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9초

페나진 유도체의 합성과 항균성에 관한 연구 (제 2 보)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azine Derivatives (Ⅱ))

  • 강일영;김상열;김호식;김종대;허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9-196
    • /
    • 1990
  • 아세트아닐리드와 부타노일, 헥사노일, 옥타노일기를 가진 n-acyl chloride류로부터 6-acylbenzofuroxan류를 합성하고, 이들과 히드로퀴논 및 4-아미노페놀을 반응시켜 8-Acyl-2-hydroxyphenazine-5,10-dioxide류와 8-acyl-2-aminophenazine-5,10-dioxide류를 합성하였다. 이들 phenazine dioxide 유도체의 향균성을 희석법에 의하여 최소 발육저지 농도로서 조사하였는데, 그람양성균에서 옥타노일기를 가진 phenazine dioxide 유도체들이 부타노일기나 헥사노일기를 가진 유도체를 보다 항균성이 더 강하였으나, 그람음성균에서는 항균성과 아실기의 탄소수와는 관계가 없다는 것은 알았다. 활성산소($O_2^-$) 생성의 주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phenazine dioxide류의 효소활성 저해작용은 아실기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옻나무로부터 추출.분리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독성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hus verniciflua S.)

  • 최원식;김동길;이영행;김장억;이성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68-172
    • /
    • 2002
  • 한국산 옻나무의 메탄올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소공여 억제능, 과산화지질 형성 억제능,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분획의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rotatory locular counter current chromatography(RLCCC),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y와 HPLC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1,2,3-trihydroxybenzene, methyl 3,4,5-trihydroxybenzoat와 3,4,5-trihydroxybenzoic acid를 분리하였다. 이중 methyl 3,4,5-trihydroxybenzoate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이나 butylated hydroxytoluene(BHT)보다도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이들 물질들이 암세포주에 대하여 활성이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ethyl 3,4,5-trihydroxybenzoate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지닌 식품첨가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찔레꽃(Rosa multiflora) 추출물과 Ascorbic Acid 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Through the Synergistic Effect of Rosa multiflora Extracts and Ascorbic Acid)

  • 범석현;권현지;현진아;강은빈;박하은;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3-340
    • /
    • 2021
  • 본 연구에서 찔레꽃을 추출, 농축 및 동결 등을 통하여 시료화 하였다.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복합물과 단일 ascorbic acid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실험은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환원력, FRAP,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자공여능 실험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복합물이 대조군(ascorbic acid)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실험의 경우, 100 ㎍/mL의 농도에서 RMW+A (272.1 mg QE/g), RME+A (90.6 mg QE/g), RMW+A (79.4 mg QE/g)이 대조군(19.0 mg QE/g)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따라서 찔레꽃추출물과 ascorbic acid 복합물은 단독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따라서 이 복합물은 항산화 화장품에 사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화 및 피부노화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메꽃(Calystegia japonica) 잎 추출물의 함유성분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lystegia japonica Leaf Extracts)

  • 최복동;전호성;이양숙;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50-2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야생 식 약용식물들을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메꽃 잎의 물(WE)과 에탄올(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한 xanthine oxidase 저해,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능 그리고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꽃 잎의 세가지 추출물은 0.5 mg/mL에서 90% 이상의 xanthine oxidase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고농도에서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BHA나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HWE 추출물이 1.0 mg/mL에서 1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 mg/mL의 pH 1.2에서 세가지 추출물 모두 약 65% 이상, pH 3.0의 조건에서는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WE가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에서 EE가 84.80%로 가장 높았으며, 세가지 추출물 모두 저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EE는 179.89 mg/g의 폴리페놀과 40.68 mg/g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이상의 결과 메꽃 잎은 우수한 생리활성과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므로 이를 이용한 식음료나 기능성 가공식품, 식품 보존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인 것으로 생각된다.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0-176
    • /
    • 2007
  • 한방생약자원으로 사용되는 가죽나무(A. altissima)의 뿌리와 줄기, 잎의 열수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xanthine oxidase와 melanin 색소 합성에 작용하는 tyrosinase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가죽나무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91.25%) > 줄기(67.03%) > 잎(47.94%)의 순 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잎(49.07%) > 뿌리(14.31%) > 줄기(10.78%)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하에서 잎에서는 93.33%, 줄기와 뿌리는 54.07%, 45.97%로 나타났으며, pH 3.0에서도 잎 추출물은 85.40%로 pH 1.2의 줄기와 뿌리 보다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는 2.0mg/mL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가 97.44%와 97.41%, 잎에서도 92.09%였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도 87% 이상의 높은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yrosinase저해는 0.1mg/mL의 저농도에서 뿌리 추출물이 63.97%로 줄기(4.27%)와 잎(9.09%)보다 7배 이상 높았으며 2.0 mg/mL의 고농도에서도 뿌리는 67.38%로 줄기와 잎보다 높았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저해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가죽나무는 한방생약자원으로 이용되는 뿌리와 줄기뿐만 아니라 잎도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뿌리 추출물은 소량으로도 높은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최청;이희덕;최희진;손준호;김성;손규목;차원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52
    • /
    • 2001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 mg/kg으로 전체상대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kyl disulfide, $(E-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2-dithi-5-ene-{\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 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 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 종을 포함하여 총 162 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층에서는 $IC_{50}$이 1.623 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 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 acetate 층은 3.591 mg/mL, butanol 층은 2.083 mg/mL로 나타났다.

  • PDF

백색 느티만가닥버섯 자실체의 생리기능성 탐색 (Screening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Hypsizygus marmoreus (White Cultivar) Fruiting Body)

  • ;김민경;서건식;이영욱;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5-188
    • /
    • 2011
  • 버섯으로부터 생리 기능성이 우수한 건강 소재나 대체의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백색 느티만가닥버섯의 자실체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버섯 자실체의 물 추출물의 ACE 저해활성이 60.5%로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활성 보다 높았다. 또한 SOD 유사활성과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도 물추출물에서 각각 24.1%와 23.0%을 보였다. 백색 느티만가닥버섯 자실체에 함유되어있는 ACE 저해 물질은 자실체 분말을 물에 1 : 40으로 현탁 시킨 후 $50^{\circ}C$에서 12시간 추출했을 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이때 ACE 저해활성은 80.5% 이었다.

Antioxidative Activity and Irritation Response of Lespedeza bicolor

  • Lee Yang-Suk;Chang Zhiqiang;Park Seung-Chun;Rim Nac-Ryong;Kim Nam-W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5-119
    • /
    • 2005
  •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exhibited by extracts obtained from the dried stems (and leaves) of Lespedeza bicolor We also assessed its potential irritation activities with regard to cosmetic use. Whe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L. bicolor were assessed at six different concentrations (0, 50, 100, 250, 500 and 1000 ${\mu}g/ml$), the concentration of L. bicolor required to inhibit DPPH radical formation by $50\%$ was found to be $164.90{\mu}g/ml$. The effects of L. bicolor on the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were determined at seve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50\%$ effective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282.75{\mu}g/ml$. In the skin irritation test, all animals survived for the duration of the study, and all exhibited normal gains in body weight. The control sites exhibited no response to the control procedures. No edema, erythema, or eschar formation was observed in any of the tested rabbits. In the ocular irritation study, all of the rabbit eyes remained normal. In summary, L. bicolor extracts were considered to be non-irritating to the skin and eye.

양파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분획이 생리활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 우희섭;안봉전;배종호;김성;최희진;한호석;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9-123
    • /
    • 2003
  • 양파를 80% ethanol로 추출하여 Sephadek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fraction I, II 및 III의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xanthine oxidase, tyrosinase의 저해작용 효과와 지질대사를 검토하였다 Fraction I과 II의 ACE 저해작용은 5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효소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fraction III에서는 500 ppm 농도에서 90% 효소저해작용을 보였다. 100 ppm 농도에서 fraction III의 xantine oxidase 효소저해 효과는 82.5%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42.6%이었다. 효소저해작용이 가장 강한 fraction III를 2개월 동안 고지방식이에 첨가하여 혈장 및 간장에서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혈장에서는 총지질, 중성지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량도 약 50%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Inhibition of Tumor Formation and Changes in Hepatic Enzyme Activities by Kimchi Extracts in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 Hur, Young-Mi;Kim, So-Hee;Park, Jong-Won;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48-53
    • /
    • 2000
  •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 hexane extract, methanol soluble fraction (MSF) and juice from 3 weeks fermented Kimchi on the tumor formation in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were studied. Effects of the solvent extracts and juice of the Kimchi on the levels of lipid peroxide, glutathione, and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liver were also investigated in normal and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At 32 days following trans-plantation, MSF reduced the tumor formation by 5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resulting in the smallest tumor weight. Lipid peroxided content in liver increased by the transplantation of sarcoma-180 cells. However, it decreased when MSF of Kimchi was treated to the mice. MSF also suppresse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cytosol of the liver cells in mice transplanted by sarcoma-180 cells. Kimchi extracts had no inhibitory effect on hepatic aminopyrine-N-demethylase activity in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or normal mice. Methanol extract and hexane extract of Kimchi slightly increased hepatic glutathione contents in sarcoma-180 treated mice. The injection of MSF from Kimchi markedly increased glutathione levels in the liver of sarcoma-180 treated mice. The injection of MSF from Kimchi markedly increased glutathione levels in the liver of sarcoma-180 treate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MSF recovered the activities of hepatic glutathi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that decreased by the injection of sarcoma-180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MSF of Kimchi could suppress the growth of tumors, inhibiting lipid peroxide production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mice. We also suggested that Kimchi extract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cancer by enhancement of the glutathione level itself as well as via glutathi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