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tches′-broom diseas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Dienes 염색법을 이용한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과 몇가지 염색방법의 개선 (Use of Dienes' Stain in Diagnosis of Plant Mycoplasmal Diseases and Modification of Diagnostic Procedure)

  • 신현동;나용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5-220
    • /
    • 1984
  • Dienes 염색법을 국내에 발생하는 마이코플라스마성 식물병의 진단에 적용해 보면서 본 염색법의 보다 효과적인 이용을 위한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enes 염색법을을 통한 식물 마이코플라스마병의 진단방법은 일일초와 뽕나무에서만 지정적이었고, 대추나무, 오동나무 및 붉나무에서는 부정적이었다. 2. Dienes 염색액의 $0.2\%$$0.4\%$ 수용액이 일일초와 뽕나무에 각각 적합했으며, 염색시간은 $5\~10$분 그리고 탈색시간은 $10\~20$분이 좋았다. 3. 정확한 현미경적 관찰이나 선명한 사진을 위해서 절편의 두께는 $50\~100{\mu}$가 적당하였다. 4. 공시식물의 각 부위중에서 줄기 정부 바로 밑의 부위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엽병이나 중륵도 거의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5. 이병식물에서 염색반응의 정도는 병세와 비례했으며, 병징발견 초기의 시료는 건전시료와 염색반응에 있어서 쉽게 구별되지 않았다. 6. 시료를 종절할 경우 대부분의 관요소들이 상처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관찰이 용역하므로 시료를 횡절할 경우보다 효과적이었다. 7. 염색된 시료를 현미경 관찰할 경우 filter를 사용하지 않고 텅스텐 적색광을 그대로 사용하면 사관요소와 도관요소 간의 색갈 대비를 증가시키며 정확한 해석에 도움을 주었다. 8. 시료를 고정액에 고정시키면 염색반응이 방해되었으며, 시료는 신선한 것일수록 염색반응이 뚜렷하였다.

  • PDF

PCR을 이용한 벚나무 빗자루병균(Taphrina wiesneri)의 월동부위 검출 (Detection of Overwintering Sites Inhabited by Cherry Witches' Broom Pathogen Taphrina wiesneri with Species-specific PCR in Korea)

  • 손수연;이선근;서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32-335
    • /
    • 2015
  • 자낭균인 Taphrina wiesneri는 한국의 공원과 도로 주변에 주로 식재되는 왕벚나무에 빗자루병을 발생시킨다. 이 병원균은 생태적 특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방제법 등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빗자루 병원균의 월동부위를 조사하기 위해 빗자루 병징을 보이는 왕벚나무의 건전가지와 이병가지, 그리고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건전한 왕벚나무 가지에서 종 특이적 primer (TwITSF와 TwITSR)를 사용하여 월동부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빗자루병에 감염된 왕벚나무의 이병가지 뿐만 아니라 건전가지에서도 종 특이적인 PCR 증폭산물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외의 건전한 왕벚나무와 감염목 주변의 다른 식물 종 샘플에서는 PCR 증폭산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벚나무 빗자루병균 Taphrina wiesneri의 유전적 특성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Cherry Witches' Broom Pathogen Taphrina wiesneri Strains)

  • 서상태;정수지;이승규;김경희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99-101
    • /
    • 2011
  • 자낭균인 Taphrina wiesneri는 한국의 공원과 가로수에 주로 식재되는 왕벚나무에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13개의 병원균에 대해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과 rDNA-IGS 영역에 대한 RFLP 분석을 실시하였다.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도 분석결과 병원균은 2그룹으로 분류되었다. Hha I 제한효소를 이용한 rDNA-IGS 영역에 대한 RFLP 분석결과 B, C, D, G 4개의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G 패턴은 새로운 패턴이었다.

대추나무 미친병에 관한 연구 3 (Withes Broom of Jujube Tree, Zizyphus jujube Mill, Var. inermis Rehd.(Part.3))

  • 김종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
    • /
    • 1965
  • Over a period of 1962-64, a transmission-experiment of witchess' broom of jujube tree by stem-grafting was conducted. When stem-grafting of sound scions upon diseased roots or diseased scions upon sound roots were carried out, disease transmission of high rate was witnessed; 99% in the former and, in the latter, 62% of the stocks which saw union by callussing and had new shoots. Even when the diseased scions by stem-grafting or the diseased buds by budding upon sound stock died away, the transmission rate was 21% in stem-grafting and 14% in budding which seems to show that, when tissues of diseased plants and stocks are kept contacted over a certain period, the disease transmission occurs. And when the recovered scions taken from once diseased tree were grafted upon diseased roots, the transmission rate was 100 % and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immunity could not be acquired even under the assumption of complete recovery from the disease. In stem-grafting of the diseased scions upon sound roots, 98% of the scions which were stored in the cellar, overwintered and grafted in spring was diseased, whereas the disease rate of the scions which were cut and grafted in spring was only 33%. It wa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90% of the scions in the former case and only 3% in the latter case were diseased as of June 18th approximately 2 months after the actual grafting and then the latter advanced to 33% with the passage of time. It appears that the pathogen in branches and shoots of the diseased trees standing outdoors become inactivated or diminished during winter. Through its symptom, pathological change in tissue, and easy transmission of the disease via stem-grafting, it seems certain that the pathogen of the witches broom disease in jujube tree is a virus.

  • PDF

대추나무 빗자루병(病)의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한 매개전염(媒介伝染) (Transmission of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by the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

  • 라용준;우건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39
    • /
    • 1980
  •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전염경로(傳染經路)를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실험(実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추나무에서 38종(種)의 가해충(加害虫)이 채집동정(採集同定)되었으며 이 중(中)에서 Mycoplasma의 매개가능성(媒介可能性)이 있는 흡수성(吸收性) 매비충류(類)는 8종(種)이었다. 이들 매미충류중(類中)에서 6~10월(月)까지 어느 지역(地域)에서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가장 높았던 종류(種類)는 마름무늬매미충이었고, 마름무늬매미충은 건전(健全)한 대추나무에서 보다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에서 그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훨씬 높았다. 2.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분근묘(分根苗)에 14~21일간(日間) 흡즙(吸汁)시킨 마름무늬매미충을 대추나무실생유묘(實生幼苗)에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接種)을 개시(開始)한지 40~60일후(日后)에 상엽(上葉)이 소형화(小形化)하고,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났다. 이들 상이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의 주맥(主脈)과 엽병조직(葉炳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다수(多数) 검출(検出)되었다. 그러나 건전엽(健全葉)의 조직(組織)에서는 Mycoplasma 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다는 사실(事実)이 구명(究明)되었다. 3.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검정식물(檢定植物)을 찾을 목적(目的)으로 마름무늬매미충의 식이식물(食餌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대추나무, 일일초(日日草), 당근, 셀러리, 가지, 메꽃, 호프, 자운영, 한삼넝쿨 등에서 30일이상(日以上)의 장기간(長期間) 생존(生存)을 보였고, 또 이들 식물체(植物体) 상(上)에서 산란부화(産卵孵化)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4. 일일초(日日草)에 대추나무빗자루병(病) 보독(保毒) 마름무늬매미충을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개시후(接種開始后) 25~28일(日)에 엽맥(葉脈)이 투화(透化)되고 잎이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 나타났다. 이들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검출(検出)되었으나 건전엽(健全葉)에서는 Mycoplasma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일일초(日日草)에 나타난 증상(症狀)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 대추나무빗자루병(病) Mycoplasma의 감염(感染)에 의(依)한 것임이 확인(確認)되었다. 5. 대추나무빗자루병(病)에 걸린 나무에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본병(本病)의 종자전염여부(種子傳染与否)를 조사(調査)하였으나 종자전염(種子傳染)은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 PDF

옥시테트라사이클린에 의(依)한 오동나무·빗자루병(病) 방제(防除) (Field Control of Paulownia Witches' Broom with Oxytetracycline Hydrochloride)

  • 라용준;신현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10
    • /
    • 1980
  • 오동나무 빗자루병(病)을 방제(防除)할 목적(目的)으로 병(病)든 오동나무 (6년생(年生), 흉고직경(胸高直径) 10~15cm)에 Oxytetracycline HCl을 수간주입(樹幹注入)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979년(年) 5월(月)~9월(月)에 Oxytetracycline HCl 2g/0.1~2.0l를 수간주입(樹幹注入)한 결과(結果) 1980년(年) 9월(月) 현재(現在) 처리(処理)한 모든 나무에서 병징(病徵)이 억제(柳制)되고 수세(樹勢)가 회복(回復)되어 정상적(正常的)인 생육(生育)을 하였다. 2. 수간주입(樹幹注入)은 수액이동(樹液移動)이 활발(活溌)한 5~9월(月)에 실시(實施)하는 것이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좋았으며. 3~4월(月)에 실시(實施)한 것은 방제효과(防除效果)가 떨어졌다. 3. Oxytetracycline HCl의 저농도대량주입(低濃度大量注入) (2g/l~2l)과 고농도소량주입(高濃度小量注入) (2g /0.1~0.2l) 간(間)에는 방제효과면(防除效果面)에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고농도소량주입(高濃度小量注入)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은 24시간(時間) 내외(內外)인데 비(比)해 저농도대량주입(低濃度大量注入)은 3~4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 PDF

Mycoplasma성(性) 왕쥐똥나무 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itches' Broom of Ligustrum ovalifolium Hasskarl Caused by Mycoplasma-like Organism (MLO))

  • 채정기;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03-118
    • /
    • 1989
  •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 발견(發見)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및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觀察), 전기영동(電氣永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分離)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쥐똥나무빗자루병(病)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절간단축(節間短縮),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등(等) 빗자루병(病) 특유(特有)의 양상(樣相)을 나타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엽주맥(葉主脈) 조직(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依)하여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이 발견(發見)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법(二分法)에 의(依)하여 증식(增殖)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體內) 이동(移動)을 한 것 같은 상(像)이 관찰(觀察)되었다. 4.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관찰(觀察) 결과(結果)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는 이상결정물(異常結晶物)이 관찰(觀察)되었다. 5. 아접(芽接), 절접(切接), 녹지접(綠枝接)에 의(依)한 접목전여(接木傳染)이 왕쥐똥나무, 쥐똥나무, 광나무에 가능(可能)했으며 점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活着)되지 않았어도 전염(傳染)이 가능(可能)했다. 6.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하여 왕쥐똥나무와 쥐똥나무에 충매전염(虫媒傳染)이 되었다. 7. Teracyclin 1,000 ppm 수용액(水溶液)에 근부침지(根部浸漬)한 결과(結果) 일시적(一時的)인 치료효과(治療效果)는 있었으나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8. DAPI 염색(染色)에 의(依)한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병원체(病原體)가 사부요소(篩部要素)에 존재(存在)함이 확인(確認)되었다. 9.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단백질(蛋白質) 및 peroxidase 분리상(分離像)이 건전주(健全株)와 이병주(羅病珠)의 엽(葉)에서 뚜렷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Phytoplasma Infection could Affect Chemical Composition of Artemisia sieberi

  • Hemmati, Chamran;Nikooei, Mehrnoosh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3호
    • /
    • pp.274-279
    • /
    • 2019
  • Artemisia sieberi showing symptoms resembling those caused by phytoplasma were observed in Geno Mountain, Hormozgan Province, Iran, and were examined for phytoplasma presence by PCR assays. In addition, the essential oils hydrodistilled from the aerial parts of phytoplasma-infected and healthy plant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by GC and GC/MS. Phylogenetic and virtual RFLP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the phytoplasma associated with A. sieberi witches' broom (AsWB) was a strain of 'Candidatus Phytoplasma aurantifolia'. The presence of the disease, however, induced a further enrichment (from 4.9 to 45.2%, a relative increase of 90%) of the entire monoterpene class as compared to the abundance in healthy samples. Conversely, a matching decrease in monoterpenoid (from 48.7 to 2%, a relative decrease of 90.2%) was observed in the infected plants. Besides the first report of phytoplasma infection of A. sieberi, the changes of its essential oils are reported.

Little Leaf and Yellowing Symptoms on Castanea crenata are Associated with Phytoplasma in Korea

  • Eun Ju Che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49-54
    • /
    • 2023
  • For unknown reasons, a few trees in a private chestnut orchard in Icheon si, Gyunggi-do suffered leaf chlorosis and growth decline. Based on symptoms, phytoplasma was a probable cause. Lea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wo symptomatic and non-symptomatic trees in the orchard for phytoplasma detection. An amplicon of about 1.2 bp size was obtained from both symptomatic trees by PCR with the universal 16S rDNA primers. Sequences of these amplicons were found to have 99%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to the corresponding genomic region of 16SrIII (X-disease group). More than 100 phytoplasma isolates, such as Candidatus phytoplasma pruni, Milkweed yellows phytoplasma, Goldenrod yellows phytoplasma, Tsuwabuki witches'-broom phytoplasma, Candidatus Phytoplasma trifolii, etc. were involved in the list.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quence obtained in this study closely clustered with Candidatus phytoplasma groups. While one of the amplicons shared 91% identity with the Candidatus phytoplasma castaneae, the other shared only 47%. It needs further analysis and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exact taxonomy. Meanwhil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equences, chlorosis, and small leaves were associated with phytoplasma.

아까시나무모자이크병에 관한 연구 I. 병징 및 접목전염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I. Symptom and transmission by grafting)

  • 김종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5
    • /
    • 1964
  • 한국 전역에 널리 발생하는 아까시나무의 모자이크병에 대해서, 그 병징을 관찰 기재하고 접목전염시험을 하였다. 본병은 전형적인 mosaic의 양상을 이루며, 접목에 의하여 용역하게 전염되는 것으로 미루어 일종의 virus병으로 생각된다. 접목전염시험에 있어서는 건묘에 병수를, 또는 병근에 건수를 접함으로써, 공히 용역하게 전염시킬 수 있었다. 건묘에 병수를 접한 것에서는, 접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 (10-30일) 접수(병)를 박리한 것이, 박리않고 그대로 방치한 것에 비하여 훨씬 감염발병이 양호하였으며, 대목과 접수가 접착한 10-30일간에 있어서의 접착기간의 장단에 따르는 감염율의 증감은 인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대목과 접수(병)의 유착이 안되었을 경우에도 전염이 되었다. 목병은 그 병징, 접목에 의한 전염, 그리고 즙액전염의 가능(미발표) 등으로 미루어 Atanasoff(1935), 그리고 Milinko등(1961)이 보고한 동남유럽에 분포하는 아까시나무 mosaic disease와 근연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편 김명오 등(1961)은 한국에 아까시나무 witches broom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록했는데, 이는 본 모자이크병을 가리킴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