창성의 경우 평균학점과 약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그 밖의 다른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공학설계에서 인지적 팀 다양성, 공학설계 자기효능감 및 팀 창의성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Team Diversity, Engineering Design Self-Efficacy, and Team Creativity in Engineering Design)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6호
    • /
    • pp.11-17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ngineering desig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team diversity and team creativity. For this study, 377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s in engineering design class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gnitive team diversity and engineering design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m creativity.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indicated that engineering design self-efficacy further reinforc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team diversity and team creativit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explored.

창의적 컴퓨팅 산출물 기반 알고리즘 교육 방법 (Educational Method of Algorithm based on Creative Computing Outputs)

  • 허경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9-56
    • /
    • 2018
  • 비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식의 SW 교육이 대학별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컴퓨팅적 사고를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컴퓨팅 교육에 이어서 학생들마다 창의적인 컴퓨팅 산출물을 구현하고 평가하는 교육 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컴퓨팅 산출물 기반 SW교육을 실현하는 한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디지털논리회로 장치를 창의적으로 구현하고, 이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는 SW알고리즘을 디자인하는 교육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교육 방법에서는 아두이노 보드를 사용한 간단한 LED 논리회로를 예로 들어 교육한다. 학생들은 2변수 논리회로 출력장치 두 쌍을 창의적으로 설계 및 구현하고, 구현한 장치의 패턴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을 다양한 형태로 설계한다. 그리고 입력장치를 이용한 기능 확장 및 확장된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제안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면, 비전공 학생들이 창의적 컴퓨팅 산출물 제작을 통해 알고리즘 설계의 개념과 필요성을 습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창의적 설계능력을 위한 PBL기반의 요소설계 콘텐츠 개발 - 논리회로설계 교재를 중심으로 - (Contents Development of PBL-based Integrant Design Course for Creative Design Capability -Focusing on Logic Circuit Design Textbook-)

  • 이재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13-4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공학교육의 기반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공학교육인증제도에서 핵심 교육요소로 강조하고 있는 효과적인 공학설계를 위한 PBL기반의 설계교육방법과 이를 IT학부의 필수 요소설계과목의 하나인 논리회로설계에 적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한 사례를 제시한다. 요소설계는 요소기술 중심의 설계이므로 종합설계의 경우와는 달리 설계구성요소 및 현실적 제한조건들의 범위가 제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창의적 설계교육이 이루어지려면 요소설계과목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PBL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개발한 콘텐츠(교재)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실천공학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연구 (A Curriculum Enhancement Research for Practical Engineers)

  • 장윤상;오창헌;하준홍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2-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설계교과과정 및 HRD교과과정의 체계 및 운영, 실험 실습의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 "현장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및 교육방법 개선", '실험 실습 교과과정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경험학습에 기초한 설계교과과정과 HRD교과과정과의 통합적인 운영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공대생들의 협동학습에서 성격특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과 팀 창의성 (Personality Factors,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and Team Creativity)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6호
    • /
    • pp.43-4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eam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between heterogeneous and homogeneous teams. Team composition was based on the levels of openness and extraver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heterogeneous teams showed higher team creativity scores than homogeneous teams. Frequency distribution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indicated that heterogeneous team members preferred developer, external, and task-oriented styles. Homogeneous team members preferred explorer and person-oriented style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액체금속 표적 시스템의 열적, 구조적 건전성 평가 및 설계 (Thermal-Hydraulic,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of Liquid Metal Target System)

  • 이용석;정창현
    • 에너지공학
    • /
    • 제10권3호
    • /
    • pp.294-298
    • /
    • 2001
  • 사용 후 핵연료의 고독성 장수명 핵종을 저독성 단수명 핵종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미임계 핵변환로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미임계 핵변환로에서 사용될 표적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표적시스템에 대한 열적, 구조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적시스템의 열수력 분석에서는 diffuse plate를 삽입함으로써 빔창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인자인 빔창두께, 빔출력, 냉각재 유량 변화에 따른 빔창의 열적, 구조적 건전성 분석을 수행하여 표적시스템의 설계치를 설정하였다. 본 설계조건 하에서 빔창의 최대 온도 및 음력은 허용가능한 범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학교수학 교수.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 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9-4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성공적인 기술공학의 활용을 위하여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공학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활용 가능한 기술공학적 도구들을 소개하고,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방안을 수학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기술공학을 활용한 모델들을 소개한다.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분석을 통한 공학 교육 방향 모색 (Seek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direction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of financial aid project)

  • 강명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61-67
    • /
    • 2018
  • 본 논문은 공학교육 개선을 위하여 재정지원 사업을 수행한 대학의 사업성과 분석을 통해 지방 공과대학의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한 대학의 3년간의 사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성과분석을 진행하였다. 사업에 참여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원사업의 교육프로그램과 운영에 따른 성과 등 통계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지원사업의 종합만족도 평점은 73.8%에서 83.4%로 상승하고 있으나, 산업체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조사 결과 신입사원들의 업무수행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 능력의 만족도가 낮아 사업의 종합 만족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이 배양될 수 있는 공학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개별성-관계성 및 인지적 유연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 설계 관련 교과목의 협동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ity-Related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Team Creativity in Engineering Design)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4호
    • /
    • pp.3-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eam individuality-relatedn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team creativity. A total of 313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ho organized 64 teams were assessed on individuality-relatedness scale, cognitive flexibility scale, and team creativity. Relatedness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team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to explain team creativity beyond individuality alone.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