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iversity students

이공계 우수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학업 성적

  • 정지범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
  • 백윤수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 문일 (연세대학교 화학공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troductory engineering courses.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 verbal and figural forms were administered to the two groups of studen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e TTCT results and their first year grade point average(GPA) were analysed by t-test method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1) general students group got higher scores in some factors such as flexibility of verbal form TTC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generally not found, and (2) the factors such as the originality of figural form TTCT showed small positive correlation with GPA, but the other factors were barely related to GPA.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우수대학생들의 창의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행 공학기초교육과정이 학생들이 창의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과대학생을 수학 과학 능력이 뛰어난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에 각각 TTCT 도형 언어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1학년 때의 평균학점(GPA)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TCT 검사 결과, 우수학생집단과 일반학생집단의 대부분의 창의성 요인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검사의 융통성과 같은 몇몇 요인의 경우에는 일반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평균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형검사의 독창성의 경우 평균학점과 약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있으나, 그 밖의 다른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숙(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2. 김영채(2001). 창의적 성격 특성, 교육학연구. 39(1).1-24
  3. 김영채, 전헌선, 박권생(2002).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수업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험 분석, 교육학연구. 40(1), 129-158
  4. 김영채(2004). 한국판 TTCT-B형 , 표준화 창의력 검사 검사 요강, 개정 2판, 토란스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
  5. 박병기(2004). 창의성의 은유적 이해, 교육심리연구. 18(1) . 279-300
  6. 백윤수(2003). 창의성 개발을 위한 공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 과제보고서
  7. 성은현(2003). 창의성 상하 집단의 지적 능력과 인성 특성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6(3). 67-86
  8. 이정규(2003).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영역성과 측정에 대한 문제점 분석연구, 교육심리연구, 17(4)
  9. 전경원(1997).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 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1(2). 223-253
  10. 전윤식, 김정섭, 윤경미(2003). 창의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 문제 찾기, 교육학연구, 41(3). 215-238
  11. 정은이(2003). 개별, 협동학습에 따른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비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7(1). 281 -297
  12. 최인수(1998).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섯 가지질문, 한국심리학회지. 17(1). 25-47
  13. 하주현(2003). 문제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섬리연구. 17(3).99-15
  14. 한기순, 배미란(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15.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Collins
  16. Perkins, D. (1994), Creativity: Beyond the Darwinian paradigm. In Boden, M. (Ed.), Dimensions of creativity (pp.119-142). Cambridge, MA: MIT Press
  17. Torrance, E. P. (2002),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