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1초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검사지 구성의 원칙과 절차: 문항 유형 확정 모델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 김용명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153-184
    • /
    • 2010
  • On the bases of the 5 principles and the 4 criteria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of the listening and the reading test of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this study presen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as a blueprint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two tests. It sets up the criteria for validating item types, designs a modular type of test specifications, constructs an item-types bank, and specifies a complementary type of test specifications of the two tests. To gather all these threads up, it constructs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which consists of such components as the item-type pool, the validity criteria and the procedures of testing item types, the item-types bank, the modular and the complementary type test specification. Thus, it shows how the Model works in developing and constructing the two level-differentiated listening and reading tests (the 2nd and the 3rd rank) of NEAT. Finally, it discusses som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Model to the two level-differentiated tests (the A and the B type) of 2014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ystem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lassroom testing. In conclusion, Item-Types Decision-Making Model functions as a testing template in an item development system and as a matrix in an item-types bank system.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출제 경향 연구: 인문(경제)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Analyzing Place Location Knowledge Items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cusing on Human (Economic) Geography)

  • 이소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51
    • /
    • 2021
  • 위치 지식은 지리학에서의 핵심개념이자 고차적인 지리적 사고를 위한 기초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위치 지식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과목의 위치정보 문항 분석을 통해 출제의 경향성 및 학생들의 위치 지식 수준을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요소로서의 출제 지역이 공간적으로 편중되어 나타났고, 특히 영남권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둘째, 사실 기반 위치정보 문항에서는 지역특산물과 같은 지리적 표시제, 지역축제 등 지역성을 묻는 내용이 많았다. 셋째, 개념 기반 위치정보 문항의 내용은 자연지리와 인문지리영역으로 구성되는데, 경제지리와 관련된 문항은 농업 2건, 공업 2건으로 총 4문항이 출제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위치정보 문항을 어렵게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유형에 따라 어려움의 정도는 상이했는데, 학생들은 고차적 사고를 요하는 개념 기반 문항을 더 어렵게 느꼈다. 그중 경제지리 관련 문항을 두 번째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출제 지역의 스케일에 따라서도 정답률의 차이가 있었는데, 학생들은 보다 정밀한 스케일에서의 문항을 상대적으로 더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Types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 Min Ju Koo;Jong Ke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76-388
    • /
    • 2023
  • After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ata o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f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t Gyeongnam from 2014 to 2021,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typ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as studied. And the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according to the type of admission screening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was also stud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by admission process, students admitted through occasional screening showed relatively high grades of A and B at 88.7%, and the ratio of grades of 1~3 of chemistry I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tudents admitted through regular admission, the ratio of grades of A and B in general chemistry was very high at 94.3%, and the ratio of grades of 3~4 in chemistry I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hig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by class type and admiss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grades of chemistry I by face-to-face classes had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in non-face-to-face classes. In both admission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chemistry by face-to-face class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on-face-to-face-to-face classes.

유치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유형과 역할 수행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Role Performance by Kindergarten Teacher)

  • 서정복;정영숙;장혜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95-604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teachers. Also, the relation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 role performance was examin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naire to 394 teachers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WIN program by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vels of autonomous supervision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high in gener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age, scholastic ability, and the career. The accomplishment in the public kindergarte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private one. Moreover, the higher the teacher's age, career, and scholastic ability, the higher the accomplishment. Second, levels of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excellent, but the levels of role performance were higher in the public kindergarten than in the private one because the public teachers who did not transfer much had more chances of continuous education and higher responsibility. The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in the kindergarten in countries than in cities because there were more public kindergartens than private ones in countr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lower factors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Because the various type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can help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various types of the autonomous supervision which fi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teachers will be desirable.

  • PDF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7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 대한 의견 조사 (High School Teachers' Opinions on Mathematics Section i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pplied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 조성민;김재홍;양성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69-186
    • /
    • 2015
  • 대입 제도가 변화하고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2009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적용됨에 따라 수학 영역은 시험의 성격을 재조명하고 출제와 관련된 세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취지에 부합하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고등학교 2,338개교 중 시 도교육청별 유층표집을 통하여 312개 학교를 추출하고 해당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 대한 성격과 역할을 재조명하고 수학 영역의 선택 과목별 문항 배분을 비롯한 출제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탐색하였다.

대만의 대학입학시험 수학 문항 분석 (A Study on Mathematics Exams for University Entrance in Taiwan)

  • 최인선;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69-384
    • /
    • 2017
  • 우리나라는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으며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의 개정이 빈번히 수행되어왔다.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의 변화와 함께 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평가는 교육과정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교육적 관심 및 수학학업 성취도가 유사한 대만의 대학입학시험 문항 분석을 시행하고 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대만의 대학입학시험은 자격고사의 성격을 갖는 학과능력측정시험과 선발고사의 성격을 갖는 지정과목고시 수학 갑, 을이 존재한다. 시험의 성격과 응시대상자의 진로에 따라 각 평가문항에서 요구하는 행동 영역과 내용 영역들은 명확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비해 다소 많은 수학적 개념을 다루면서 내용 영역을 평가하고 있었고, 문항의 형태도 더 다양했다. 이를 통해 대학입학시험에서 평가 형태와 평가 내용, 나아가 공교육에서 수행해야 할 교수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ines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Mathematics)

  • 남진영;정연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9년과 2010년에 시행된 중국 대학입학 수학 시험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입학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일반계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은 수학 기초 지식과 대학 수학을 위한 수학적 소양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과 시험과 문과 시험으로 나뉘어 실시되며,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 문항이 출제된다. 이 시험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수학적 사고 능력은 사유능력, 연산능력, 공간상상 능력, 실천능력, 창의적 사고능력이다. 중국 대학입학 수학시험의 분석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위 문항의 출제, 복수의 정답을 지닌 선택형 문항의 출제, 수리 '가'형과 '나'형에서 공통으로 출제되는 문항의 배열과 배점을 달리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전문대학 학생의 계열별 학업성취도에 따른 기초학습능력 향상방안 (Improvement Strategy of Basic Academic Skill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lastic Achievement Grades of the each Departments)

  • 한성일;이상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24-53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학생들의 취업과 진로를 위한 기본적인 능력인 기초학습능력의 저하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기존에 제시되고 시도된 다양한 기초학습 능력 제고방안에 대한 사례 분석 및 서울지역 I 전문대학 사례를 조사하여 언어영역 학습능력에 대한 학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계열별 특성을 도출하여 계열에 적합한 기초학습능력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수행을 기반으로 도출된 결과 및 시사점을 토대로 영역 및 계열에 기초한 기초학습능력 진단 및 평가관리시스템 구축 및 학생경력개발 시스템 내의 기초학습능력 미흡 학생에 대한 계열별 학생지도 방안 적용 등을 통한 본 논문 제안의 활용을 기대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Analysis of Test Items and the Applica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Part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 홍미영;전경문;이양락;이범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8-386
    • /
    • 2002
  • 1999학년도부터 지난 3년 동안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조사하였다.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문항수, 내용 영역과 탐구 과정에 따른 평균 정답률, 정답률 수준에 따른 문항 분포,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 등을 분석하였다. '환경' 영역에서의 문항수가 매우 적었는데, 특히 '오존층'에 대해서는 한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내용 영역은 '환경' 영역의 '산성비'였다. 탐구 과정별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었고, '문제 인식 및 가설 설정'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 어려운 수준'의 문항은 하나도 없고. '쉬운 수준'이나 '아주 쉬운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이 많았다.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개념이나 지식을 요구하는 문항을 해결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느꼈고, 저학년에서 다루어진 개념만을 요구하는 문항을 쉽게 해결하였다. 교육학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