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축마감공사비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5초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기존 Tact와 복합병행 Tact 비교분석 - 공동주택 미장공사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ntional Tact and Compositive Tact in Apartment House Finishing Construction)

  • 황수현;심재형;함남혁;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7-56
    • /
    • 2022
  • 건설 프로젝트에서 공정계획은 사업 성패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 중 공동주택 마감공사는 기초공사나 골조공사에 비해 작업 간의 간섭이 많다. 이로 인해 마감공사 시 공정관리 효율성 증대를 위한 Tact 공정관리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Tact 공정관리는 작업 흐름이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마감 단위층을 통일시켜 작업속도를 균등화시킨다. 그러나 세부공종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작업이 균일하게 동기화되어 공사비가 증가하고 비효율적인 공정관리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세부공종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기존 Tact 공정관리방식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세부공종을 고려한 복합병행 Tact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Tact기법과 복합병행 Tact기법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복합병행 Tact기법의 타당성 및 실효성을 검증했다.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개산견적 모델 (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Predicting Cost of Building Interior finishings)

  • 구교진;박성호;박성철;송종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75-184
    • /
    • 2008
  • 건설 프로젝트의 수익성 및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계초기단계에 활용되는 개산견적은 설계의사결정 업무와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견적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설계초기단계에서 설계자의 의사결정 지원과 설계변경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를 위해 프로토타입기반 개산견적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파라미터에 의해 산정되는 공사항목 및 사용자에 의한 추가공사에 대한 공사비 고려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견적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제 고층 오피스 빌딩 프로젝트의 실적자료 분석을 통해 기본설계단계에서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OPSEM)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공사비 내역서, 도면으로부터 얻은 작업항목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각 작업항목 속성에 맞는 공사비 산정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 효용성 검증을 위해 유사 사례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기존의 견적방식과 제시된 모델을 활용한 견적방식의 오차율을 분석하여 정확도 비교를 실시하였다.

초고층건물 마감공사의 발주방식 선정요소에 대한 연구 (Analysing Decision Factors of Delivery System for Finishing Work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이재일;안병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45-348
    • /
    • 2003
  • 건축 프로젝트가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현장에서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초고층건물공사는 그 규모로 인해 생산성 저하의 위험이 상존한다. 특히 관리대상 프로세스가 기타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마감공사는 생산성 유지 혹은 향상에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즉, 골조공정의 생산성이 높더라도 마감공사의 생산성이 낮은 경우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은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인터뷰 둥을 통해서 초고층 건축공사의 마감공사 발주방식 선정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 요소들은 초고층건물 마감 공사의 발주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 PDF

프로토타입기반 기본설계단계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 (Prototype-based Cost Estimating Model for Building Interior Construction in Design Development Stage)

  • 김해곤;박성철;홍태훈;현창택;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10-118
    • /
    • 2007
  • 건축 프로젝트의 초기 기획조사단계에서 발주자의 예산결정을 위하여 사업비에 대한 통계적 추정방법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파라미터기반 개략견적 방법은 설계진행 중의 설계자 의사결정과 이로 인한 공사비 산정 및 관리업무와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설계실무에 활용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한편 실시설계안이 도출된 후 상세견적에 의해 산정된 공사비가 예산을 초과한 경우, 마감수준 등을 국부적으로 임의 조정하여 설계를 확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무소 건축물을 대상으로 계획설계 및 기본설계단계에서 설계자의 의사결정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마감공사비를 용이하게 산정하고, 설계대안의 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기반 마감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건축물을 설계프로세스에 따라 부위별 분류체계에 의해 분할하고, 상세견적 된 기존 사무소 건물의 프로토타입이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실별 부위선정을 통한 설계대안을 생성하고 그 공사비를 견적하게 한다. 제시된 프로토타입기반의 모델에 대하여 설계와 시공정보를 통합하는 연결체로서의 유효성과 실무설계에서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듈러 건축 타워크레인 운용 계획의 대안 평가 모델 -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Tower Crane Operation Plan in Modular Construction - Focusing on Modular Unit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s -)

  • 김주호;박문서;이현수;현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50-60
    • /
    • 2018
  • 최근 인력자원 투입량 감소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공법은 반복 공정이 많은 기숙사, 주거시설, 호텔 공사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유닛 설치비용을 제외한 현장 공사비에서 외장 마감공사 비용의 비중은 약 40%를 차지하며, 마감공사는 목표공기와 비용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모듈러 현장에서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 수행을 위해 한정된 장비가 후속 액티비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유되어야 하며 현장 마감 비중이 커지는 모듈러 프로젝트일수록 공정관리에서 양중 계획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T/C 운용 계획은 단일 사이클 또는 다중 사이클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사이클 주기 조율은 장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지원하기 위한 T/C 운용 계획의 대안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 현장에서 T/C 운용의 사이클 주기 설정에 따른 운용방식의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 유닛 양중 시간 및 주기, 외장재 양중 시간, 마감 작업 소요시간을 변수화하여 T/C 가동시간과 공정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로세스 분석을 바탕으로 작업 속도를 조절하여 T/C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양중 사이클 개념을 적용한 자원 평준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현장관리자에게 장비 계획의 대안 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고층 건축물 리프트카 양중계획수립을 위한 자원기반의 양중부하 산정 모형 (A computation model for Resource-based Lifting loads of the lift-cars for super high-rise buildings)

  • 한충희;이준복;원서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35-143
    • /
    • 2012
  •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적 건축물에 비해, 구조, 환경적 분야 뿐 아니라 시공 분야에서도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시공방법, 재료, 공사관리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시공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관리기법 중 양중계획 및 관리는 핵심적인 분야이며, 건설공사에 필요한 인원 및 자재와 같은 자원을 리프트카와 같은 양중기계장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직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리프트카의 경우 초기 수립된 계획과 실제 운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트카를 대상으로 건축마감공사의 자원물량에 근거한 양중부하 산정 방법 및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리프트카 운행시간 및 사이클타임을 계산하여 총 양중장비 가동시간 및 양중가능 물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양중장비조합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가치흐름 분석을 통한 건설공사의 공정개선방안 - 슬래브 공사를 중심으로 - (A Process Improvement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Value Stream Analysis - Focused on slab works -)

  • 이형수;윤유상;서상욱;장찬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27-530
    • /
    • 2002
  • 국내 공동주택의 건축공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에서 거푸집공사는 공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사이다. 건설선진국에 비해 긴 공정사이클을 갖고 있는 국내 골조공사의 실정을 감안한다면 거푸집공사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골조공사의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이 마감공사와 연계하여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므로, 공정개선의 노력은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연계를 통한 공종의 통합 및 낭비의 제거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의 사례조사를 통해 거푸집공사와 마감공사의 프로세스에서의 공정개선을 슬래브 골조공사를 중심으로 프로세스에 존재하는 비 가치창출작업을 파악하고 가치흐름분석을 통해 세분화되어 있는 공종을 통합하여 시간, 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슬래브공사의 흐름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공정개선 방안을 통하여 공기단축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 PDF

공동주택 공사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건축 외관용 PC의 적용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the Use of Architectural PC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 이현석;손영진;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8-125
    • /
    • 2008
  • 최근 주5일 근무제도, 공기 단축형 입찰제도와 후분양제도의 도입과 같은 제도적 변화로 건설공사에서 생산성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건설 산업의 생산성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초고층 공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두바이 및 북미,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외부 커튼월로 건축 외관용 PC (Architectural PC)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국내 공동주택 공사에서의 외부 날개벽, 수벽 및 파라페트 등의 외벽 마감을 대체하는 것으로 공기 단축 등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인정받아 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 공사에서 건축외관용 PC 도입을 제안하고, 건축 외관용 PC 활용에 따라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지를 검증하였다. 설문 결과 공동주택의 외벽 마감에 건축 외관용 PC를 사용하였을 때 기존 공동주택 공사보다 생산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분석되었다.

설계 안전성 검토에 의해 선정된 공법의 공기와 공사비 영향 분석 - 외벽 바탕 구조물 공법 사례를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of Duration and Costs According to Construction Method Selected by Design for Safety - Focused on Structural Frame for Exterior Wall Cladding -)

  • 김민규;김진동;이영도;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7-304
    • /
    • 2020
  • 건설안전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축소하기 위해 설계단계 설계안전성 검토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안전을 고려한 설계를 위해 선정된 공법이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나 공기와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여러 측면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락재해 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건물외벽 마감재 바탕 구조물 시공공법을 안전을 고려해 선정한 후 공기와 공사비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전뿐만 아니라 공기나 공사비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설계단계 설계안전성 검토에 의해 선정된 공법이 프로젝트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발수제의 혼입이 수성페인트의 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Repellent on the Color of Water Paint)

  • 남기융;김지현;이재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07-614
    • /
    • 2015
  •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마감은 기본적인 발수성을 가진 수성페인트 마감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건축물 외벽에 작업시 적용하기 쉬우며, 건축물 유지 또한 쉬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자외선으로 인해 변색 또는 열화 되기 쉬워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 표면마감 재료로서 발수제를 직접 혼입한 수성페인트의 색 변화를 통한 내구성능을 분석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촉진 시간에 따른 색 변화 및 색차를 측정하였으며, 적용가능성은 실험결과를 토대로 평가하였다. 색차, 명도 및 색도의 변화량을 실험결과에 따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발수제를 혼입한 수성페인트 마감공법(혼입율 2, 5, 8%)은 충분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건축물의 외부 표면을 수성페인트로 칠한 후 추가로 발수제를 도포하는 등의 기존 표면 마감방법에 비해 공사내용이 간편하며 시공성도 양호하여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는 원하는 색상으로 필요한 양만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 손쉽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