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game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9초

게임콘텐츠의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의 사용자 경험과 뇌파반응특성 (An Experiment of User Experience and Neurophysiological Patterns during Watching and Playing a Video Game)

  • 장한진;김시성;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9-32
    • /
    • 2015
  • 실재감, 몰입, 각성은 비디오가 제공하는 흥미로운 사용자 경험이다. 사용자들은 개인의 관심에 응해줄 수 있는 미디어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방법과 뇌파측정을 결합하여 비디오 시청과 게임을 비교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비디오 게임이 비디오 시청에 비해 실재감, 몰입, 각성이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몰입의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뇌파 역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게임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실재감, 각성, 뇌파(${\alpha}$, ${\beta}$, ${\delta}$)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자기보고와 더불어 뇌파측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관련분야의 이론적, 방법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유.무선 환경에서의 게임명령 히스토리 재전송 기법 기반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A Real Time Network Game System Based on Retransmission Mechanism of Game Command History on Wire/Wireless Environments)

  • 김성후;권영도;박규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3-1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플랫폼 기반 비디오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다수 사용자 게임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으며,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진행시 발생되는 네트워크의 부하변동과 지연을 극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의 초기지연 버퍼링 기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게임진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게임 명령의 히스토리 기반 재전송 기법으로 UDP 통신 수단의 패킷 손실 또는 패킷 에러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 PDF

장기간의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이 노인의 인지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P300 (The long-term effect of Interactive Video Game on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e elderly: P300)

  • 김성운;김한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93-50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이 노인의 인지정보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는 K시 D, J, K, W 노인복지관 노인 남·녀(65-70세) 250명 중 신체활동수준을 측정하여 신체활동이 낮은 수준(낮음: 3200kcal 이하/1주)을 보인 60명이며, 피험자들 모두 사전 동의를 거쳐 자발적으로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선정된 모든 피험자들은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선 할당되어 (1)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20명) (2) 유산소운동(20명) (3) 통제집단(20명)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3(집단)×2(사전사후)에 대해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종속변수는 인지기능 척도(주의집중력, 지연 기억력, 단기기억 능력, 즉각 기억력, 언어 유창성, 전두엽 운동기능), ERP 분석에서는 P300의 진폭과 잠재기, 반응시간과 정확률이다. 연구결과에서 인지기능과 ERP 분석에서 운동수행의 반응시간과 반응 정확률 및 진폭과 잠재기에서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과 유산소 운동집단은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나,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 집단과 유산소 운동(걷기운동)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지적 운동인 상호작용적 비디오게임과 같은 유산소운동의 꾸준한 참여는 노인의 인지기능 쇠퇴방지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재활운동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 관절가동 범위와 통증,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 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 변필숙;전미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6-5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 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 -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The study utiliz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are sampled from a group of people who are hospitalized in rehabilitation medicine ward at 'K' university hospital in 'S' city from January 1st 2011 to October 31th. Each 28members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otal 56members were participated. One task is for 10minutes, and the video game for total 30minute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3weeks.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7.0. Results: The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group(shoulder flexion t=7.70, $p$ <.001, extension t=7.80, p<.001, abduction t=6.95, $p$ <.001, elbow flexion t=6.47, $p$ <.001). The shoulder pain scor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group(t=-14.58, $p$ <.001). The level of stress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group(t=-4.89, $p$ <.001). Conclusion: The result proved that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was an effective stroke patients to increase in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and decrease in the shoulder pain, stress.

온라인 비디오 게임 사용과 사회성 연구의 주요 쟁점에 관한 문헌고찰 (A Review of Major Issues on Research for Online Video Game Use and Sociability)

  • 신민정;이경민;유제광
    • 인지과학
    • /
    • 제31권3호
    • /
    • pp.55-76
    • /
    • 2020
  • 사회성은 인간 삶의 고유 영역이자 종합적인 능력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일반 통념상 사회성 부족이 게임 이용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가운데, 본 문헌 고찰에서는 비디오 게임 중 온라인 비디오 게임을 대상으로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을 분석했다. 해당 분야에는 현재 온라인 게임 안의 관계가 실제 관계를 대체하거나 보완하여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것이라는 견해와 온라인 비디오 게임이 직접적으로 사회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적 학습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익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이용과 심리특성 및 사회적 역량을 측정한 대규모 설문 조사에서도 게임 이용과 사회성 저하 간의 뚜렷한 관계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본 문헌 고찰 연구를 통해 온라인 게임 플레이가 사회성 저하를 초래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것과 관련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기술혁신 관점에서 비디오 게임 산업의 세대구분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Generation Classification of the Video Game Industry)

  • 전정환;손상일;김동남;조형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03-224
    • /
    • 2017
  • 오늘날 비약적인 IT산업의 발달과 문화산업의 성장으로 게임 산업이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비디오 게임기 분야는 다양한 발전과 기술개발로 시장을 형성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혁신 관점에서 기술특성에 따라 비디오게임의 세대구분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ATARI, Nintendo, SONY, SEGA, MicroSoft의 제품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ATARI 출시부터 2017년까지 출시된 비디오 게임기를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기술동향분석을 통하여 세대구분을 하였다. 세대별 특징으로는 1세대는 Nintendo에 의한 시장선점으로 인한 충성고객의 확보, 2세대는 기존의 카트리지 방식이 아닌 광학 디스크를 사용한 SONY의 기술적 기능과 성능의 우수성, 3세대는 SONY와 Nintendo의 획기적인 기기요소와 기능들을 추가하였으며, 가격전략 및 전반적인 높은 스펙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4세대는 SONY와 MicroSoft의 높은 성능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책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비디오 게임기 산업의 기술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동의 전자게임 사용 실태 (A Study of Video and Computer Game Usage and Attitudes among Children)

  • 공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3호
    • /
    • pp.63-71
    • /
    • 2002
  •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children's video and computer games usage. The respondents included 286 third and fourth grade children, of whom 152 were boys and 134 were girl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pair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consisted of children's self-reported computer game use and their evaluations of the video and computer games. I employed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Chi-squares, 1-tests, one-way ANOVA, and the Scheffe Test. Ninety-five percent of the children interviewed reported having played video and computer games. Among these children, most reported that they played the games 2 to 3 times per week for 112 to 1 hour each time. The most common reasons given for playing was 'fun'. The most popularly played games included themes of action, adventure, violence, and compet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playing and usage. Boys played games longer than the girls. Boys played the games with their friends while the girls played the games with their siblings. Children who played these games longer perceived themselves to be faster, more attentive, and more stable than children who played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장자 나비의 꿈을 소재로 한 인터렉티브 비디오 구현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Based on Zhuangzi's Butterfly Dream)

  • 김태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9-37
    • /
    • 2011
  • 디지털 아트의 한 영역으로써 인터렉티브 비디오는 관객이 특정한 관점에서 비디오 공간에 비춰지는 매체적 특성상 거울의 효과가 하나의 비유로써 도입된 바 있으며 이는 미디어의 본질에 접근하는 담론을 자극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인터렉티브 비디오 작품은 이러한 담론의 연장선에서 개념적으로는 장자의 나비의 꿈에서 나타나는 사상에 기초하며 기술적으로는 컴퓨터 비젼을 이용하여 명암 처리를 통해 관객의 실루엣을 얻음으로써 다수의 그래픽 나비 개체가 이를 추상적으로 그리게 한다. 관객은 그래픽 공간에 투영된 자신의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면서 내러티브를 생산하게 된다. 시스템에 사운드를 도입하여 공간감을 증강시키고 추가적인 내러티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작품에서 도입된 컴퓨터 비젼 기법과 개체의 자율행동 및 군집운동 메카니즘에 의한 그래픽 생성이 인터렉티브 비디오를 구현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제시된다.

Communication with Video Games as a Process of Semiosis

  • Maletska, Mariia;Ostashchuk, Ivan;Khrypko, Svitlana;Salo, Hanna;Petryshyn, Halyna;Lobanchuk,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37-42
    • /
    • 2022
  • Communication as a process of interpreting signs has always existed in people's life. In post-information society, the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and a technological system through the specific sign-attaching process becomes widespread. Moreover, it somehow replaces usu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One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digital space are video games. They not onl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processes, but also are a special case of sign-creating and interpreting.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amine video games as a space of sign-based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and a game as a specific digital system. With the help of general scientific and hermeneutic methodology, the analysis of video games as a post-information society phenomenon which people communicate to has been conducted. The process of semiosis as attaching special meanings to signs has been traced in both manipulating in-game objects and characters and understanding rules of an in-game world.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일반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롤플레잉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The Impacts of Artist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General Creativity on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Reuse : Focused on Role-Playing Game Players)

  • 변현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9-67
    • /
    • 2011
  •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디오 게임 사용자들의 즐거움과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의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과 지각된 즐거움이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실증분석을 통해 수행되어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일반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즐거움은 게임의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였다. 특별히 창의성의 종류 중에서 예술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점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