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commitment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oice Properties of Food Carving Decoration Lecture on Recommended Inten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 Kwag, Myung Sug;Kim, Jin Soo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5권1호
    • /
    • pp.21-36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choice properties of food carving decoration lectures on the recommenda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s the culinary industry grows, consumers seek not only the value of satiety through food but also the value of aesthetics. They perceived satisfaction from the taste and appearance of the food as well as the interior of the restaurant and the service. Food carving is an important means of fulfilling consumer satisfaction value which is ever-changing.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properties of food carving lectures and the course recommenda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This study hypothesis was formulat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25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carving lectur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were verified through Cronbach's Alpha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all measurement items showed no abnorm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education satisfaction, education commitment, and brand image, the choice properties of food carving decoration lec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ducation commitment and brand image of food carving decoration lectu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visiting intention.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suggested and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제조업 기업의 혁신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Impact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송승익;김정환;모영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83-39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혁신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4차년도(2011년)부터 7차년도(2017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최종 분석 대상은 207개 기업이었다. 연구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혁신적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초기값은 조직몰입의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혁신적 조직문화의 초기값은 조직몰입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변화율은 조직몰입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혁신적 조직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이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식업체 종사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자기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Foodservice Employees Communication Type on Self-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현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62-870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ype of food service employees on the self-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employees of food service companies located in Seoul, from August 5, 2013 to August 25, 2013 as a method of empiric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2.0 and statistical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communication typ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was .220. Also,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consideration (Beta=.286, t=5.622), instruction (Beta=.303, t=5.970) and business (Beta=.214, t=4.217)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iency. Values for factors of consideration and instruction were higher than business. Second,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communication typ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429. Also,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consideration (Beta=.453, t=10.428), instruction (Beta=.380, t=8.749) and business (Beta=.282, t=6.477)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Values for factors of instruction and business were high but value of consideration factor turned out the highest. Third, the R-square of regression result for 'self-efficien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34. Also, it was found that out of the factors of positivity (Beta=.369, t=8.423), confidence (Beta=.415, t=8.833) and negativity (Beta=-.072, t=-1.536), positivity and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nly positivity and confidence showed high values in organization commitment. Upon analyzing the effect of factors of self-efficiency (positivity, confidence, negativi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positivity and confidence showed high relevance but the negativity factor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학교급식 영양사의 직무특성과 직무가치관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 신은경;이민지;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41-453
    • /
    • 199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on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in productivity of school foodservice. The subjects were 401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Taegu and the Kyungpook a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consisted of five part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JCI), work values, organizational commitment(OCQ) and job satisfaction(JDI).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65.3%) were between the age of 26 to 30 years. Seventy-on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had bachelor’s degrees and monthly wages of 83.2% ranged from 700,000 to 1,200,000 won. The education of thedietitian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nship with job satisfaction in all fields. Job characteristics such as feedback, job characcteristics such as job autonomy, feedback and friend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group of dietitians with high work value scores for work as a central life interest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p<0.01) and overall job satisfaction(p<0.05). Job satisfaction such as work-itself, pay, supervision, promotion and co-work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Lisrel program,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0.23). Job satisfaction was also affected by educational level(-0.18), autonomy(0.24), friendship(0.12), feedback(0.08), individualism(-0.07)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0.44) directly. In conclusion,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may increase the level of their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by increasing autonomy, feedback adn friendship of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 PDF

신입사원의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ity, Related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New Employees)

  • 김현수;김수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39-45
    • /
    • 2015
  •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통해 심각한 구직난 속에서 어렵게 들어간 신입사원들이 '직장인 사춘기 증후군'으로 방황하지 않고 조직에서 건강하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 수 있게 도와주고, 대학생활을 통해 조직의 생리를 알아가고 있는 대학생이나 기업이 원하는 역량을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 들에게는 기업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역량을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심리적 적응 기제 요인인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개별성과 관계성의 높고 낮음에 따라 4개 집단을 구성하여 각 집단 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를 검증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를 삼았다. 분석방법은 대기업 사원급 직장인 140명 대상으로 개별성과 관계성이 조직몰입 과 개별성과 관계성이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상관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별성, 관계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개별성과 관계성이 둘 다 높은 집단이 개별성과 관계성이 둘 다 낮은 집단 에 비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개별성과 관계성의 균형 잡힌 발달이 조직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숲해설가의 조직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Forest Interpret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Job Motivation)

  • 손지원;하시연;최일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55-663
    • /
    • 2014
  • 숲해설가가 하나의 직업군으로 정착되고 숲해설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숲해설의 목표를 달성하고, 숲해설 이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숲해설가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를 중점으로 두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동기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해설가 직무동기는 '사회적 관계형성', '숲에 대한 관심과 애정', '자기개발'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숲에 대한 관심 및 애정', '자기개발', '사회적 관계형성' 순으로 평균이 높았다. 둘째, 조직몰입도는 '관계지향적 몰입'과 '목표지향적 몰입'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숲해설가 일반특성과 관련해서 직무동기는 성별, 직무교육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조직몰입도는 연령과 소속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직무동기는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사회적 관계형성 동기가 전체 조직몰입도와 목표지향적 몰입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스트레스, 직무재창조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Social Enterprises)

  • 정은호;차윤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489-498
    • /
    • 2022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사회적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재창조, 조직몰입 간의 관계와 직무재창조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는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몰입을 낮추기 때문에 이들의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경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더불어 직무재창조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데 이는 구성원들이 스트레스를 받기는 하나 본인의 일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직무환경 요인이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 an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 이경아;허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54-2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six areas)과 태도 요인(조직몰입)의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환경이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조직이 개입할 수 있는 요소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학교급식 현장에서 근무 중인 조리사로 총 20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변인 중 직무환경은 여섯 가지 요인(작업량, 통제감, 보상, 공정성, 커뮤니티, 가치)이 측정되었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직무환경 요인 중 직무의 가치, 작업량, 보상 및 직원 간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정서적 몰입이 낮게 나타났고, 통제감과 공정성을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계속적 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상과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몰입만이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관계를 직무환경 요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으로 구성하여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 요인들 중 이직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상과 커뮤니티뿐이었으며, 여섯 하위요인 모두 정서적 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환경 변인이 개인의 태도 변인을 통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물리적 보상이나 작업량 등 조직이 쉽게 조정하기 어려운 직무환경 요인의 영향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교육이나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개입을 통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을 유지해 줌으로써 이직의도의 증가를 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흡수능력과 정서적 몰입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and absorptive capacity)

  • 장태원;홍아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34
    • /
    • 2011
  • As organization's success depends on how much employees are active in recognizing new knowledge and transform into organization's valu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on organizational absorptive capac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The study has shown that managerial level employees have high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employees who have such high level capacity also shown to have high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variables, and absorptive capacity has a complete meditated effect on each variables. Hence, in order to enhance absorptive capacity, organizations should put their effort to develop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which will not only improve individual competency but also lead to organization's success in this competitive global market.

  • PDF

리더 조직시민행동의 사회적 학습 효과 (Social Learning Effect of Leader's OCB on Follower's OCB)

  • 김보영;민은홍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59-176
    • /
    • 2020
  • According to the social learning theory, lead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s a predisposing factor for follower' OCB, because they acknowledge and imitate leader as a desirable example of behaviors for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success. We investigate social learning effect of leader OCB on follower OCB and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political skill in th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OCB and follower OCB (with follower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mediator). We find that follower'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OCB and follower OCB. Furthermore, we find that follower with high political skill may focus on the instrumental value of OCB. Political skil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llower'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ollower OCB. Data from 325 leader-follower dyads support the hypothesi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